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

 1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
 2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2
 3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3
 4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4
 5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5
 6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6
 7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7
 8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8
 9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9
 10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0
 11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1
 12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2
 13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3
 14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4
 15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5
 16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6
 17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7
 18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8
 19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19
 20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한국사 A+ 요약정리 노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부 원시사회
제1장 석기시대의 문화
제2장 청동기문화와 군장국가

제2부 고대사회
제1장 초기국가의 성립
제2장 고대국가의 발전
제3장 남북국가의 발전
제4장 신라후기의 사회변동

제3부 중세사회
제1장 문벌귀족사회의 형성
제2장 귀족사회의 발전
제3장 무신란과 무신정권
제4장 고려후기사회의 변동

제4부 근세사회
제1장 양반관사회의 성립과 집권체제의 확립
제2장 양반관료사회의 발전
제3장 사림정치와 대외항쟁
제4장 양반체제의 개편
제5장 조선후기의 사회, 사상의 새 기운

제5부 근대사회
제1장 근대화의 추진
제2장 제국주의침략과 국권수호운동
제3장 국권회복운동의 전개

제6부 현대사회
본문내용
Ⅰ. 귀족사회의 지배체제
중앙의 정치제도
cf. 성종전까지는 태봉의 관제를 답습한 광평성, 내봉성, 순군부, 병부와 내사성
3성6부는 당제, 중추원과 삼사는 송제,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은 고려
중서문하성(재부): 종1품의 수상인 문하시중, 2품이상의 재신(성재,재상,5재)은 백관을 통령, 3품이하의 낭사(성낭, 간관)는 간쟁과 봉박
상서성: 6부를 관할, 실무기관에 불과, 장관인 좌우복야는 재상에 포함되지 못함 (고려는 실질적으로 1성체제)
6부: 상서(정3품)는 재신들이 겸. 이병호형예공. 일부에만 속사제로 單司制 원칙
중추원(추밀원,추부): 2품이상의 추신(추밀,7추)은 군사기밀관장, 3품이하의 승선은 왕명출납
삼사: 단순한 재정회계기관
도병마사와 식목도감: 양부고관인 5재7추가 모여 국가중대사를 협의 결정. 도병마사는 대외적 국방, 군사문제, 식목도감은 대내적 법제, 격식문제
어사대: 시정을 논집하여 백관을 규찰,탄핵 사관: 역사편찬
성대(대간):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낭사를 부르는 말. 서경의 권한으로 왕권 견제
cf. 5재와 7추는 서로 겸직 못함

지방행정조직
몇개의 군현(14개 경,도호부,목)을 계수관으로 삼아 향공의 선상, 외옥수의 추검을 맡아 제한된 기능에서나마 중간기구의 역할을 맡게 함. 고려의 군현제는 계수관, 일반주현, 속현의 누층적 구성
중기부터는 계수관 대신 5도(안찰사),양계(병마사)설치
cf. 고려 안찰사: 임기6개월, 임시순찰직, 상피제 원칙만 있고 적용안됨
조선 관찰사: 임기360일, 상주총책임직, 상피제 적용
cf. 상피제: 자기연고지로 부임못하고, 친족끼리 같은 관부에 못있게 하는 제도
양계의 방어사주, 진은 초기, 5도의 주부군현은 예종때 마련
군현에는 지방출신의 호장, 부호장등 향리가 수령밑에서 말단행정 담당, 향리는 속현이나 부곡에도 있었다.
cf. 향리는 장리, 외리, 리로도 호칭됨. 주부군현향리의 우두머리는 호장, 향소부곡역진은 장이라 호칭됨. 향리들은 향촌사회의 지배세력으로 행정적 직능외에 향촌사회의 자치적 기능도 관여. 신라이래 불상, 종, 석탑을 조성하거나 법회의 노동력제공 등 불교활동을 벌여온 香徒가 자치단체로 변신하여 호장의 지도를 받음.
향, 부곡은 농민 거주(신라때 생김). 부곡이 군현으로 군현이 부곡으로도 됨.
고려 때 생긴 所는 금, 은, 동, 철, 종이, 먹, 도자기 등 특정공장들의 집단거주지
촌에는 외관이 파견되지 않고 1촌1성의 원칙
하고 싶은 말
지난 한 학기 동안 열심히 작성한 A+ 파워서브 자료입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