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구개음화

 1  [한국어] 구개음화-1
 2  [한국어] 구개음화-2
 3  [한국어] 구개음화-3
 4  [한국어] 구개음화-4
 5  [한국어] 구개음화-5
 6  [한국어] 구개음화-6
 7  [한국어] 구개음화-7
 8  [한국어] 구개음화-8
 9  [한국어] 구개음화-9
 10  [한국어] 구개음화-10
 11  [한국어] 구개음화-11
 12  [한국어] 구개음화-12
 13  [한국어] 구개음화-13
 14  [한국어] 구개음화-14
 15  [한국어] 구개음화-15
 16  [한국어] 구개음화-16
 17  [한국어] 구개음화-17
 18  [한국어] 구개음화-18
 19  [한국어] 구개음화-19
 20  [한국어] 구개음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구개음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ㅈ 구개음화

2. ㄷ 구개음화
1) ㄷ 구개음화의 특징
2) 통시적 측면에서의 음운론적 위상
① 시간적 위상
② 공간적 위상
3) 공시적 측면에서의 음운론적 위상
① 단선음운론적 위상
② 자립분절음운론적 위상
③ 어휘음운론적 위상
④ 자질층위이론적 위상
4) 어휘음운론의 한계

3. ㄴ 구개음화
1) ㄴ 구개음화의 특징
2) 제설의 검토
① /ɨy/ 가설
② /ɨi/ 가설
③ 상대적 구개음화
④ /ɨ/ 가설

4. ㄱ 구개음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구개음화는 구개성을 가지지 않은 자음, 모음이 구개성을 가지고 있는 자음, 모음으로 변화하는 동화 현상을 말한다. 경구개 쪽에서 발음이 되거나 경구개음으로 발음되는 자질의 변화를 뜻하며, 연구개음화 현상과는 다르게 구분된다. 구개음을 일으키는 동화주로는 /i/, /j/가 있다. 구개음화의 분류는 통시적으로는 ㅈ 구개음화, ㄷ 구개음화, ㄴ 구개음화 순으로 시간에 따른 음운 현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구개음화는 중부․남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ㄷ 구개음화와 남부 방언에 많이 나타나고 있는 ㅎ 구개음화, ㄱ 구개음화 현상이 있다. 본고에서는 통시적으로 ㅈ 구개음화, ㄷ 구개음화, ㄴ 구개음화 현상을 살펴보고, 남부 방언의 특질 중 하나인 ㄱ 구개음화 현상을 살펴볼 것이다.

Ⅱ. 본론 김영선(2004), 『국어 음절 구조 제약과 음운 현상』, 한국문화사
전체적인 짜임은 위의 책에서 통시적으로 제시한 ㅈ 구개음화, ㄷ 구개음화, ㄴ 구개음화 순에 기초하였다.


1. ㅈ 구개음화

『훈민정음』에 나타난 ‘ㅈ’는 일반적으로 설단 치조음 [ts]로 인식되어 왔다. ‘ㅈ’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은 중세국어 당시 간행된 여러 가지 문헌에 반영되어 있다. 『훈민정음』 해례에서는 ‘ㅈ’를 포함한 치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ㄱ. 漢音齒聲은 有齒頭正齒之別하니 ㅈㅊㅉㅅㅆ字 用於齒頭고 ㅈㅊㅉㅅㅆ字 用於正頭
니
ㄴ. 이 소리(齒頭) 우리나랏소리예서 열니 혓그티 웃닛머리예 다니라
ㄷ. 이 소리(正齒) 우리나랏소리예서 두터니 혓그티 아랫니므유메 다니라


위와 같은 기술은 중국어의 齒頭音과 正齒音의 청각적, 조음적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곧, 치두음은 ‘혓그티 웃니머리예’ 닿는 소리로, 정치음은 ‘혓그티 아랫니므유메’ 닿는 소리로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세국어 당시의 치음에 대한 강신항 강신항(1983), 「치음과 한글 표기」, 『국어학』12, 국어 학회.
의 주장도 이러한 내용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당시 우리말의 齒音이 중국어의 齒頭音과 正齒音의 중간 위치에 속하는 소리로 이해하여 환경에 따라서 [ts] 계열과 [tʃ] 계열로 실현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곧, [ts] 계열([ts, ts', s])은 전설 모음 이외의 모음 앞에서 실현되고, [tʃ] 계열([tʃ, tʃ', ʃ])은 전설 모음 앞에서 실현되는 것으로 설명했다.
따라서 이러한 견해는 중세국어의 ‘ㅈ, ㅊ, ㅅ’가 구개음이 아닌 치조음 [ts, ts', s]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치조음 [ts, ts', s]는 모음 ‘이, j’ 앞에 올 경우에는 구개음으로 실현되었으며, 그 외의 모음 앞에서는 비구개음으로 실현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중세국어 당시의 치조음 [ts, ts', s]는 그 이후 구개 파찰음으로 바뀌게 되는데 그 시기가 언제인지는 아직 밝혀져 있지는 않다. 강신항은 치음의 구개음화가 15, 16세기에 시작되었다고 보려고 하였다. 그러나 ㅈ-구개음화가 완성된 것이 16, 17세기(이기문, 1985) 이기문(1985), 『개정 국어사 개설』, 민중서관.
, 17세기(김상돈, 1990) 김상돈(1990), 「ㅈ 구개음화에 대하여」, 『한국어학 신연구』1990, 한신문화사.
, 18세기(허웅, 1964) 허웅(1964), 「치음고」, 『국어국문학』27, 국어국문학회.
라는 주장이 보여주듯이 시작된 시기에 대한 논의도 분명한 시기를 밝히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적어도 ㄷ-구개음화가 시작되거나 완성되기 위해서는 ㅈ-구개음화 현상이 완성되어 있거나 적어도 진행되는 과정에 있어야 한다고 보아야 한다. 허웅(1964)에서는 표기의 혼란을 바탕으로 하여 ㅈ이 구개음으로 바뀐 때를 18세기 후반기로 보았다. 그러나 송민(1986) 송민(1986), 『전기 근대국어 음운론 연구』, 탑출판사
에서는 ㄷ-구개음화 현상이 발달하는 과정을 근거로 하여 치음의 구개음화 현상이 완성된 때를 17세기 후반기로 보았다. 김상돈(1990)도 ‘ㅅ, ㅈ, ㅊ’ 뒤에 오는 j계 상향이중모음과 단모음의 혼기례 등을 바탕으로 하여 17세기 후반기까지는 ㅈ-구개음화현상이 완성된 것으로 보았다. 이명규(1992) 이명규(1992), 「구개음화에 대한 통시적 연구」, 박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는 ㅈ-구개음화 뒤에 오는 j계 하향이중모음이 단모음으로 표기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하여 15세기 후반기부터 서서히 시작하여 17세기에는 완전히 굳어진 것으로 보았다. 이명규에서의 주장은 치음이 구개파찰음으로 바뀐 때를 가장 이르게 추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주장은 구개음화 현상이 『杜詩諺解』(初刊本)를 시작으로 일어났다고 보아도 논리적으로 무리가 없음을 뒷받침해준다. 구개음화 현상이 본격적으로 나
참고문헌

강옥미(1994), 「위치마디의 내부구조 : ㄷ-구개음화, ㄱ-구개음화, 움라우트와 위치동화를 중심으로」, 『국어학』 24권(‘94), 국어학회
강신항(1983), 「치음과 한글 표기」, 『국어학』12, 국어 학회.
김상돈(1990), 「ㅈ 구개음화에 대하여」, 『한국어학 신연구』1990, 한신문화사.
김석득(1978), 「구개음화와 기저모음 및 어휘소」, 『눈뫼 허웅박사 환갑기념 논문집』, 과학사.
김수곤(1976), 「/ㄴ/의 구개음화 규칙」, 『어학연구』 12-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976), 「Patalization in Korean」, Ph. D. dissertation, Univ. of Taxas at Austin.
김영기(1974),「Korean Consonantal Phonology」, Ph. D. dissertation, Univ. of Hawaii.
김영선(2004), 『국어 음절 구조 제약과 음운 현상』, 한국문화사.
김진우(1968), 「The Vowel System od Korean」, 『Language 44』
박창원(1989), 「음운규칙과 단어형성의 층위」, 『國語國文學論叢』, 이정 정연찬 선생 회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송민(1986), 『전기 근대국어 음운론 연구』, 탑출판사.
안상철(1985), 「The Interplay of Phonology and Morphology in Korean」,Ph. D. dissertation, Univ. of Illinois, Urbana.
오정란(1990), 「구개음화의 음운론적 위상」, 『국어국문학』103권(‘90, 5), 국어국문학회
이기문(1985), 『개정 국어사 개설』, 민중서관.
이명규(1992), 「구개음화에 대한 통시적 연구」, 박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이병건(1976), 『현대 한국어의 생성 음운론』, 일지사.
허웅(1964), 「치음고」, 『국어국문학』27, 국어국문학회.

Mester, R..A. & J. Ito(1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