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근대 계몽주의 시기의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

 1  [인문사회] 근대 계몽주의 시기의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1
 2  [인문사회] 근대 계몽주의 시기의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2
 3  [인문사회] 근대 계몽주의 시기의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3
 4  [인문사회] 근대 계몽주의 시기의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4
 5  [인문사회] 근대 계몽주의 시기의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5
 6  [인문사회] 근대 계몽주의 시기의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사회] 근대 계몽주의 시기의 독일, 영국, 프랑스에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대배경


2. 특징과 의미 (전반적인 관점에서)


3. 각 나라에서의 계몽주의

1) 독일

2) 영국

3) 프랑스

4) 기타 다른 지역


4. 계몽사상의 역사적 의미(프랑스 계몽사상 중심에서)
본문내용
2. 특징의 의미(전반적인 관점에서)

계몽주의란 17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는 시민 계급의 해방 이념을 나타나는 말이다. 계몽주의는 민주화 및 자유화 경향을 다양한 형태로 포함하고 있으며, 그 발전 단계도 다양하다. 당시의 자연법사상이나 ‘보편 인간적인 것’이라는 표현 속에 시민 계급의 이해관계가 잘 나타났으며, 계몽주의는 주로 시민 계급의 정당성을 이념적으로 부여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어원상으로 계몽이란 말은 인간의 자연적인 본질을 인식하고, 그 본질을 자연과 이성에 합당한 휴머니즘을 지향하는 사회 질서 속에서 실현시키는 것을 말한다. 영어의 계몽(enlightenment)은 빛(light)이라는 말에서 나왔으며, 프랑스에서는 계몽, 즉 광명에 의해서 실현되는 18세기를 철학의 세기라 불렀다. 칸트는 1784년의 라는 저서 속에서 계몽을 ‘인간이 스스로 자초한 미성숙의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정의한다. 즉 인간의 자유를 의미하며, 모든 면에서 이성을 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했다. 칸트에 의하면, 계몽주의자가 된다는 것은 스스로의 이성을 다른 어떤 간섭도 받는 것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알고자 하는 용기’가 18세기에 처음 나온 것은 아니지만 18세기 계몽주의와 깊은 연관을 지니는데 그것은 사람들이 18세기가 그 어떤 시대보다도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기의 마지막을 이룬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생각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로서 18세기가 ‘장기적 중세’의 끝이라는 것을 들 수 있는데 그것은 18세기가 단순재생산 지향의 봉건적 생산양식에서 산업혁명으로 인한 확대재생산을 지향한 신기인 것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이 시기는 크리스트교가 지배하는 시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기였다.
나라마다 제각기 차이를 주장하는 것은 계몽시대기 특징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어떤 공통점이 있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18세기의 한 국면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을 들 수 있다. 그 중심인물은 주관자 디드로와 그의 동료 달랑베르였으나 그 외 볼테르, 루소, 몽테스키외, 돌바하, 엘베시우스, 콩도르세, 튀르고 케네, 마르몽트 등 약 200여명의 학자가 참여하였다. 이라는 제목을 가진 이 사전을 달랑베르가 ‘지식의 나무’라고 표현했듯이 이것은 계몽시대의 지식과 사상을 집대성한 것이었다.
항목들은 표면적으로는 현실참여 성격을 띠고 있지 않으나, 내용 면에서는 종교, 사회, 정치를 비판하고 있다. 이 사전은 특히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면을 많이 다루고 있는데 이것은 그때까지 인간이 쌓은 기술들 규격화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백과사전은 이성과 진보를 신뢰하고 휴머니즘을 구가하는 프랑스 계몽주의 철학의 결산이었으며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의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하였다.
18세기는 기계 전의 전통 도구의 발전이 최고조에 이른 시대로써 기술과 이론상의 배경이 되는 과학정신은 계몽주의 정신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과학정신은 신학에 맞서 싸우는 계몽사상 못지않게, 자연에 대한 실험으로 종교의 미신을 타파해 나가는 중요한 도구였다. 대중의 호기심과 합리주의는 과학과 함께 더욱 유행이 되었는데, 이러한 점에서 계몽주의는 근대과학의 출발점이 된 17세기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은 크나큰 유행이었다. 이러한 과학의 발달은 경험을 중시하는 데에서 비롯되었고, 그것은 귀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단순 관념으로 사상을, 감각으로 지각(이해)을, 개인으로 사회를 재구성 하고자 하였다.
계몽 사상가들의 사회 비판을 보면 먼저 프랑스는 전반기에 2가지 커다란 사상적 흐름이 있었다. 그것은 고등법원과 특권층에게 전제주의에 대항할 논거를 제공한 몽테스키외의이 만들어낸 흐름과, 성직 계급에 대한 증오와 때로는 종교 자체에 대한 반감을 표시하였지만, 정치적으로는 보수성을 띠었던 흐름이다. 후반기에는 민주주의적이며, 더욱 평등주의적인 사상이 출현하였다. 계몽 사상가들은 정부에 대한 문제에서 재산에 대한 사회적 문제에 더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모든 사상가에 있어서 지도자는 볼테르였다. 권력 문제에 있어서 몽테스키외는 고등법원 인사를 중심으로 한 귀족에게, 볼테르는 부유한 부르주아에게, 루소는 모든 사람에게 넘겨 줄 것을 주장한다. 따라서 루소는 백과사전파, 볼테르 등과 대립하게 되었다.
계몽된 대신과 계몽 사상가 사이의 연합이 이루어지거나, 계몽 사상가가 대신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절대군주정이 자문을 받는 형태로 계몽주의를 키우기도 하였다. 1750년부터 1789년 사이는 계몽 사상가들이 각종 아카데미나 학회활동, 저술 등을 통해 그 시대의 정신을 이끈 시기였다. 1770년 이후 계몽주의 선전은 승리하나 위대한 사상가들은 대개 1780년대에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