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

 1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
 2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2
 3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3
 4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4
 5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5
 6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6
 7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7
 8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8
 9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9
 10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0
 11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1
 12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2
 13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3
 14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4
 15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5
 16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6
 17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7
 18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8
 19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19
 20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행정사] 노무현 참여정부와 추진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노무현 대통령의 약력
2. 노무현 대통령의 생애를 통한 정치성향의 형성
3. 노무현 대통령의 권력기반 : 386 운동권
4. 참여정부의 국정이념
5. 참여정부 출범당시의 환경


Ⅱ.본론

1. 경제 (FTA, 종부세)
2. 인사
3. 행정 (행정수도 이전)
4. 외교
5. 정치
6. 복지
7. 교육
 

Ⅲ.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의 등장은 이전의 정부와의 정치적 성향과 비교해 보았을 때 많은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박정희 정부부터 김대중 정부에 이르기까지 유지 되었던 보수주의적 성향의 정치세력들이 노무현 정부로 들어와서는 젊고 진보적 성향으로 대체 되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된 이유 또한 이러한 기존 정부와는 다른 차별적 성향을 띄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 보수주의적 성향의 회의를 느낀 젊고 진보적 성향의 유권자들의 전폭적인 지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들의 엘리트적 성향과는 다른 서민을 위한, 사회적 약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역대 정부에서 대통령 1인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제왕적대통령성향에서 권력을 분산하는 민주적대통령의 성향을 보이고 있다. 즉 참여정부는 출범과 함께 우리사회 전반에는 다음 5가지 정치권력의 이동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① 5060에서 3040으로 이동
② 다수파에서 소수파로 이동
③ 제도권에서 운동권으로 이동
④ 중앙에서 지방으로 이동
⑤ 규격에서 파격으로 이동
따라서 우리 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의 성향을 바탕으로 다른 역대 정부와는 구별되는, 참여정부만의 차별적 성격을 지닌 정책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정책이 등장한 배경과 내용, 그리고 결과를 분석하는 위주로 보고서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정책을 분석하는데 앞서 노무현 대통령의 기본적인 배경과 참여정부의 국정이념, 참여정부 출범 당시의 배경 등에 대해서 먼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노무현 대통령의 약력
년도
약력
1946년
경상남도 김해 진영에서 출생
1966년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53회)
1968년~1971년
육군 상병 만기제대(을지부대)
1973년
권양숙 여사와 결혼
1975년
제17회 사법고시 합격
1977년
대전지방법원 판사
1978년
변호사 개업(법무법인 부산) 1981년 부림사건 변론 이후 인권변호사로 활동 시작
1984년
부산 공해문제연구소 이사
1985년
부산민주시민협의회 상임위원
1987년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부산본부 상임집행위원장(6월민주항쟁 주도)
대우조선 사건으로 구속, 변호사 업무 정지 처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통일민주당, 부산 동구)
‘제5공화국에있어서의권력형비리조사특별위원회’위원(5공 청문회)
1989년
국회 노동위원회(간사) 활동
1990년
민자당이 탄생하게 된 3당합당 거부, 민주당 창당 주도 민주당 기획조정실장 민자당의 방송관계법 날치기 통과에 항의, 김정길, 이철, 이해찬 의원 등과 함께 의원직 사퇴서 제출
1991년
신민·민주 야권통합 주도(통합협상 대표) (통합)민주당 대변인
1992년
제14대 총선 출마(민주당, 부산 동구), 낙선
제14대 대통령선거 청년특위위원장, 물결유세단 단장
1993년
민주당 최연소 최고위원, 지방자치실무연구소 개소
1995년
부산시장 선거 출마, 낙선
1996년
제15대 총선 출마(민주당, 서울 종로), 낙선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 활동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SBS 라디오 뉴스대행진 진행
수도권 특별유세단(파랑새유세단) 단장
1998년
15대 국회의원 종로구 보궐선거 출마, 당선(새정치국민회의)
현대자동차 파업 중재
1999년
종로구 지역구 포기 및 부산출마 결단 기자회견
새정치국민회의 동남지역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
2000년
제16대 총선 출마(새천년민주당, 부산 북강서을), 낙선
해양수산부 장관 재임(2000년 8월 - 2001년 3월)
2001년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대우자동차 서포터 광고모델(154,451번째 서포터)
2002년
국민경선제를 통해 새천년민주당 대통령후보로 선출
제16대 대통령에 당선


노무현 대통령은 해방 이듬해인 1946년 경남 김해의 시골 농가에서 태어나 1966년 부산상고를 졸업했다. 1975년 사법시험에 합격해 대전지법 판사를 지내다 1978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했다. 1981년 시국 사건의 변호를 맡기 시작하면서 인권변호사로 변신해 1987년 6월 민주항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등 민주화의 한길을 걸었다. 1988년부터는 정치에 참여해 원칙과 소신을 지키며 정치변화를 선도했다. 제13, 15대 국회의원과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했고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을 지냈다. 이 과정에서 지역주의의 장벽에 막혀 네 번이나 낙선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실에 굴하지 않고 새로운 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다. 2002년 최초의 국민경선제에 의해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고, 그 해 12월 국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지로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 노무현 대통령의 생애를 통한 정치성향의 형성

노무현은 1946년 8월, 경남 김해시에서 3남 2녀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막내로서의 심리상태가 그러하듯이 실제로 노무현은 눈물이 많고, 특히 빈곤과 학력에 대한 콤플렉스가 강했다. 그는 초등학교 때 등록금을 제대로 납부하지 못할 정도로 집이 매우 가난했다. 어린 노무현에게 극빈생활은 단순히 가난 콤플렉스를 심어주는 데 그치지 않고 성격 형성을 비롯해 정신세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특히 유난히 자아의식이 강했던 노무현에게 가난 때문에 가장 견디기 어려웠던 고통은 비굴함이었다. 비굴하지 않기 위해 더욱 자존심을 내세웠고 때로는 자학적인 심통을 부리기도 했다고 고백한 바 있다. 그래서인지 노무현은 어릴 때부터 가진 자에 대한 거부감이 강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부잣집 아이의 새 가방을 몰래 면도칼로 찢고 자백을 거부했다. 시골아이들과 작당해 읍내 잘사는 집 아이인 급장에게 걸핏하면 시비를 걸기도 했다. 이런 감정이 대통령이 된 뒤에도 그대로 이어져 부유층, 기득권층, 특권층, 주류에 대한 거부감으로 연결됐다. 비주류와 주류, 소외세력과 기득권층, 진보와 보수 등 매사를 둘로 쪼개는 피아 흑백논리의 뿌리도 여기서 출발한다.
노 대통령의 진보적 역사관 또한 어린 시절의 고통과 고난에 근거한다고 설명했다. 학창 시절의 빈곤과 소외감이 보수기득권 타파심리를 강화했고, 정신적 지주였던 맏형과 아버지에게서 광복 직후의 부조리한 정치상황에 대해 설명을 들으면서 개혁적 역사의식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여성관도 특별하다. 청소년기 노무현은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는 ‘마초이즘’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는 아버지를 구박하는 어머니를 보면서 “야박하고 극성스러운 여성의 이미지를 접했다”고 술회했다. 노무현은 마을에서 유일
참고문헌
- 한국정부개혁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신중호/2006
- 대통령 리더십 연구/권환진/2007
- 한국행정개혁의 경로의존성 분석/김연수/2006
- 혼란과 좌절 그 4년의 기록
-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
- 이춘근, 『21세기의 한미동맹관계』, 자유기업원 , 2004
- 박종수, 『러시아와 한국』
- 이수훈, 『세계체제, 동북아, 한반도』
- 통일부, 󰡔참여정부의 평화번영정책󰡕, 통일부, 2003. 3.
- 김영재,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國際文化硏究」(청주대학교 국제문제연구원 2006) - 고유환,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 과제와 전망,”「국제문제연구」(국제문제조사연구소
2003)
- 김근식, “노무현 정부의 평화번영정책,”「통일문제연구」(평화문제연구소 2004)
- 전정태, “대북정책의 현황과 전망,”「교과교육연구」(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3)- - 김용웅, 2003, 『시론: 지방분권형 국가전략』” 대한매일 2003.01.11자.
- 김경환 외, 2002, 『미래지향적 수도권 정책: 경제학적 접근』,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 민경휘, 2003, “수도권 경제력집중, 규제 불구 계속 심화,” 『KIET 산업경제정보』 145호(2003-08).
- 신행정수도후속대책위원회 2004. 12.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추진현황』「참여정부국정운영백서」. 국정홍보처
-「인물과 사상 26 - 노무현 정권의 딜레마」. 개마고원

-논 문-
- ‘주변 4국의 중장기 동북아 안보 전략 분석’, 동북아시대위원회 연구용역보고서
- 조선일보 2004년 4월11일자 동북아시대위원장 문정인 특별기고
-‘참여정부의 복지정책 평가’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명훈 교수


-사이트-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http://www.macc.go.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