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

 1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1
 2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2
 3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3
 4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4
 5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5
 6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6
 7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7
 8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8
 9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중문화] 한류담론의 발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한류 담론의 발생
- 조한혜정 외「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한류라고 명명할 만한 실체가 있다면, 그것은 순수한 한국문화에 관한 논의인가, 아니면 대중문화를 통한 자본증식 논리를 정당화하는 논의인가?

대중문화연구와 한류 담론
- 대중문화 연구

‘한류’ 담론과 ‘한류’ 그리고 대중문화연구

한류의 민족주의와 한류의 나아갈 길
- 이동연 『한류 문화자본의 형성과 문화민족주의』를 중심으로

한류와 종족적 민족주의 (韓流? 寒流? 汗流?)


본문내용
한류 담론의 발생
- 조한혜정 외「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15세기 이후 서양과 동양이 만났을 때 서양은 단순히 동양을 무력으로 지배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동양을 창조해내었다. 4~5세기에 걸친 제국주의 역사를 통해 서양은 줄곧 인식의 주체였고 동양은 인식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이러한 질서가 변할 조짐이 왔다. 전지구화 시대의 지각 변동 속에서 서양은 자신들이 기획한 근대가 실패하고 있음을 느끼며 탈근대 논의를 일으켰고 동양은 뒤늦게나마 근대의 하부주체가 아닌 당당한 주체로서 참여하려는 탈식민주의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이는 동양과 서양을 구성해 왔던 지식체계에 대한 전면적 재해석 작업으로 이어졌고 동․서양의 이분법식 사고 자체를 해체해야 한다는 인식이 싹트고 있었다.
한류 담론의 발생은 이런 시점에서 일고 있는 한 사건이다. 구체적으로 ‘한류’란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을 위시하여 대만, 홍콩, 베트남 등의 주민(특히 청소년)사이에서 번지고 있는 가요, 드라마, 패션, 관광, 영화 등의 한국 대중문화를 향유․소비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근대화를 통해 나름대로 경제력을 확보한 동아시아의 주민들이 서양의 대중문화가 아닌 동아시아의 대중문화를 향유하려는 움직임이다. 즉, 한류의 형성은 동아시아가 스스로 인식의 주체가 되려는 강한 욕망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류는 급격한 산업 자본주의적 발전을 겪은 아시아 사회 내부의 다양한 갈등들을 자본주의적 물적 욕망으로 포장해 낸 한국 대중문화의 능력으로 생성되었다. 한국의 대중문화가 인기 있는 상품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유통된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기 때문에 국내 언론은 이 현상에 대해 폭발적인 관심을 보였고 문화 연구자들도 학문적 분석의 대상으로 한류를 다루기 시작했다.
2001년 초 한류에 대한 기사는 연예란을 통해 “한국 문화가 아시아에서 뜨고 있다”, “아시아에 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불고 있다!” 는 소식을 전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사들을 중심으로 ‘한류’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그리고 이 한류라는 이름은 어쩌면 한국이 그렇게도 열망하던 ‘아시아의 중심’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상상을 불러일으켜 한국을 흥분시켰다. 이러한 한류 현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문화 상품 시장, 그 시장을 주도하는 주체들, 새롭게 부상하는 아시아 지역과 더 이상은 근대적 용어로 파악할 수 없는 복잡다단한 현실이 그대로 보인다. 그것은 한마디로 변화의 와중에 있는 한국 사회의 축소판이다. 저자는 한류를 “터보 자본주의의 산물이며 결국 자본의 논리에 의해 좌우되는 현상” 이라 말한다. 한국은 분명 서구에서 일어났던 거대한 근대 기획에서 현재로서는 나름대로 성공한 나라에 속한다. 그리고 한류 열풍은 이러한 성공을 가시화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은 ‘서구가 우리 몸 속을 통과한’ 상태라는 중국 문화 연구자 백원담의 표현(2002)은 지금의 한국 상황을 아주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는 말이다. 사실상 서구는 이미 비서구 사회 내부에 있으며 더 이상 서구의 것과 우리 것을 구분해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서구 제국주의와 식민지, 제1세계와 제 3세계로 이분되었던 시대 구분도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한류의 발생은 국경을 넘나드는 초국적 자본과 미디어의 이동, 그리고 사람의 이동으로 일어나는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초문화화’ 현상의 일부이자 ‘권력 재편’의 과정으로 파악되어야 할 현상이다. 한류는 매우 복합적인 근대 기획의 산물이며 그런만큼 복합적인 현상 자체로 분석되어야 하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