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

 1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1
 2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2
 3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3
 4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4
 5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5
 6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6
 7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7
 8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8
 9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9
 10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10
 11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11
 12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12
 13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13
 14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문학사를 통해 알아보는 무정의 근대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임화 「조선신문학사론서설」
Ⅰ. 임화
Ⅱ. 이광수 문학의 한계
ⅰ. 형식
ⅱ. 사회관


Ⅱ. 조연현 『현대문학』
Ⅰ. 조연현
Ⅱ. 최초의 근대소설『무정』
- 『무정』의 근대성
ⅰ. 형식상의 특질
1) 언문일치
2) 한층 더 세밀해진 묘사
ⅱ. 내용상의 특질
1) 자아의 각성
2) 권선징악의 청산과 극복
ⅲ. 『무정』을 중심으로 본
이광수 문학의 한계점
1) 주제의 비독창성과 상식성(常識性)
2) 구성의 공식성과 유사성
3) 표현의 추상성과 개념성
4) 설교의 과잉과 이념의 비현실성


Ⅲ.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Ⅰ 김윤식․김현
Ⅱ.「무정」이 갖는 근대성과 그 한계
ⅰ. 한글 문체의 사용
ⅱ. 사고하는 주체의 객관화
ⅲ. 자유연애사상
ⅳ. 개화 ․ 계몽 사상


Ⅳ.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Ⅰ. 조동일
Ⅱ.「무정」이 갖는 근대성
Ⅲ.「무정」의 한계
ⅰ.구조상의 한계
ⅱ. 사회관의 한계

Ⅴ. 보충자료 -


Ⅵ. 우리가 바라본 무정의 근대성과 전근대성
Ⅰ. 무정의 근대성
ⅰ. 형식적 근대성
1) 사실적이고 다양한 묘사
2) 문장기법의 발전
ⅱ. 내용적 근대성
1) 구시대적 윤리관의 비판과 여성의 성장 과정
2) 자유연애사상
Ⅱ. 무정의 전근대성
ⅰ. 우연적 요소에 의한 사건 전개
ⅱ. 지나친 계몽성
ⅲ. 고전소설적 결말
ⅳ. 신소설적 요소
ⅴ. 문체의 사용



본문내용
Ⅰ. 임화 「조선신문학사론서설」1935년
Ⅰ. 임화

임화의 이광수에 대한 평가는 조선중앙일보에 1935년 10월 9일부터 11월 13일까지 연재된 「조선 신문학사론 서설」중 3번째 글인 ‘춘원문학의 역사적 가치’(10월 13일부터 10월 22일까지 6일분)에 나타나고 있다.

「조선 신문학사론 서설」에서 그는 철저히 유물론적인 관점에서 이광수의 문학을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임화가 카프(KAPF,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연맹)의 서기장 출신이었음은 물론, 광복 후의 그의 행적과 (남로당활동, 조·쏘문화협회 활동, 북한군에 종군 등) 무관하지 않다.
‘이광수의 문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하는 명제에서 임화는 기존 ‘신경향파’들의 관점 - 유물론 - 을 차용한다.

“다만 현실을, 우리의 생활을 변혁해야만 우리의 문학을 혁명할 수 있고 -중략- 예술 이것을 해방시키고 생명의 본질을 찾자면 우리는 우리의 생활을 변혁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금일의 문학, 명일의 문학 김기진, 「금일의 문학·명일의 문학」『개벽』대정 13년 2월호


“시대마다 위대한 생활의 발견이 위대한 예술을 출생시킨다”
「조선을 지나는 뷔너스 박영희, 「조선을 지나는 뷔너스」『개벽』12월호


Ⅱ. 이광수 문학의 한계

임화는 김동인의 말을 빌어 김동인, 「춘원연구」
‘새로운 감정’ (자유연애, 계몽성)의 효시적인 표현과 구어체로 써진 장편이라는 측면에서 이광수 문학의 진보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춘원이 독행천리의 기개로써 신문학 발전의 공고한 기초를 쌓아올린 존귀한 업적을 추호라도 과소하게 평가 임화,「조선 신문학사론 서설」,임규찬 외 편『임화신문학사』한길사(1993) P. 330
’하지는 않음을 주지하였으나 앞서 말한 대로, 유물론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기 때문인지 임화의 전반적인 평가는 결코 우호적이지 않다.

ⅰ) 형식
이광수문학이 그에 선행한 이인직·이해조의 문학보다 다소 월등한 것일 수는 있을지언정, 그 문체에서 ‘이러라’,‘이로다’,‘하더라’ 따위의 구시대적 유물이 잔존해있다는 점을 들어, 이인직·이해조와 그 전 세대의 문학 간의 현격한 차이에는 비할 수 없는 것이라 평가하였다. Ibid. PP.329 ~ 330


ⅱ) 사회관
임화의 비판은 이광수의 사회관부분에서 절정을 이루는데, 이광수의 문학이 ‘제제의 범위, 그 근대성, 묘사의 일층 풍다화 ․ 정밀화와 시대적 정신을 일층 명확히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진보 Ibid. PP.329 ~ 330
’라 할 수 있으나, 이인직 식의 ‘철저하지 못한 근대의식의 확대재생산’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한계성을 지적하였다.

‘부르조아지는 자기의 본래욕구 이익 추구
를 다른세력 일본 제국주의
에 의하여 저지당하고 -중략- 농민들 또한 근대적 민주적인 제욕구를 억류당하는 상황에서 -중략- 그의 자본가, 지식인, 브루주아지
힘은 너무나 약했고 -중략- 하부 농민, 민중, 프롤레타리아
의 압력은 지나치게 큰 (상황이었다)-후략-’
「무정」창작 당시(3·1운동 직전)에 대한 임화의 정리 임화,「조선 신문학사론 서설」,임규찬 외 편『임화신문학사』한길사(1993) PP.332 ~ 333에서 인용


또한 유물론적 관점에서 이러한 시대의 문학작품은 의당 ‘자유를 희구하는 인간군’에 대한 이야기를 사회적 개인적 양면을 종합적 전형화하여 묘사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야 한다는 역사적인 요구가 있었음에도, 작품 『무정』을 비롯한 이광수의 문학은 ‘자유연애쟁이’ 따위의 일면적인 묘사에 그쳤다고 할 수 있다 Ibid. P. 335에서 인용
는 점을 이광수의 문학의 한계점으로 꼽고 있다.

‘당시 인간의 종합된 전형화를 위해서는 당시 인간이 생활하는 현실적 사태 정황에 대한 이해와 묘사 없이는 불가능함에도 춘원은 사태정황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여 인간적 형상의 창조를 일면적인 것으로 제한시켰다 Ibid. P. 335
.’


Ⅱ. 조연현 『현대문학』1956년
Ⅰ. 조연현

조연현(문학평론가, 1920.9.8~1981.11.24)은 『현대문학』에 1955년 6월부터 1956년 12월까지 연재된 후 단행본으로 출판된 『韓國現代文學史』 에서 최초의 근대소설로서의『무정』에 대한 논의를 하고, 에서 이광수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

이광수와 『무정』에 대해 조연현은 그 한계점에 대해서도 논하면서도 이광수와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