[한국사개론] 삼국통일

 1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
 2  [한국사개론] 삼국통일-2
 3  [한국사개론] 삼국통일-3
 4  [한국사개론] 삼국통일-4
 5  [한국사개론] 삼국통일-5
 6  [한국사개론] 삼국통일-6
 7  [한국사개론] 삼국통일-7
 8  [한국사개론] 삼국통일-8
 9  [한국사개론] 삼국통일-9
 10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0
 11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1
 12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2
 13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3
 14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4
 15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5
 16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6
 17  [한국사개론] 삼국통일-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개론] 삼국통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신라의 삼국통일 과정
(1) 나당 연합
(2) 백제 멸망
(3) 고구려 멸망
(4) 나당 전쟁
(5) 신라의 삼국통일

Ⅲ. 신라의 삼국통일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각
(1) 삼국통일론
(2) 남북국론
(3) 삼국통일론과 남북국론의 견해 차
(4) 절충론

Ⅳ. 삼국시대의 종말에 관한 북한, 중국, 일본의 인식
(1) 북한
(2) 중국 (동북공정)
(3) 일본 (만선사관)

Ⅴ. 나가며
Ⅵ. 토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한국사에서 7세기 후반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 시기의 하나이다. 신라와 당의 연합에 의한 660년의 백제 멸망과 668년의 고구려 멸망, 676년 당 세력의 축출과 698년 고구려 고지에서 발해의 건국 등 일련의 연대기적 사실이 점철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후대의 역사인식은 ‘신라의 삼국통일’ 또는 ‘신라의 반도통일과 발해의 건국’등으로 정리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바로 이러한 인식에 대한 재검토의 기회를 갖고자 한다.
Ⅱ. 신라의 삼국통일 과정

(1) 나.당 연합 - 김춘추의 활약으로 신라와 당나라가 연합함.
654 신라 태종무열왕 즉위(최초의 진골 출신 왕)
659 신라 백제를 치기 위해서 중국의 당나라에 원병 요청

(2) 백제 멸망(660년) -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멸망시킴.
백제는 신라와 분쟁을 계속하여 642년 신라의 40여 성을 공략하자, 신라는 위기에 처하고 고구려에 구원을 요청하였지만 거절당하였다. 그 뒤 당나라가 신라의 요청을 받아들여 660년 소정방이 13만 대군을 이끌고 백제를 공격, 김유신의 5만 병력과 합세하였다. 계백의 용전도 효과 없이 사비성이 함락된 후 4년간의 백제부흥운동도 실패로 돌아가고 백제는 망하였다.

(3) 고구려 멸망(668년) - 나 . 당 연합군이 고구려의 평양성을 함락시킴.
백제를 멸망시킨 나당연합군은 고구려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였다. 고구려는 수·당과의 거듭된 항쟁으로 국력이 극도로 쇠약하였으며, 666년 연개소문이 죽자 세력다툼으로 내분까지 일어나 668년 김인문이 이세적의 당군과 협공을 가하자 감당하지 못하고 9월에 평양성이 함락됨으로써 멸망하였다. 당나라는 고구려에 안동도호부를 두었으며, 곳곳의 부흥운동도 실패로 돌아갔다.

(4) 나.당 전쟁(675년)-신라가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을 모아서 당나라를 쫓아냄.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켜 영토로 만든 당나라는 다시 신라까지 넘보았으나, 670년 신라가 먼저 압록강을 건너 당나라를 공략, 나당전쟁으로 들어갔으며, 671년·675년, 그리고 676년에 군량보급 차단, 매소성전투, 기벌포대첩 등으로 당나라를 압박하여 안동도호부를 평양에서 랴오둥으로 옮기게 함으로써 신라는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5) 신라의 삼국통일(676년)
참고문헌

신형식, 『신라통사』, 주류성, 2004.
김기섭, 『주제별로 풀어쓴 한국사 강의록』, 가람기획, 199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9- 통일신라』,탐구당, 2003.
신형식, 『남북한 역사관의 비교』, 솔출판사, 1994.
신형식, 『통일신라사연구』, 한국학술정보, 2004.
강만길 외, 『한국사3.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1』, 한길사, 1994.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이희근,『주제로 보는 한국사』, 고즈윈, 2005.


박찬흥, 「만선사관에서의 한국 고대사 인식 연구」, 한국사학보, 2007.
신형식, 「7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신라통일의 의미」,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