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

 1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
 2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2
 3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3
 4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4
 5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5
 6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6
 7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7
 8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8
 9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9
 10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0
 11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1
 12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2
 13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3
 14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4
 15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5
 16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6
 17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7
 18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8
 19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19
 20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행정] 미디어교육의 진단과 평가 0k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절. 미디어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1. 미디어교육이란
2.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3. 미디어교육의 궁극적 교육목표
2절. 미디어 교육의 목적과 원칙 및 효과
1. 미디어교육과 기존 교육과의 차이
2. 미디어교육의 목적
3. 미디어교육의 5가지 기본원칙
4. 미디어교육의 효과

3절 외국의 미디어교육의 역사 및 실태
1. 호주의 미디어교육
가. 미디어교육 커리큘럼
1) 과목에서의 미디어교육
2) 과목에서의 미디어교육
3) 미디어교육 워크샵 및 세미나
2. 호주의 미디어교육 현황
3. 캐나다의 미디어교육
가. 미디어교육 커리큘럼
나. 미디어교육 현황
4. 미국의 미디어교육
가.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현황
1) 교육적 연구와 발전을 위한 극서부연구소
2) 남서부 교육발전 연구소 SEDL
3) 보스턴대학 Boston University School of Public Communication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4) 미디어 행동 연구 센터
5) 에이미 도어 Aimee Dorr 교수 등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6) WNET/Thirteen 방송사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5. 영국의 미디어교육
가. 미디어교육 커리큘럼
나. 미디어교육 현황
다. 미디어교육 현황에 대한 평가

4절. 한국 미디어 교육
1. 한국 미디어 교육의 특성
2. 한국 미디어 교육의 문제점
3. 대안 및 종합

5절. 한국 미디어 교육의 진단과 평가
1. 한국 미디어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1)
1) 미디어 교육의 공교육화 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내용이 구체적으로 논의되기 보다는 여전히 일회적이고 원론적인 행사 중심의 논의들이 적지 않다.
2) 학교 보다는 사회 및 언론 유관단체를 중심으로 미디어 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짐으로써 미디어 교육의 공교육화를 위해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당사자”3)들이 배제되고 있는 상황에 벌어지고 있다.
3) 여전히 미디어 교육과 언론수용자운동을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
4) 미디어 교육의 실천이나 연구들이 대부분 단편적이고 개별적으로 실시됨으로써 체계성, 연계성이 부족하다.
5) 한국형 미디어 교육 모형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부족하다.
6) 외국 미디어 교육에 대한 소개가 매우 단편적, 임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7) 미디어 교육의 공교육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협의체가 필수적인데 아직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없는 듯하다.
8) 새로운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미흡하다.
9) 즉시 활용 가능한 교재가 부족하다.
10) 체계적인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보다 일회적이고 행사 중심의 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2. 미디어 교육 추진팀의 역할과 과제
3.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 실천을 위한 제언 및 논의 과제들
1) 학교 미디어 교육의 실시유형
(1) 정규과목 독립유형이다.
(2) 기존과목 편입유형으로 통합교과목으로의 실시유형인 셈이다.
(3) 특별활동 과목유형이다.
2) 학교 미디어 교육 실시를 위한 실천과제
(1) 학교 경영진 대상 미디어 교육이 필요하다.
(2) 교사대상 미디어 교육이다.
(3) 학부모 대상 미디어 교육도 필요하다.


Ⅲ.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 론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시대는 정보와 지식이 사회의 기틀이 되고 원동력이 되기에 정보화 사회라고 부르고 있다. 정보 활용 능력은 기초적 기능으로 여겨지며, 지식과 정부 습득에 적합한 도구로서 인터넷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실질적으로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학습자에게 학습발전을 위한 커다란 잠재력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는 수용을 넘어서 참여적 생산자를 만들어 내고 있다. 1인 미디어 시대가 열린 것이다. 전문적인 미디어 생산자의 생산품을 분석하고 비판하며 창조적인 대안물까지 만들어 내고 있다. 수동적으로 미디어를 수용하는 태도에서 능동적 생산자로 패러다임이 변화 것이다. 누구나 미디어를 다루고 가질 수 있는 세상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미디어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다.
한국의 미디어교육은 전반적으로 볼 때 이론 연구보다는 사회운동 차원의 실제적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내용 면에서도 교육이론에 입각한 미디어교육이라기보다는 미디어 수용자들이 언론현상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갖도록 하고 언론의 폐해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며, 더 적극적으로는 그 폐해를 개선하기 위한 캠페인의 성격이 강하다. 말하자면 실천적 운동을 목표로 한 기본적인 의식화 교육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초기 미디어교육은 1980년대 이후 카톨릭 교회를 중심으로 한 소규모 활동으로 출발했다. 교구 활동이나 사제, 교사 등 성직자를 대상으로 한 세미나, 워크숍, 또는 성당과 수도원을 중심으로 주일학교 학생이나 중․고등학교 학생의 견진 교리 교육 중 교양강좌, 또 예비 성직자교육 중의 교양교육의 형태로 미디어교육이 실시되었다.
외국의 미디어교육은 학교에서의 미디어교육은 물론 지역사회나 종교단체, 각종 사회단체에서도 체계적으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하여 평생 교육적 차원에서 미디어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기태, (서울:한나래,1999년)
김기태 외, ,한국언론연구원, 1994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 ,한국장로교 출판사, 1999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한국장로교 출판사, 1999년
서정숙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87년)
한국언론재단, 2000, 세계 미디어 교육 모델, 서울: 한국언론재단
김학천‧김병길‧김동규, 2001, 현대 미디어의 이해,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배규한, 1995, 미래사회학-21세기의 이해와 설계, 서울: 사회비평사
http://www.medialiteracy21.net/
하고 싶은 말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