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

 1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1
 2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2
 3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3
 4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4
 5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5
 6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6
 7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7
 8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8
 9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9
 10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울릉도, 울릉도의 환경, 화산지형]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울릉도의 기후,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Ⅱ. 울릉도 화산지형의 시기구분
1. 제1기 화산활동
2. 제2기 화산활동
3. 제3기 화산활동
4. 제4기 화산활동
5. 제5기 화산활동

Ⅲ. 울릉도와 제주도의 화산지형 비교

Ⅳ. 울릉도의 기후

Ⅴ. 울릉도의 식물군락 실태
1. 섬댕강나무군락
2. 솔송나무군락
3. 섬잣나무군락(Vegetation Structure of Pinus Parbiflora)
4. 우산고로쇠군락
5. 당마가목군락
6. 너도밤나무군락
7. 고추냉이 군락

Ⅵ. 울릉도의 지역별 식물군락
1. 사동리(장흥초등학교)-안평천 일대
2. 도동-성인봉-남양 일대
3. 저동-나리령-나리동-천부-저동 일대
4. 구암(남양초등 구암분교)-구암천 일대-남량리 해안-통구미 일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울릉도 화산지형의 특징

울릉도 전 지역에서 우리 유관으로도 쉽게 볼 수 있는 것이 과거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수많은 화산지형과 화산암들이다. 이러한 화산섬으로써의 특징은 특히 도동해안, 울릉도 일주도로 일대, 나리분지, 성인봉 등에서 관찰할 수 있다. 울릉도는 신생대 제3기 말에서 제4기초,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화산도로써 이때 분출된 점성이강한 조면암과 안산암 및 응회암이 주를 이루고 있다. 울릉군은 주도인 울릉도와 많은 부속섬으로 되었다. 즉 독도와 죽도, 깍새섬 그리고 삼선암, 일선암, 공암, 딴방우, 북저바우, 청도 등 34개의 부속 바위섬으로 되어 있다. 울릉도는 해저에서의 지름이 30㎞, 해저로부터의 높이가 3,000m에 달하는 대형 화산의 일부만이 해면위로 솟아 있는 화산도로서 동서와 남북간의 거리가 12㎞ 및 10㎞, 둘레는 44㎞, 면적은 72.9㎢이다. 울릉도는 현무암도 나타나지만 주로 조면암과 응회암 및 집괴암으로 이루어졌으며, 섬의 대부분이 화산회로 덮여 있다.
섬의 북쪽 중앙에는 지름 3.5㎞의 거대한 칼데라인 나리·알봉분지가 있고, 그 사이에는 중앙화구구인 알봉(611m)이 솟아 있다. 화산회편년에 의하면 약 2만여년 전에 아이라 화산회층이 쌓인 후 수 천년의 간격을 두고 일어난 플리니식 분화로 화도와 화구벽이 크게 붕괴되어 앞서 이미 형성되었던 칼데라가 확대되었다. 9,300년 전까지 플리니식 분화가 두 차례나 더 일어나 칼데라는 점점 넓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최후의 대규모 분화활동은 약 6,300년 전의 키카이 화산회층이 쌓인 후 약간의 시간간격을 두고 일어 났는데, 그것은 폭발 정도 때 형성되었고, 2枚의 작은 조면암질 안산암의 용암류도 흘러나왔다. 그리고, 토양층의 발달정도를 보아서 울릉도의 지표를 덮고 있는 화산회는 2,000˜3,000년 전의 마지막 분화시에 분출된 것이라고 추측된다.
알봉이 솟아오르면서 울릉도의 칼데라는 해발 약 250m(나리분지)와 약 500m(알봉분지)의 상하 2단의 화구원으로 분리되었다. 알봉·나리분지는 울릉도 유일의 넓은 평지로서 면적이 약 1.5㎞에 달한다. 화구원이란 화구 또는 칼데라 안에 펼쳐진 평평한 땅을 가리킨다. 한편
참고문헌
권병규, 울릉도·독도답사기요 : 울릉도 및 독도의 생물상 개관, 경북대학교
경상북도, 울릉도 성인봉 원시림 및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 학술 조사 보고서, 경상북도, 1990
김종홍·박문수·김영문, 92 자연 생태계 지역 정밀조사 보고서-울릉군- : 울릉도의 식생, 환경처, 1993
문화재관리국, 울릉도 종합학술조사보고서 오대산 및 소금강 종합학술예비조사보고서,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1
박기성, 울릉도, 대원사, 1995
이은복 등, 92 자연생태계 지역정밀조사 보고서 울릉군 : 녹지자연도 및 식물상, 환경처, 1993
이우철·양인석, 울릉도 및 독도 종합학술조사 :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198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