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

 1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
 2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2
 3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3
 4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4
 5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5
 6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6
 7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7
 8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8
 9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9
 10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0
 11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1
 12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2
 13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3
 14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4
 15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5
 16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6
 17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7
 18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8
 19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19
 20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쟁사] 한국전쟁 휴전협상 분석과 함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 본론
1. 한국전쟁 휴전협상 추진 배경
2. 휴전협상 추진경과 분석
3. 베트남 전쟁 평화협정 사례분석
4.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 시 전략

■ 결론
1. 휴전협상 교훈
2. 휴전협상 후 남북한의 입장
3. 정책 제안

■ 참고문헌 및 자료
1. 단일 서적
2. 학회 논문
3. 인터넷 자료
본문내용
■ 서론

1. 연구목적
현재 한반도 분단의 원인인 6.25한국전쟁 중 UN군과 공산국, 조선인민주의 공화국이 주체가 되어 진행된 휴전협상에 대한 통체적인 연구를 통해서 우리가 알아야 하는 교훈을 도출해낸다. 그리고 앞으로 제시되어질 수 있는 평화협정에 대해 다른 나라의 사례를 알아보고 어떠한 대비를 하는지를 국방부, 외교통상부 측면에서 대책을 강구해 보겠다.

2. 연구범위
휴전협상을 중점으로 하는 연구이므로 시기는 협상이 시작된 1951년 7월부터 강등당사자의 대표가 휴전협정에 서명함으로써 휴전이 이루어지는 1953년 7월 27일 까지만 포함한다. 연구에 포함되는 나라는 휴전협상의 당사자였던 UN군과 공산국(중국, 북한)그리고 전쟁이 일어난 당사자인 남한을 중점으로 연구한다.
결론에서 제시하는 국방부, 외교부 차원의 정책제안은 앞으로 남한과 북한의 휴전협상이 평화협정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3. 연구방법
관련서적과 논문, 그리고 인터넷 자료 검색을 통한 자료 수집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이용한 토의, 교수님의 첨삭과정을 통해 연구하였다.

■ 본론

1. 한국전쟁 휴전협상 추진 배경

1) 휴전협상 추진 이전 군사작전 상황 김계동, 「한반도 분단 ‧ 전쟁과 주변국의 세력균형정책」, 한국정치학회 발표논문, 2000. 6. 24, pp.15~18


미국의 한국전 참전 목적은 전쟁이전 상태로의 현상 회복이었다. 1950년 6월 25일 채택된 UN 결의안도 북한군에게 적대행위를 멈추고 38선 이북으로 복귀하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세력균형으로의 복귀만 이루어지면 UN군의 전쟁 목적은 완전히 성취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은 1950년 9월 15일의 인천상륙작전 이후 북한군에 대한 반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자 10월부터 새로운 전쟁 목적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38선 이북으로 진격하며 공산군을 섬멸하고 UN군에 의한 무력통일을 시도한 것이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소련 및 중국과 협력하여 남침을 하여 세력균형을 그들 쪽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려 했던 반대의 시도가 미국과 UN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http://blog.naver.com/jhsong46?Redirect=Log&logNo=70030310840

참고문헌
1. 단일 서적
1) 한반도 통일로 가는 길, 니콜라스 에버스타트, 한국경제신문사, pp.166-198.
2) 남북한의 평화체제 접근추이 및 새로운 방안, 김영재, 통일문제연구 제 2권 4호, 1990, 겨울호, pp.45~46.
3) 「세계의 분단사례 비교연구」 전득주, 푸른길, 2004, pp. 302~309.
4) 「제2의 한국 베트남」 권만학, 미래인력연구센터, 1996, pp. 69~71.
5) 「미국의 베트남 전쟁」 조너선 닐, 책갈피, 2004, pp. 205~245.

2. 학회 논문
1) 김계동, 「한반도 분단 ‧ 전쟁과 주변국의 세력균형정책」, 한국정치학회 발표논문, 2000. 6. 24, pp.15~18.
2) 박동삼, 「한국전쟁과 휴전협정의 의미」, 특집 : 휴전협정⟶평화협정 전환의 문제, 2001. 7월호, pp.44~47.
3) 김선숙, 「한국전쟁의 휴전협상 과정에 관한 연구」, 21세기 정치학 회보 제 12집 2 호, 2001년, pp.190~204.
4) 허만호,「한국전쟁과 휴전체제 - 5. 휴전체제의 등장과 변화 - 통일조건의 역사적 모 색」한국정치외교사학회, 1997
5) 윤태영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한미 연합방위체제하에서 위기관리체제의 실제와 발전방향」
6) 강석승, 「한국전쟁과 휴전체제 - 7. 휴전협정의 평화협정으로의 전환문제 - 북측 주 장 및 입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1997

3. 인터넷 자료
http://blog.naver.com/jhsong46?Redirect=Log&logNo=70030310840
http://cafe.naver.com/hippo2006.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9
3) (한국국방연구원보고서)http://blog.naver.com/ksl6604?Redi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