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

 1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
 2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2
 3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3
 4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4
 5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5
 6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6
 7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7
 8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8
 9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9
 10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0
 11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1
 12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2
 13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3
 14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4
 15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5
 16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6
 17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7
 18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8
 19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19
 20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철학]동양사상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동양사상의 이해

1. 머리말
2. 性과 情에 대한 기존의 해석
순자는 性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3. 도덕정서의 발견
4. 윤리적 정서의 개념규정, 그리고 그 기능과 성격-맹자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5. 기존 해석과의 모순점 해소
6. 맺음말
참 고 문 헌

제 1 장 공자의 교육사상
제 2 장 맹자의 교육 사상
제 3 장 주자의 교육사상
본문내용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순자의 인간은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조악한 본성(性)과는 별도로 윤리적 인식을 가능케 하는 능력인 知에 의해 규범[禮]을 제정해 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知 개념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김승혜 교수는 知 개념을 "경험을 종합하여 사리를 분별할 수 있는" 일종의 "인식능력"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슈왈츠에 의하면 知 개념은 경험적 지식의 축적에 관한 능력, 사유와 추론 능력 등을 의미하고, 맹자에서와 같은 선을 향한 도덕적 경향성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한다. 이는 우리가 보통 자연과학적 인식, 혹은 경험적 인식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오성 혹은 이론이성의 개념으로 순자의 知 개념을 해석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知 개념이 일종의 도덕원칙을 인식하는 기능까지도 수행하는 것으로, 즉 칸트의 실천이성과 같은 의미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듯하다.
필자는 순자의 윤리적 知 개념이 이렇게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정하진 않는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知 개념의 인식론적 설명에 치중하면서 윤리적 인식기능도 이에 포함된다는 식의 애매한 설명만 하고 있을 뿐, 知가 어떤 과정을 거쳐, 무엇에 근거하여 윤리적 인식활동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