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

 1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1
 2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2
 3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3
 4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4
 5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5
 6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6
 7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7
 8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8
 9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9
 10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10
 11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11
 12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12
 13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방송비평론] 버지니아 공대 참사 사건 보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범죄자의 스테레오 타입과 사회적 책임회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구체적인 분석의 예
Ⅲ. 결론
첨부

본문내용
Ⅰ. 서론
1. 미디어에 비춰진 범죄자의 전형성
문화계발이론은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의 하나로 매스미디어는 현실 세계에 대한 수용자 대중의 상(像) 내지는 관념을 구성해 주는 중대한 기능 또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요지의 이론이다.(최창섭 외, 2001 : 32쪽) 따라서 텔레비전을 많이 접촉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텔레비전이 제시하는 내용과 이미지를 상당 부분 그대로 반영하며 그러한 방향대로 자신의 이미지와 태도를 굳히게 된다.(최창섭 외, 2001 : 33쪽)
이러한 생각에 기초하여 매스미디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특정 계층, 인종, 직업, 성별이 가지고 있는 전형성에 대한 연구가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매스미디어에 비춰진 그들의 모습이 매스미디어에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일정 부분 사실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범죄자가 가지고 있는 전형성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최근에 매스미디어에서 자주 비춰지는 범죄자의 모습은 지난 5월 종영한 드라마 《히트》의 범인을 통해 볼 수 있다. 그는 평소 조용하고 침착한 성격으로 눈에 띄지 않지만, 범죄에서는 지능적이고 냉정한 모습을 보이는 연쇄 살인범이다. 이러한 모습은 지난 2년여 동안 개봉된 영화를 살펴보면 그 추세를 더 뚜렷이 알 수 있다. 연구를 위해 살펴 본 지난 2005년부터 2007년 6월 현재까지 살펴본 범죄 관련 영화 개봉작은 《밀양》 《극락도 살인사건》《두뇌유희 프로젝트, 퍼즐》 《손님은 왕이다》《모노폴리》《야수》《홀리데이》《조용한 세상》《그놈 목소리》《친절한 금자씨》《혈의 누》《6월의 일기》《박수칠 때 떠나라》이다.
특히 실제 이형호군 유괴사건을 모델로 한 《그놈 목소리》의 경우 배우의 모습은 실제 범인과는 아무런 연관관계가 없지만 앞서 지적한 전형적인 범죄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실제 사건의 범인도 배우가 연기한 모습과 같았을 것이라는 무의식적인 연관관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러한 논지를 바탕으로 매스미디어에서 비춰지는 범죄자의 모습에도 일정한 전형성이 보인다고 생각되었다. 이는 연구를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설문 내용을 종합해보면 사람들은 범죄자가 대범하고, 우울하고, 불행하고, 영악하고, 고독하고, 똑똑하고, 꼼꼼하고, 과묵하고, 마르고, 비관적이며, 내성적이고, 냉정하고, 외롭고, 가난하고, 왜소하며, 후천적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항 L의 경우 결과가 수치 3과 근접하여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설문지와 설문조사의 구체적인 결과는 첨부하였다.
이는 위에서 지적한 매스미디어에서 보여주는 범죄자의 전형과 거의 일치한다. 하지만 매스미디어에서 보여주는 전형성을 보고 사람들이 범죄자의 이미지를 구축하는지, 혹은 그 반대인지,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는 한계를 가진다. 단 미디어가 현실을 구축한다는 문화계발 이론을 참고해보면 어느 정도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2. 전형성과 스테레오 타입
이러한 전형성과 관련하여 리프만(R. Lippmann)은 스테레오 타입이라는 개념을 말한 바 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사실’에는 항상 동기가 개입되어 있어 그것을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의사 작용을 통해서 재구성된다.(요시미 슌야, 2006 : 25쪽) 이렇게 사람들이 재구성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것이 스테레오 타입이다. 리프만이 말하는 스테레오 타입이란 단순히 편견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의 의식은 이러한 스테레오 타입이 지지하는 사실을 수용하고 그것과 모순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다.(요시미 슌야, 2006 : 26쪽)
이러한 스테레오 타입과 미디어, 그리고 이데올로기가 가지는 함의에 대해서도 지적이 계속 되어 왔다. 스테레오 타입은 정서적 호소력과 강도에 있어서는 큰 폭으로 다를 수 있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