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

 1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
 2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2
 3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3
 4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4
 5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5
 6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6
 7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7
 8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8
 9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9
 10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0
 11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1
 12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2
 13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3
 14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4
 15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5
 16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6
 17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7
 18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8
 19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19
 20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 한국 역사교육의 변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근대의 역사교육 : 삼국시대~조선 후기까지
2. 근대의 역사교육 : 구한 말~ 해방 이전
3. 현대의 역사교육
1) 교수요목기 역사교육
2) 제 1차 교육과정기의 역사교육 : 1955년~1963년
(1) 형식과 배경
(2) 내용 및 특징
3) 제 2차 교육과정기의 역사교육 : 1964년~1974년
(1) 형식과 배경
(2) 내용 및 특징
3) 제3차 교육과정기의 역사교육 :1973년~1981년
(1) 형식과 배경
2) 내용 및 특징
① 제3차 교육과정 하에서의 국사 교육 강화
②국사 교과서의 국정화와 독본용 국사교재 『시련과 극복』
③ 국정 국사교과서의 1종 교과서로 전환
4) 제4차 교육과정기의 역사교육 : 1981년~1987년
(1) 형식과 배경
(2) 내용 및 특징
5) 제 5차 교육과정기의 역사교육 : 1987년~1992년
(1) 형식과 배경
(2)내용 및 특징
6) 제 6차 교육과정기의 역사교육 : 1992년~2000년
(1) 형식과 배경
(2) 내용 및 특징
7) 제 7차 교육과정기의 역사교육 : 2000년~ 현재
(1) 형식과 배경
(2) 내용 및 특징.
8) 제 '8차' 교육과정에서의 역사교육
(1) 형식과 배경
(2) 내용 및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전근대의 역사교육 : 삼국시대~조선 후기까지

한국 역사교육은 삼국시대까지 그 시작을 찾아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되었다. 당시의 역사는 윤리, 도덕과 함께 사회를 유지하는 근본으로서 관료로의 진출을 꿈꾸거나 혹은 군자로서 살아가기를 바라는 당대 지식인들에게 필수교양이자 인륜대사의 근거로서 작용하였다. 역사를 모르고서는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던 것이다.
한국의 역사와 교육의 발전에서 유학(儒學)은 결코 배제할 수 없다. 삼국시대, 중국에서 유학이 전래된 이후 유학이 정치이념으로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관리를 선발하고자 실시한 시험이나 교육에서도 유학적 지식은 가장 중요한 것이었기 때문에 삼국시대부터 설립된 각국의 국립, 사립학교에서는 유교경전을 가르쳤다. 삼국 중 고구려는 소수림왕 2년에 태학을 건립하여 귀족 자제를 대상으로 오경과 삼사를 가르쳤고, 지방 일반민들은 사립학교인 경당에서 경전과 무술을 공부하였다. 백제의 교육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는 바가 없지만 삼국사기 근초고왕 조에 '박사 고흥을 얻어 비로소 서기를 가지게 되었다. 깁부식, 이병도 역주, 『삼국사기-하권』, 서울: 을유문화사. p. 40
'는 기사를 통해 전문 지식인이 존재할 정도로 교육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신라의 교육은 통일 이전에는 화랑들 사이에서 경전을 읽고 무술을 단련했을 것 정도의 추측이 있을 뿐이며, 통일 이후 신문왕 대에 국학을 설립하였으며, 독서삼품과를 통해 역사적 교양과 문장 능력이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교육에서 위와 같은 경향이 계속 이어져 한층 정치이념으로서 유학이 강조된 고려사회에서는 국자감을 설립하여 체계적인 유학 교육을 추진하였고, 유학 교육이 더욱 융성해지면서 '사학 12도'가 유행하게 되었다. 특히 광종 대부터 실시된 과거에서는 문(文)에 능통한 관리를 선발하기 위해 중국 고사에 대한 역사적인 지식과 교양이 얼마나 풍부한 지를 시험하였다.
유학 이념이 절정을 이루었던 조선시대에는 공교육을 대표하는 국립 학교 성균관 뿐 아니라 지방의 학당과 향교, 서당 등에서도 활발하게 유학교육이 실시되었다. 조선의 교육내용은 전 시대와는 큰 차이가 없지만, 성리학의 영향으로 오경보다 사서(대학, 논어, 맹자, 중용)가 더욱 중시되었으며, 대의명분을 강조하는 사회적 풍토에 따라 주장의 준거를 역사, 특히 중국사에서 찾고자 하였다. 한편 조선 후기 실학자들에 의해 중국사 중심의 역사교육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였는데, 실학자들에 의해 성리학적 세계관을 탈피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진행되었으며, 많은 사찬 사서가 간행되었지만 역사교육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주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자주적인 역사인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전근대의 역사교육의 특징은 '경사일치'와 중국사 중심의 학습이라 할 수 있다. 당시의 모든 교육은 곧 역사교육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전통적인 유학 교육은 역사내용이 기반이 되었는데, 학습에 사용된 『역경』, 『예경』, 『시경』, 『서경』, 『춘추』의 오경(五經)은 경전인 동시에 그 자체가 역사서였다는 것이 이를 잘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근대적인 의미의 교육과정에 따라 독자적인 역사교육이 실시되었던 것은 아니지만, 유학의 경전을 학습하면서 자연스럽게 역사교육이 진행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역사교육을 '경사일치(經史一致)' 의 교육이라 한다. 김흥수, 『한국역사교육사』,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p. 참조.
또한 한국사를 중심으로 한 것이 아니며, 중국의 역사를 공부하였다는 것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당시의 모든 경전과 사서들이 중국에서 전래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당시 중국이 동아시아의 패권 국가이자 학문을 비롯한 모든 면에서 선진 국가였음을 감안한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2. 근대의 역사교육 : 구한 말~ 해방 이전

근대적인 의미의 역사교육의 시작은 1888년, 박영효가 일본에서 작성한 이른 바 '개화 상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박영효는 교육개혁이 필요함을 역설하며, 종래 중국사 중심의 역사교육을 탈피하여 국사와 국문을 가르쳐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관점의 역사교육은 특히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뚜렷하게 현실화되어 갔으며, 역사교육이 국가 발전을 위한 국민의 정신적 기반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에서 이전의 역사교육과 구별되는 차이를 보인다. 김흥수(1999), 「20세기 한국의 역사교육사」, 『歷史敎育』, 70, p. 153 참조.

사회적으로 상공업이 발달하면서 전통적인 신분체제에 혼란이 오게 되고, 성리학에 대한 회의와 비판이 늘어가면서 중국사 이외 서양사에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여기에 선교사들이 세운 배제학당, 이화학당 등의 사립학교에서 선교사들이 '한국인에게 서양을 알린다.'는 취지로 서양사 교육이 전개되었다. 특히 1895년 이후 정부에 의해 설립된 관공립 학교에서는 내무대신 박영효가 국사와 국문 교육을 강력히 추진했기 때문에 역사교육이 근대학교의 새로운 교육을 대표하는 위치에서 진행되었다. 근대학교의 역사교육이 어떻게, 어떤 내용으로 진행되었는지 구체적인 자료가 남아있는 것은 없지만, 세계사와 한국사 교
참고문헌
깁부식, 이병도 역주, 『삼국사기-하권』, 서울: 을유문화사. p. 40
김한종, 2006,「역사교육의 변화와 과제」『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김한종, 「해방 이후 국사교과서의 변천」,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선인. p. 26 참조.
김흥수, 『한국역사교육사』,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p. 참조.
김흥수(1999), 「20세기 한국의 역사교육사」, 『歷史敎育』, 70, p. 153 참조.
이존희(1977), 「중·고등학교 역사교육 내용의 변천」, 『사회과 교육』, 10, pp. 47-48 참조.
정선영 외(2001),『역사교육의 이해』삼지원, pp. 286~287 참조.
정선영(2006), 「역사교육 이론의 변천」, 『歷史敎育』, 97, p.36 참조.
정선영, 「역사교육 이론의 변천 : 성과와 과제」. pp 40~43
황혜숙(2001), 「한국역사교육의 변천」,『사회과교육학연구』, 5, p.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