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

 1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1
 2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2
 3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3
 4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4
 5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5
 6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6
 7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7
 8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양]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언
Ⅱ. 고문헌 디지털화의 필요성과 그 방법
Ⅲ.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
1. 국립중앙도서관
2. 서울대학교 규장각
3.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4. 문화재관리국
5. 국사편찬위원회
6. 기타
Ⅳ. 결언
본문내용
Ⅰ. 서언
최근 고서(古書)와 고문서(古文書)를 포함하는 고문헌(古文獻) 등에 디지털(digital)기술을 적용하는 국내외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문(全文)정보를 서비스하는 디지털도서관의 목적과 부합하여 접근이 제한되었던 고문헌을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디지털도서관은 전문(全文)의 디지털정보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서비스를 기본 개념으로 하는 새로운 도서관서비스의 한 형태이며 인터넷을 통한 고문헌의 서비스도 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화된 고문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할 필요성과 그 방법을 우선 살피고, 원문정보를 중심으로 고문헌의 디지털화를 구축하고 있는 국내 사례들을 통해 그 시스템들을 소개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Ⅱ. 고문헌 디지털화의 필요성과 그 방법

1. 필요성

정보환경의 발전으로 이용자들은 개인 컴퓨터나 단말기를 통하여 모든 정보를 입수하고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지만 고서나 고문서의 경우에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즉 정보이용에 시간.공간적 제한을 가지기 때문에 고문헌의 원본(原本) 뿐 아니라 영인본(影印本)이나 마이크로필름의 형태로 제작된 것일 지라도 같은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최근 들어 대용량 DB 구축과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는 이미지 입력기술과 통신수단은 고문헌의 원본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다음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영인본이나 마이크로 필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율적인 보존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참고문헌
1. 유사라. 멀티미디어 정보 관련 기술과 표준안에 대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제13권 2호 (1996.12) pp.55-68.
2. 한상완 등. 국가디지털 도서관 구축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0권 3호 (1996.9) pp.37-65.
3. 강순애. 한국 고문헌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전망. 제7회 4개학회 공동학술대회논문집. 1997. pp121-151.
4. 이지영, 최석두. 고문헌의 디지털화에 관한 연구. 제4회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1997. pp.183-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