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

 1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1
 2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2
 3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3
 4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4
 5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5
 6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6
 7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7
 8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8
 9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9
 10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10
 11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11
 12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12
 13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와 청산별곡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속요
1. 개념과 성격
2. 작자층 및 수용자층
3. 형식상의 특징
4. 내용상의 특징
5. 문학사적 위치
Ⅱ. 분석
1. 전문과 해석
2. 의 서정성과 관련하여
3. 의 화자와 관련하여
Ⅲ. 의 화자에 대한 집중분석
1. 유랑민으로 보는 견해
2. 지식인층으로 보는 견해
3. 기녀로 보는 견해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고려속요

1. 개념과 성격
‘고려속요’는 일반적으로 고려시대의 시가 가운데서 경기체가·향가·시조·가사 등의 유에 속하는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우리말 시가 작품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학자에 따라 이를 ‘장가(長歌)·속악가사’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별곡(別曲)’이라는 이름으로 경기체가와 속요를 함께 묶어 양자의 공통성을 강조한 경우도 있으나, 많은 사람들이 경기체가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서 ‘고려속요’라는 말을 써 오고 있다. 그러나 이 말은 단일한 시가장르에 대한 명칭이라고 하기 어려운 데다가, 그 지칭 대상 작품들도 ‘민속 가요(민간의 노래)’만은 아니기 때문에 그 용어가 적절하거나 정확하다고 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작품의 대부분이 『악학궤범』·『악장가사』·『시용향악보』등의 악서에 실려 있으며, 고려 말과 조선 초에 궁중의 악장으로 주로 쓰이던 것이었다. 이처럼 현전하는 작품들은 궁중을 중심으로 한 상층인 사회에서 향수되던 것이기 때문에 고려시대 시가의 전모를 두루 반영하지 못하며, 또 대체로 시로서보다는 노랫말(歌詞)로서의 성격과 모습을 지니고 기록되어 전승되었기 때문에 얼마 안 되는 작품 수에 비해 매우 다양한 형태들을 보여준다.

2. 작자층 및 수용자층
대다수 작품들의 작자가 알려지지 않는데, 이를 고려속요의 생성방식 및 과정과 관련시키기도 한다. 속요의 밑바탕을 이루는 민요는 하층민의 집단적인 공동작으로 작자를 알 수 없는 것이 당연하며, 그러한 민요를 고려 후기에 왕실의 주변인물인 권문세족이 새로운 궁중무악 또는 연악으로 재편하여 궁중악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속요가 생성되었으므로, 속요를 처음부터 어느 개인이 뚜렷한 창작의식을 가지고 창출한 개인 창작가요로 볼 수 없고, 따라서 어느 특정인을 작가라 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
대다수의 고려속요가 궁중악으로 쓰였으며 또 궁중악을 수록한 문헌에 실려 있으므로 그 담당층은 왕과 권문세족을 중심으로 하는 상층 지식인 계층임에 틀림없으나, 그 사설의 원천은 민요에 있으므로 본래의 작자층은 민중층으로 볼 수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재창작하여 향유한 왕실과 권문세족은 수용자층으로 봄이 타당하다는 견해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3. 형식상의 특징
형태상으로 고려속요를 연시와 비연시의 두 가지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먼저 연 구분이 되지 않는 작품들을 한데 묶을 수 있는 바, 이를 첫 유형인 비연체시형으로 잡는다. 이들 작품은 다시 의미상 한 단락인 ,,과 의미상 두 단락으로 나눌 수 있는 과 , 그리고 서사적 구성으로 장편화한 로 다시 나눌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일정하게 연이 나누어지는 노래들, 곧 연체시형이 있다. 이들은 대개 동일한 여음구에 의해 규칙적으로 분련이 된다. 여음구를 규칙적으로 반복하며 각 연의 내용이 하나씩 완결되며 거듭되는 노래로는 이 있다. 한편 는 여음구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하나의 내용이 분단되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는 후렴구에 의하지 않고도 각 연이 나뉘어져 이채를 띤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연체시형
1) 의미상 일관 - 사모곡, 상저가, 유구곡
1) 의미상 독립 - 쌍화점, 서경별곡, 정석가, 동동, 청산별곡
3) 장편 서사화 - 처용가
2) 의미상 분단 - 정과정, 이상곡
2) 연체시형
2) 의미상 연결 - 가시리
3) 무후렴구 분련 - 만전춘 별사



고려속요의 형식상의 특징으로 흔히 ① 연형식(연장체)으로 되어 있음, ② 3음보격이 우세함, ③ 후렴구 또는 구음을 중간에 삽입함의 세 가지를 든다. 그러나 이에 부합되는 작품은 등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는 고려속요의 전반적인 특징이라기보다는, 고려 후기의 작품들에서 두드러진 경향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속요 형태상의 중요한 변수인 여음구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민간에서 불릴 때에는 필요치 않았던 앞소리나 뒷소리, 그리고 사잇소리 등이 악곡상 필요에 의해 이들 노래에 끼어들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들 여음구는 음악적 성격에서 생성된 것이지만, 우리는 이를 문학적 성격으로 다시 따져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기본적으로 악곡상 필요에 의해 생겨난 이들 여음구는 문학적으로 어떤 성격을 지니며 또 어떤 기능을 할까. 우선 연체시에 있어서는 각 연의 단락을 나누어주는 구실을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바탕으로 노래를 길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여음구가 맡는다. 또 비연체시에서는 흥을 돋우어주며 때로는 감탄이나 강조의 기능을 맡기도 한다. 이러한 여음구는 본디 감탄소리와 별 의미가 없는 돕소리, 그리고 악기의 반주에 따른 입시늉소리의 세 가지가 오랜 구전 끝에 정착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