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

 1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
 2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2
 3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3
 4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4
 5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5
 6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6
 7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7
 8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8
 9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9
 10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0
 11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1
 12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2
 13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3
 14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4
 15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5
 16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6
 17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7
 18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8
 19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19
 20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행복의 과학적 탐구]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및 행복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2. 이론적 배경
2.1. 사회지능의 개념
2.2. 사회지능의 사례

3. 연구 방법
3.1. 설문조사
3.2. 인터뷰

4. 연구 결과
4.1. 설문조사
4.1.1.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와 사회지능, 행복도의 관계
4.1.2. 아르바이트 직종과 사회지능, 행복도의 관계
4.1.3. 아르바이트 시간과 사회지능, 행복도의 관계
4.2. 인터뷰

5. 논의
5.1.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와 사회지능, 행복도의 관계
5.1.1. 설문조사 결과를 통한 논의
5.1.2. 인터뷰 결과를 통한 논의
5.2. 아르바이트 직종과 사회지능, 행복도의 관계
5.3. 아르바이트 시간과 사회지능, 행복도의 관계

6. 결론
6.1. 아르바이트를 통한 바람직한 사회지능 함양 방법
6.2. 연구 과정에서 보완해야 할 점

7. 참고문헌

8. 부록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학생들은 대학에 진학하면서 여러 가지 새로운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대학생들의 활동은 크게 교내에서 이루어지는 활동과 교외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활동은 대부분 그 활동 중에 이루어지는 인간관계를 포함한다. 그런데 교내활동은 대학에 진학함과 동시에 필연적으로 하게 되는 활동이지만, 교외활동은 학생 자신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가 있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교내활동의 경우 수업을 같이 듣는 학우들과 수업을 가르치는 교수 이상의 인간관계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동아리 활동이나 과별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 또한 같은 학교, 같은 관심분야 내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교외활동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학교라는 틀을 벗어나 조금 더 넓은 사회로의 진출로서, 학력이나 나이 면에서 새로운 형태의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교외활동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아르바이트이다. 사실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 참여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00년 11월에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전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인문계고등학생의 29.5%, 실업계 고등학생의 46.1% 가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종수,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실태와 대책』,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논문집, 2001,p.108.
그러나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인문계고등학생이며, 그렇다면 29.5%를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은 대학에 진학한 후 아르바이트를 처음 시작하게 된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또한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지속적인 아르바이트 활동은 힘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들은 이렇게 시작하게 된 아르바이트를 하는 중에 상사, 같이 일을 하는 동료와의 인간관계라는 새로운 형태의 인간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고객'과 '점원'이라는 특수한 관계를 통해서 자신이 적극적으로 친밀감과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으로부터 사회지능이라는 강점을 함양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아르바이트가 사회지능과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대학생의 아르바이트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으며, 대학생의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의 관계를 알아볼 수 있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그 사이의 연관성을 이 레포트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그 연관성을 토대로 아르바이트를 통한 사회지능 함양 방법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또한 아르바이트를 통해 함양된 사회지능이라는 강점이 행복도에 영항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그것에 대한 조사와 함께 논의를 해보고자 한다.

1.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이 연구의 목적은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의 관계와 행복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르바이트를 통한 사회지능 함양 방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르바이트와 사회지능, 행복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지능, 행복도의 차이
(2)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활동 분야에 따른 사회지능, 행복도의 차이
(3)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활동 시간에 따른 사회지능, 행복도의 차이

이를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조사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아르바이트의 경험, 분야, 그리고 활동 시간이 어떤 이유로 사회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해 볼 것이며, 그 분석을 통해서 아르바이트를 통한 바람직한 사회지능 함양 방법을 생각해보도록 한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아르바이트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경제적 수단으로서, 즉 돈을 벌기 위해 학생들이 하는 활동을 아르바이트라고 일컫는다. 사실,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는 계기는 대부분 경제적인 이유이다. 하지만 이 레포트에서는 아르바이트의 주제는 경제적인 면과 큰 관련이 없으므로, 아르바이트라는 용어를 경제적인 대가와 무관하게 다른 사람들을 위해 서비스하는 활동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겠다.


2. 이론적 배경
2.1. 사회지능의 개념
사회지능이라는 개념은 Thorndike(1920)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Thorndike는 인간의 지능을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그 3가지가 바로 추상적 지능(abstract intelligent), 기계적 지능(mechanical intelligent), 그리고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t)이다. 그가 정의한 사회지능의 개념은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능력, 사회적 실마리를 다루는 능력, 인간관계에서 현명하게 행동하는 능력을 뜻한다.
그 이후 Moss & Hunt(1927)는 타인과 잘 어울려 지내는 능력을, Hunt(1928)는 사람을 잘 다루는 개인의 능력을 사회지능으로 정의하였다.
Thorndike가 정의한 사회지능의 정의는 1930년대에도 심리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Vernon(1933)은 사회지능의 정의에 타인의 일시적인 기분이나 성격적인 특성을 통찰하는
참고문헌
1) 권석만, 『긍정심리학』, 학지사, 2008, p.241-246
2) 도종수,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실태와 대책』,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논문집, 2001,p.108.
3) Guilford, J. P.(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Y. McGraw Hill
4) Maslowe, H.(1986) Social Intelligence :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ity and construct independ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 52-58
5) Moss, F.&Hunt, T.(1927) Are you socially intelligent?, scientific american, 137, 108-110
6) O'sullivan, M, Guilford, J. P. &Demille, R.(1965)The measurement of Social intelligence. Reports from the psychological Laboratory,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No.34
7) Thorndike, E. L.(1928)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140, 227-235
8) Vernon, P. E.(1933)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judge of personality,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 42-57
9) Walker, R. E. & Foley, J. M.(1973) Social intelligence : It's history and measurement, Psychological Reports, 33, 451-46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