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

 1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
 2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2
 3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3
 4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4
 5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5
 6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6
 7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7
 8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8
 9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9
 10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0
 11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1
 12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2
 13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3
 14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4
 15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5
 16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6
 17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7
 18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8
 19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19
 20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심리학] 교사에게 반항적 행동을 하는 학생 -반항장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 문헌


부 록


Ⅴ. 상황극


Ⅵ. 설문조사 결과 그래프

본문내용
들어가는 말
요즘 신문, 뉴스 등의 매체에선 가끔씩 학생들이 교사에게 대들어 교사를 폭행 했다는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 학생이 스승을 때린다는 것은 예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일들 이었는데 이제는 그런 뉴스를 많이 접해 별로 놀랍지도 않다. 요즘 학교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반항하는 아이들이 많다고 한다. 전문가들 말에 의하면 반항하는 아이들 중 병적인 반항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도 있다고 한다. 미래에 교사가 될 우리들은 학생들의 반항에 대해 반드시 다뤄야만 한다. 계속해서 아이들의 반항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Ⅰ. 서론
요즘 학생들의 교사에 대한 반항적 행동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검색란에 검색해 보면 단순히 교사폭행이라는 말만 쳐도 수십 개의 뉴스를 볼 수 있다. 그 중 몇 개 놀라운 기사를 소개해 보겠다. 자신의 휴대폰을 빼앗았다며 교사를 폭행한 학생이 있는가 하면 심지어 초등학생이 자신을 꾸짖는 교사를 주먹으로 폭행하여 부상을 입힌 경우도 있다. 위의 기사들만 보아도 알 수 있겠지만 요즘 반항하는 아이들은 예전의 아이들과 다르다. 전문가들은 반항의 정도를 넘어선 아이들 중 몇몇은 반항장애가 있는 아이들도 있다고 한다. http://cafe.daum.net/sunginmuvy
반항장애가 있는 아이는 뚜렷하게 반항적이고, 불복종 적이며, 도발적인 행동을 보인다. 반항장애가 있는 아이는 끊임없이 반항적이다. 따라서 매일 아이들과 생활해야 하는 선생님들은 이와 같이 반항적이며, 불복종 적인 반항장애를 가진 학생을 다루기가 힘들 것이다. 또 반항장애 학생들은 반항장애가 없는 학생까지도 선동해서 선생님을 괴롭힌다. 여기에 더해서 학급 선생님은 반항장애는 아니지만 선생님과 갈등관계에 있어서 불만을 일으키는 학생까지 보살펴야 한다. 선생님과 학생의 갈등관계에 대해서는 Pianta, Birch, Ladd의 연구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은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담임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 비교], {교육발전연구}. 제20권 제2호. 서울: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4.

Pianta(1991)나 Birch와 Ladd(1997)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친밀감”, “의존성”, “갈등”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친밀감”은 교사와 학생 간에 존재하는 온정과 개방적인 의사소통 을 말한다. “의존성”은 학생이 교사에게 의존하는 정도로서 교사가 학생에 대해 느끼는 부정적인 느낌이나 학생이 교사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을 말하며, “갈등”은 교사와 학생 간에 조화로운 관계가 결여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학생에게 불안감을 조장하고 학생이 소외감, 외로움, 학교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갈등관계는 학생의 학습향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결국 어렵더라도 교사는 반항장애가 있는 학생도, 갈등관계에 있는 반항적 태도를 보이는 학생도 보살필 줄 알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렇지 못한다면 아무리 훌륭한 교수방법을 가지고 있어도 학생들을 통제하지 못해 아이들에게 어떠한 학습적 효과도 기대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오늘은 학생들의 반항적 행동이 심해지고 있는 사태에 대해 그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고민해 보도록 하겠다. 먼저 학생들이 반항적 행동을 보이는 원인을 가정교육의 측면, 학생들의 문화집단에서의 문제점,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의 측면, 사교육적인 측면, 병적인 반항장애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문제 원인에 따른 해결방법을 생각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가정교육의 측면

1) 차종환. {태교 ․ 미취학 아동의 가정교육}. 서울: 우석. 1996
미취학 아동의 가정교육

① 어린이의 배설교육
유아에겐 6개월까지 배설에 대한 의식이 없다. 7,8개월이 지나면 배설 감각을 가지지만 억제하거나 참는 조절은 하지 못한다. 14, 15개월이 지나 일어서고 혼자 걸을 때쯤 되면 “응”하고 배설하고 싶은 의사를 표시한다. 그러나 어린이의 완전한 배설 통제는 생각보다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구순기에서 항문기로 들어서면서 어린이의 배설문제는 또 다른 심리적인 이론을 동반한다. 배설 교육의 영향이 어린이 성격 형성에 관계된다는 이론은 구순기 때와 마찬가지다. 지나치게 통제하고 청결 교육을 강요한다면 성격은 자연히 완고․인색․파괴적이며 짜증을 잘 내고, 반대로 유순하게 훈련되었을 때는 낙천적․의욕적․창의적인 요소를 가지게 된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성격은 12세 이전에 거의 발달이 되며, 크게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구강기에서 항문기로 접어들 때, 지나친 배설통제로 고착이 되면, 파괴적이며 짜증을 잘 내는 성격이 형성되는 것이다.

② 습관성 꾸중
부모가 아이를 꾸짖을 때는 교육적인 목적 때문일 수도 있으나 감정적인 꾸중을 하는 때도 있다. 3세 이하의 아이들은 외부로부터 오는 모든 자극을 놀라울 정도로 민감하게 통째로 흡수해 버리는 능력이 있어서 꾸중 같은 자극이 매일 반복되면 그것이 두뇌에 장착되어 하나의 성격이 된다는 많은 실례들이 발표된바 있다. 작은 일에
참고문헌
Ⅳ. 참고 문헌
지은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담임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 비교], {교육발전연구}. 제20권 제2호. 서울: 경희 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4.
코이니. 『이유있는반항』. 서울: 形成社, 1990.
차종환. 『태교 ․ 미취학 아동의 가정교육』. 서울: 우석, 1996.
차종환. 『중고등학생의 가정교육』. 서울: 우석, 1996.
홍경자. 『청소년의 인성교육』. 서울: 학지사, 2004.
김승용. 『반항기 10대의 심리』. 서울: 정일출판사, 1992.
신세호. 『과외수업 실태분석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1991.
김아영외 6명. 『교육 심리학』. 서울: 학문사, 2001.
Harry P. Bluhm(저술), 김충기․김현옥(번역).『생활지도, 상담 및 심리치료』.
한국학술정보,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