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

 1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
 2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2
 3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3
 4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4
 5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5
 6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6
 7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7
 8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8
 9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9
 10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0
 11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1
 12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2
 13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3
 14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4
 15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5
 16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6
 17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7
 18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8
 19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19
 20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보체계론] 전자정부의 시민참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_ 글을 시작하며 3

Ⅱ_ 전자정부3
1. 전자정부의 개념
2. 현대 전자정부의 지향점
3. 전자정부에 있어서 “정책참여”

Ⅲ_ 용인시 전자정부 만들기 5
1. 도입 : 지역전자정부의 의의
2. 現용인시 홈페이지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3. 새로운 용인시 전자정부의 구상
4. 전자정부의 시민 참여 : 어떻게 활성화시킬 것인가?

Ⅳ_ 글을 마치며 27
본문내용
I. 글을 시작하며
‘전자정부’는 1993년 미국 클린턴 행정부가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데 정보기술을 활용하고자 시작된 개념이다. 미국은 현재 2만여 개에 이르는 모든 연방정부 관련 웹사이트를 하나로 묶어 www.firstgov.org를 개설해 인터넷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정보통신부가 국가사회정보화 사업을 총괄하는데, 1978년 행정전산화를 내세운 행정정보화 사업은 1987년 행정전산망 사업, 1994년 초고속정보통신망 사업으로 진행되었고, 1995년에 정보화사업의 구상을 전자정부의 개념으로 도입하였다. 1999년 24시간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한 열린 행정 구현을 포함한 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여 현재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부업무와 對국민서비스를 높이고 지식경제 강국의 초일류 선진복지국가 구현’의 목표아래 업무의 전자화를 진행 중이다.
현재 전자정부에 관한 한 우리나라는 국제사회로부터 세계 최상위권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2002년 6월 발간된 UN의 전자정부 벤치마킹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수준은 세계 최상위권 국가인 미국, 영국, 싱가포르 등과 함께 "인터넷을 통한 거래가 가능한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UN이 정한 전자정부 지수 상으로도 우리나라는 세계 평균 1.62를 크게 상회하는 2.30으로 190개 UN회원국 중 15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작년 3월부터 10월까지 성균관대 국제정보정책 전자정부 연구소와 미국의 뉴저지 주립대 전자정부 연구소가 세계 100개 국가의 100대 도시를 대상으로 전자정부의 수준을 평가한 결과 서울시가 2위 홍콩과 압도적 차이로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온라인 공과금 납부 등 행정서비스 다양성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이용의 편의성과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참고문헌
효율적인 전자정부 추진을 위한 성공조건 및 우수사례, 한국 전산원, 2003
전자정부백서, 전자정부특별위원회, 2003
전자정부프로젝트의 가치창출 전략, 한국 전산원, 2003
전자정부 이용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전산원, 2003
전자정부 추진에 따른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제고 방안, 문신용, 2003
電子政府, 白井 均, 2003
중앙 및 지방정부간 통합 전자정부 사업 추진 지침, 한국전산원, 2002
대만의 전자정부 추진 계획, 한국 전산원, 2002
그 외 다수 책과 인터넷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