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

 1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
 2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2
 3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3
 4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4
 5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5
 6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6
 7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7
 8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8
 9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9
 10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0
 11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1
 12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2
 13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3
 14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4
 15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5
 16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6
 17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7
 18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8
 19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19
 20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양건축사] 메디치가의 후원과 르네상스 건축의 발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II. 메디치家 사람들
ⅰ. 조반니 디 비치
ⅱ. 코시모 일 베키오
ⅲ. 피에로 일 고토소
ⅳ. 로렌조 데 메디치
ⅴ. 레오 10세
III. 예술의 도시 피렌체
Ⅳ. 메디치가의 건축가들
V. 건축예술후원의 가치와 현실의 이익
VI.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르네상스(Renaissance)란 말은 처음 들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르네상스란 의미는 학문과 예술의 발전과 부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과연 어떤 종류의 부활이란 말인가 하는 궁금증을 가진 필자는 암흑시대라고도 불리던 중세의 종교와 신분적 억압에서 벗어나 보고 싶고, 알고 싶고, 이해하고 싶다는 욕망의 분출. 바로 그것이 나중에 후세인들이 르네상스라고 부르게 된 정신운동의 본질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나 대중매체를 통한다거나 혹은 직접 방문한다던가 하는 방법으로 현대인들은 과거 그 시대의 찬란한 문명과 접할 수 있다. 르네상스라는 시대의 도약의 문을 연 이탈리아의 수많은 도시 중 르네상스 문화의 중심지로 남겨진 곳은 천재들의 도시이자 꽃의 도시라 불리던 피렌체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여 피렌체가 중심지로서 나설 수 있었을까? 그 까닭을 정확하게 논하고자 한다면 우선 근대의 목전 15세기에 들어서자 피렌체에는 천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 중심에 선 자들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등의 화가들과 단테, 마키아벨리와 같은 문학가들까지 모두 다 피렌체가 자랑스러워할만한 르네상스의 거장들이 있었다.
건축에서는 브루넬레스키가 있다. 15세기 초 마사초와 도나텔로가 회화와 조각의 새로운 양식을 확립했던 것처럼, 피렌체의 건축가 브루넬레스키는 Santa Maria del Fiore 돔(dome)의 건설공사를 시작으로 해서 중요한 여러 가지 건축에 종사하여 새로운 구성을 실현하고 르네상스 건축의 개척자가 되었다. 세기가 바뀌었다고 볼 수 있으나, 북이탈리아에서는 아직도 고딕(Gothic)양식이 강하게 남아있었으며, 반면에 피렌체에서는 브루넬레스키에 의해 중세의 양식에서 탈피하여 밝고 질서있는 건축구성이 하나하나 시도되고 있었다. 그 배후에는 피렌체의 지배자였던 메디치 가문이 문예보호에 큰 관심을 가졌던 것이 큰 작용을 하고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이어져온 혈통과 소유하고 있는 토지가 인간의 가치를 가르쳐주던 것이 중세시대였다. 하지만 메디치(Medici) 가문은 고귀하다고 자랑할 만한 피가 흐르는 왕족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엄청난 영지를 지니고 있는 대영주인 것도 아니었다. 그러한 그들이 현대로 비교하자면 케네디나 록펠러도 비교하지 못할 만큼의 권력을 유지하고 르네상스를 탄생시키는데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며 또 그렇게 하고자 했던 목적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300년에 가까운 시간동안 왕관만 없는 왕가였으며 피렌체의 지배자였던 메디치 가문이 단순하게 문화예술을 탄생시키는데 순수한 기쁨만을 느끼고 아무런 사심이 없는 후원을 행했다면 그것은 위선이라도 말할 수 있었을 것이다. 당시의 피렌체는 상인이 아니면 존경을 받을 수 없다고 알려진 최초의 현대도시라 할 수 있었다. 이들의 정점에 서 있는 메디치 가문은 당연 실리를 가장 우선으로 여기는 상인가문이었다. 단순하고 고상한 취미만을 위해 엄청난 자금과 시간을 투자했다는 것은 당연 상인의 지침에 어긋나는 것이다.
르네상스에서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 또는 건축을 하는 사람은 이미 단순한 수공예 직인이 아니라 지적인 기술가로써의 직인이었다. 그와 같이 직인이 예술가라는 사실을 가장 명백하게 나타냈던 것은 건축의 영역이었다. 옛날부터, 건축가는 예술가이며 또한 지적인 기술가였다. 세기 가장 대규모 사업이었던 Santa Maria del Fiore의 돔의 건설이라는 사건은 무엇보다도 건축가의 위치가 상승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종교건축뿐만 아니라. Palazzo(궁전, 저택), Villa(별장) 등과 같은 세속건축도 또한 건축가의 중요한 과제이며, 그곳에는 종교건축과는 다른 자유롭고 풍부한 조형이 전개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은 피렌체에서 이탈리아 각 지역으로 확산이 된다. 건축가의 위치를 상승시켜주었다는 것은 메디치가는 자신들의 권력과 영광을 위한 메디치 드라마 탄생을 위해 르네상스의 문화예술의 강력한 후원자로 탄생했다는 것이 가장 합당한 이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메디치 가문의 황금기와 예술의 도시인 피렌체에서의 메디치가문의 역할 그리고 메디치 가문의 건축문화예술 후원의 목적에 대해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르네상스 건축, 지연순, 전진희 공역 / 세계사 펴냄 2008-01-05
이태리 르네상스 건축사, 주남철 지음 / 고려대학교 출판부 펴냄 1987-01-05
건축의 르네상스, 권명오 지음 / 시공사 펴냄 1997- 05-30
주거로 읽는 역사도시의 기억들 피렌체 - 시민정신이 세운 르네상스의 성채 손세권 지음/ 열화당 펴냄 2007-12-01
ITALIAN ARCHITECTURE of the 16th Century - COLIN ROWE
메디치가이야기, Hibbert, Christopher 생각의나무 펴냄 I 2000-01-01
메디치, G.F. Young , 이길상 지음 / 옮김 현대지성사 펴냄 I 2001-10-25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 시오노 나나미 , 오정환 지음 / 옮김 한길사 펴냄 I 2002-06-20
르네상스 미술과 후원자, 이은기 지음 / 옮김 시공사 펴냄 I 2002-03-10
르네상스를 만든 사람들, 시오노 나나미 , 김석희 지음 / 옮김 한길사 펴냄 I 2001-09-20
르네상스의 이태리 화가들, 버나드 베른슨 , 최승규 지음 / 옮김 한명 펴냄 I 2000-05-01
http://www.medici.org/hum/history.html- ABOUT THE MEDICI GRANDUCAL ARCHIVE
피렌체 르네상스, 리처드 터너 , 김미정 지음 / 옮김 예경 펴냄 I 2001-05-20
http://www.pbs.org/empires/medici/index.html- The Medici
G. Vasari. Lepiveccellenti architetti, scultori.pittiri 1568, 이근배 번역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가전 III 탐구당I 1995
르네상스 미술여행, 라이너 마리아 릴케, 김향 지금/ 옮김 가람기획 펴냄 I 2001-02-12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 이기숙 지음 / 옮김 한길사 펴냄 I 2003-12-10
서양미술사1, 진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