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1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1
 2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2
 3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3
 4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4
 5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5
 6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6
 7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7
 8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8
 9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9
 10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10
 11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11
 12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12
 13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 세계금융위기와 리스크관리 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세계 금융위기
1.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2.오일 가격의 영향
3.세계 금융가의 영향

Ⅲ. 리스크관리 전략
1.미국 금융관리제도
2.부실자산관리
3.IB & CB
4.IB & CB 운영전략

Ⅳ.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국의 금융위기는 주택담보대출인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부터 출발하여 MBS(Mortgage-backed securities)로 이어지고 이것이 CDO(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로 진화하고 더 나아가 CDS(Credit Default Swap)으로 최종 연결되면서 엄청난 레버리지를 일으킨 것에 중요한 원인이 있다.
MBS는 주택담보채권 유동화 증권이다. 대출을 깔아 놓고 있는 경우 자산은 많아 지지만 빌려준 돈 만큼 현금 유동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대출권리를 다른 기관에게 팔고 미리 현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MBS 이다. CDO는 대출자산에 다른 자산까지 더 붙여서 증권을 만든 다음 채무자들의 신용등급에 따라 가격을 차별화한 것이다. CDS는 이러한 채권들을 구입한 사람들을 위해 보증을 서 주는 것이다. 왜냐하면 대출채권은 반드시 채무를 상환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순히 생각하면 100억의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금융기관이 이 백억을 증권화시켜서 현금을 장만한 다음 다시 이 돈을 CDO에 투자하게 되면 쉽게 대략 두 배정도의 레버리지(200억)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즉, 백억으로 개인들에게 대출도 해 주고 채권에도 투자하는 등 투자의 범위가 넓어지고 돈 벌 기회가 많아진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하면 망할때도 두 배로 망하는 것이 이 레버리지 투자가 주는 리스크이다.
CDS를 생각해 보자. CDS는 쉽게 얘기해서 보증보험이나 마찬가지이다. 친구에게도 서 주기 어려운 보증을 서기 위해서는 보증을 받는 사람의 신용도와 리스크를 철저히 검토하고 최대한 보수적으로 운용해야 한다. 그래서 보증보험업은 아무나 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번에 문제가 되었던 한 금융회사는 이걸 무려 4400억 불이나 팔았다. 1달러 천원기준 한국 돈으로 440조원이다. 엄청난 리스크를 안고 간 것이다.
미국의 일부 보험사들은 이른바 '채권대차거래'에 자산을 운용했다.
보험사들은 보험계약자로부터 보험료를 받아 그 중 일부를 채권이나 주식, 기타 자산 등에 투자한다. 돈을 굴려야 계약자들한테 배당도 주고 회사도 성장할 것 아닌가. 그런데 보험사는 보험계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가급적 보수적으로 자산을 운용해야 한다. 보험사의 고객들은 투자를 목적으로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사고와 질병을 보장받기 위해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보험업 관련 법규와 감독규정에도 이러한 원칙에 따라 보험사의 자산운용에 여러 가지 제한 사항을 많이 걸어 놓았다. 예컨대, 보험사는 부동산에 투자할 수 없다거나 미술품, 골동품 투자도 할 수 없고 기타 리스크가 높은 자산에 대한 투자가 금지되어 있다.
채권투자를 할 경우에도 보험사는 가급적 신용등급이 높은 우량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원칙이다.
미국회사들도 이러한 기준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채권들은 대부분 우량등급들이다. 그런데 미국 보험사 중에서는 이 채권들을 각종 금융브로커나 딜러들에게 현금을 담보로 받고 빌려준 경우가 있었다. 소위 '채권대차거래'인 것이다. 비슷한 경우로 '주식대차거래'가 있다는 것은 많이 들어 봤을 것이다. 빌려준 것 까지는 좋았는데 문제는 대차거래 후에 받은 현금담보를 가지고 다시 모기지 채권이나 다른 자산에 투자를 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몇번 되풀이하면 하나의 채권을 가지고도 몇 배의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다.
보험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해야 할 보험사들이 마치 무모한 한국의 개인투자가들과 비슷한 행동을 했다는 것이다.
미국의 금융당국은 이러한 보험사들의 무모한 자산운용에 대해서 전혀 관리감독을 못했다

2.부실자산관리
1) 아이스케이크 효과’ 이론
부실자산의 특수한 속성 때문에, 절대다수의 부실자산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실제가치가 저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무주체의 소멸· 채무인의 경영상태 악화· 자산정보자료의 소실 및 실물자산 물리적 기능의 저하 등, 모두 부실자산의 실제가치를 지속적으로 떨어트리는 결과를 야기한다. 합당한 보전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부실자산이 마치 ‘아이스케이크’가 녹는 것처럼, 손에 쥐고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손실이 더 커지게 된다
2)자원배치이론
일부 생산요소의 물리적 기능이 없어진 것 이외에는, 다수의 자산이 부실자산이라기 보다는 적절치 못하게 배치된 자원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그중에는 제품· 산업· 업종· 소유제 및 지역 등 여러 분야가 있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시장원칙을 적용하여 판매· 양도· 합병인수· 파산청산 및 채권전환주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부실자산에 대한 분류정리· 침체자산의 정밀조사· 유효자산의 구조조정 및 무효자산의 퇴출 등을 실행하여, 자원을 재배치하였다. 이 자원재배치 과정은 경제용량구조에 대해 조정하는 과정이면서 또한 자산의 가치를 보호내지는 증가시키는 과정이다. 이는 경제의 경쟁력과 통제력을 증강시키는 데에 유리할 뿐 아니라, 산업의 질을 높이고 소유제를 완벽하게 조정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참고문헌
금융산업환경변화에 따른 손해보험사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ㆍ 서준석
외환위기 이후 국내은행의 경영전략
성균관대 국제통상대학원 ㆍ 강홍석

중국 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 추진
산업자원부 ㆍ 산업자원부 중국협력기획단

금융환경변화에 따른 농업협동조합의 수익구조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군산대 경영행정대학원 ㆍ 홍찬의

가계여신 리스크 관리를 위한 크레딧뷰로의 역할과 과제
연세대 경영대학원 ㆍ 염문철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보험산업의 건전성 제고에 관한 연구
연세대 경제대학원 ㆍ 장진용

미국 저축대부조합 파산 사례와 LTCM 위기 분석
한국산업은행 ㆍ 이규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