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

 1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1
 2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2
 3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3
 4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4
 5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5
 6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6
 7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7
 8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사회] 문화인류학과 문화 인류학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화 인류학의 정의
2. 문화 인류학의 특징
3. 문화 인류학의 패러다임
4. 문화 인류학의 연구 방법
5. 문화 인류학의 중요성
6. 문화인류학 교육의 필요성
7. 문화인류학 교육의 목적
8. 우리나라의 문화인류학 교육
본문내용
문화 인류학(文化 人類學)이란 무엇인가?

• 우리나라에 잘 소개되지 않았지만 최근 급속하게 보급되어지고 있는 학문
• 문화를 가진 인간 또는 인간이 이룩한 문화란 어떤 것이냐를 연구하는 학문
⇒ 나아가서는 민족마다 다른 생활양식인 문화를 연구하여 인간이 가지는 공통점과 민족문화간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학문

1. 문화 인류학의 정의
• 인간에 관한 연구를 하는 인류학의 한 분야
• 인류학 중 문화의 생성, 발전, 전파, 변동 등을 연구하는 분야
• 인류학의 수단
⇒ 문화의 연구를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는 과학적 노력으로 문화의 연구는 인류학의 중요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이해라는 인류학의 궁극적인 목표 에 이르는 수단임
분류방법
분야별 문화인류학
일반적 분류
사회인류학, 언어인류학, 민속학
연구주제
종교인류학, 친족연구, 경제인류학, 정치인류학,
법 인류학, 교육인류학, 예술인류학 등.
이론적 성격
생태인류학, 심리인류학, 상징인류학, 응용인류학 등.
새로운 분야
도시인류학, 기업인류학, 영상인류학, 역사인류학, 의료인류학,
관광인류학, 환경인류학, 정보인류학 등 새로운 분야 등장.
• 주요 연구 대상 - 문화이론, 가족, 친족, 혼인, 사회조직, 생산기술과 경제체계,
정치조직과 법질서, 종교, 인성, 언어, 예술, 환경 등을 모두 포괄함

• 연구 관점과 방법의 특징- 상호 관련시켜서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총체론, 여러 민족과 사회․문화들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상대론의 관점에서 비교 연구하는 통문화적 비교방법.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있어서 문헌조사와 더불어 현지조사의 방법을 병행


2. 문화 인류학의 특징
• 인간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관련하여 연구함.
예) 결혼이나 청소년 문화
: 그것만을 떼어내어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전체와의 연관 속에서 연구함
⇒ 부분적이고 독립적으로 연구하는 경우보다 훨씬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
• 과학적인 연구보다는 있는 현상의 서술과 역사적인 발견, 비교 연구 등을 중요시함
⇒ 많은 표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들 자료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는 수량적인 방법 보다는 참여 관찰과 면접을 주로 사용함
• 원시 사회(인디언 사회, 아프리카 등)를 주로 연구함
But, 최근에는 도시생활, 환경문제, 교육문제 등 현대 사회를 대상으로 하기도 함
⇒ 고고학이 다루는 범위 밖의 역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를 다룸(시간적 차원)
3. 문화 인류학의 패러다임
3-1. 문화 인류학의 역사적 패러다임
• 지리상의 대발견과 서구의 식민지배의 확대과정
: 서구와 다른 이국적인 문화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기 시작함
• 19C 인류학자 - 사회 진화론적 관점
: 비서구 사회의 문화를 서구 사회가 이미 과거에 지나온 저급한 단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인식함
• 20C 인류학자 -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에서 비서구 사회 이해하려고 시도
But, 문화 인류학은 학문 체계 내에서 주변적인 위치에 머무르고 소수의 의견에 그침
•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제 3세계국가들이 서구의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남
: 이로 인해 서구와 비서구 간의 국제적 관계는 크게 변모함
⇒ 민족 집단의 문화적 독자성을 인정하는 문화 상대주의는 설득력 있는 입장으로 부상
• 소규모의 원시 부족 사회에 대한 연구 (전통적)
⇒ 제 3세계 국가들의 농촌과 도시 사회에 대한 연구도 포함함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