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

 1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
 2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2
 3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3
 4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4
 5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5
 6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6
 7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7
 8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8
 9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9
 10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0
 11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1
 12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2
 13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3
 14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4
 15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5
 16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6
 17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7
 18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8
 19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프레이밍 이론의 정의 및 등장배경
(1) 프레이밍 이론의 창시자 사회학자 ‘고프만’은 누구인가?
(2) 프레이밍 이론의 정의


2. 본론
1) 미디어 프레임 연구

2) 미디어 프레이밍 이론

3) 프레이밍 이론의 효과
(1) 프레임, 미디어 프레임, 프레이밍효과
(2) 프레이밍 이론의 접근방법

4) 프레이밍 이론의 사례 (TV 광고)

5) 프레이밍 이론의 문제점
(1) 프레이밍 효과의 문제점
(2) 프레이밍 이론의 문제점 사례
(3) 프레이밍 이론에 대한 비판

6) 미디어 프레이밍의 시사점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 틀짓기 이론의 정의 및 등장배경

(1) 프레이밍 이론의 창시자 사회학자 ‘고프만’은 누구인가?

고프만(E.Goffman, 1974)
→ 프레이밍 이론을 제시

l 1922년 6월11일 – 1982년 11월 19일
l 사회학자이자 작가
l University of Toronto에서 1945년 학위 받음
l University of Chicago에서 학사와 박사학위 받음(45년과 53년)
l 우크라이나 계열의 유대인
l 위암으로 사망
l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라는 제목의 책을 저자하고
Frame에 대해 분석


(2) 틀짓기 이론의 정의

① 프레임(frame)의 개념 및 특성

Schutz의 현상학에서 영향 받은 Goffman에 의해 발전한 프레임 개념은 학자에 따라 프레이밍(framing; Iyengar), 스키마(schemata; Goffman), 패키지(package; Gamson) 등으로 혼재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프레임이라는 개념으로 묶을 수 있다.
프레임은 담론 행위 요소의 모든 위치에서 발견될 수 있다. 즉, 커뮤니케이터와 수용자는 물론 텍스트, 문화라는 4가지 수준에 위치하고 있다. 각각의 위치를 살펴보면, 커뮤니케이터는 그들의 신념 체계를 조직하는 프레임에 의해 무엇을 말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을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다음 수용자는 그들의 머릿속에 형성되어 있는 사회적 의미들의 해석들을 갖고 있는데, 이 프레임은 텍스트 안의 프레임이나 커뮤니케이터의 프레이밍 의도를 반영하거나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텍스트 안의 프레임은 어떤 주요 단어의 제시 혹은 은폐, 스테레오 타입 화 된 이미지, 정보원, 표준화된 구문, 사실이나 판단을 강화하기 위해 제시된 문장들에 의해 분명히 드러난다. 문화는 상기된 프레임의 축적을 말한다. 실제 문화는 사회적 집단 안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의 사고나 담론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프레임의 집합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프레임 연구의 경향은 크게 사회학적 연구와 인지심리학적 연구로 나눌 수 있고, 그에 따라 프레임에 대한 접근과 정의에 대소 차이를 보인다. 먼저 사회학적 연구 경향 학자들의 정의를 보면, Goffman은 “사건 -적어도 사회적 사건- 과 그 사건에 대한 우리의 주관적 관여를 지배하는 조직의 원칙이라 하였다. 프레임이 없다면 현실은 감각적 사실들의 단순한 집합에 불과하지만, 이것이 있음으로 해서 현실은 일정한 질서를 부여받고 의미를 갖게된다. 이러한 Goffman의 프레임 개념은 언론이 지배적 현실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방식에 관심을 갖는 미디어 사회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Gitlin은 프레임을 “인식, 해석, 제시 그리고 선택과 강조와 배제의 지속적 패턴”이라 정의하면서 “상징을 다루는 사람들은 이것으로 담론을 상투적으로 조직한다.”로 하였으며, 미디어가 파워 혹은 헤게모니를 행사하는 장치가 된다고 하였다.
사회학 연구의 프레임 개념은 개인들의 인지적 과정 -인지적 표출(representation) 구조와 정보 처리에 대한 지침- 에 대해 강력한 가정을 제공한다. 이에 반해 인지심리학적 연구 경향에서는 ‘프레임’보다는 ‘프레이밍(framing; 틀짓기)’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주로 실험연구나 서베이를 통해 뉴스보도 양식이 수용자의 선택과 해석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한다. Minsky의 경우 컴퓨터의 정보․지식 표출에 대한 연구에서 프레임을 “정보의 조각과 다양한 비트를 조직하는 데이터 구조나 틀”이라 정의한다. 이런 가정은 ‘스카마(schimata)’나 ‘스크립(script)’ 같은 다른 관련 개념이나 정의들의 기초가 된다.
Iyengar는 “판단과 선택의 문제를 서술하거나 제시하는 데 있어 미묘한 변형틀”을 프레임이라고 정의하고, “틀 짓기 효과란 그러한 변형으로부터 야기된 의사결정의 변화”라 언급
참고문헌
󰂏 여론 홍보론 / 원우현, 박종민 공저 => 서울 : 법문사, 신문 방송학 총서
󰂏 이준웅, 프레임․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언론과 사회 가을 통권 제29호, 2000
󰂏 한국광고 100년 편찬위원회, 한국광고 100년 (하), 서울 : 한국광고단체연합회, 1996
󰂏 김승현, 탈근대적 주체와 텔레비젼 시청자 :이론적 고찰, 고려대 신문방송학과
󰂏 Comstock, Television and human behavior, Columbia Univ, press.1979
󰂏 이경자, 방송 프로그램 현황 및 제작 환경 연구. 청소년과 방송, 언론연구원. 1993
󰂏 Doniel B. Wackman, Ellen Wartella, and Scott Ward, "Learning to be Consumers : the Role of the Family", Journal of Communication 27/1, Winter 1977,
󰂏 정재란, TV의 비판적 시청기법 적용을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 차배근,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나남, 1986
󰂏 이강수, 현대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나남, 199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