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

 1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
 2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2
 3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3
 4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4
 5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5
 6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6
 7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7
 8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8
 9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9
 10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0
 11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1
 12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2
 13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3
 14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4
 15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5
 16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6
 17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7
 18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환경독성학] 독성유전체학을 이용한 환경독성 모니터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환경모니터링이란?

2. 독성유전체학이란?

3. 독성유전체학의 개발 배경

4. 독성유전체 기술의 기본 원리

5. 독성유전체학에 이용되는 기술 - 생물정보학

6. 독성유전체 기술의 응용분야와 사례

7. 독성유전체 기술의 국내,외 동향

8. 독성유전체 기술의 기대 효과

본문내용
1. 환경 모니터링이란?

1) 환경 모니터링의 정의
환경 모니터링이란 대기, 물, 토양 및 지하수로 구성된 환경요소의 오염상황을 탐지해내는 기술이다. 그러나 환경오염 물질은 이러한 세 가지 매체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염물의 생성에서 확산 및 이동, 소멸의 과정이 모든 매체에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환경 모니터링은 대기, 물,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 현황 및 그 위해성을 모니터링 하는 기술로 광학적 원리를 포함한 물리화학적 측정기술과 생물학적 측정기술이 모니터링 방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2) 환경 모니터링 관련기술 현황
환경 모니터링은 환경 공학기술의 다른 분야에 비해 뒤늦게 출발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모니터링 기술의 연구 개발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아래에 환경 모니터링 대상 분야가 되는 대기환경, 물환경, 토양 및 지하수 환경 및 환경위해성 감시기술 및 시스템 분야의 관련 기술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하여 간단히 기술하였다.

(1) 대기환경 원격 모니터링
대기환경의 오염물질은 자동차 또는 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는 분진, 화학물질 및 이로 인한 광화학반응에 의해 부산되는 유해물질을 포함한다. 대기오염 원격 모니터링은 크게 두가지의 방법으로 측정되고 있다. ①지상에서 과학적 방법을 이용한 대기오염 원격측정 시스템에 의한 방법(DOAS, FTIR, LIDAR 등) ② 인공위성 등 원격탐사 시스템에 의한 방법 - 인공위성 탑재 센서자료를 이용하는 원격탐사방법에 의한 대기오염 기체와 지표면 환경변화 분석기술은 선진국 등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지만, 국내의 기술 수준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한반도 주변은 중국의 오염원에 의한 영향이 지대하고, 또한 인접 태평양의 영향도 큰만큼, 광역 대기오염 상태를 주기적으로 조사, 검토하기 위해서는 원격 탐사방법에 의한 측정기술 개발과 설치 및 운용비가 저렴한 원격 탐사시스템 개발이 가장 적절하며, 기존의 위성과 개발 중인 위성 등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국내 구축이 절실하다.
▷ 대기환경 원격 모니터링의 국내외 동향
미국은 현재 정규 운행중인 NOAA 위성의 AVHRR 자료를 계속적으로 수신, 분석하여 전세계 6대륙의 식생 환경변화 자료를 만들어 누구에게나 배포하고 있고, 최근에 개발한 UARS 위성 자료 연구로 상층 대기오염 현황 분석에 큰 진척을 이룩했으며, 향후에는 EOS(Earth Observation System) 계획의 일환으로 고해상도, 미세분광 센서들을 탑재한 AM/PM 위성을 계속적으로 궤도에 올려 전 지구의 오전과 오후 환경 관측 자료를 계속적으로 수집,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일본은 근년에 실험했던 ADEOS(Advanced Earth Observation Satellite) 위성에 OCTS(Ocean Color and Temperature Scanner), AVNIR(Advanced Visible and Near-Infrared Radiometer), IMG (Inter-erometric Monitor for Greenhouse Gases), ILAS (Improved Lim Mapping Spectrometer) 등의 환경탐사용 센서들을 탑재하여 지상, 해양 및 대기환경의 변화 요인들을 연구하도록 해왔으며, 앞으로도 이 계열 위성과 ALOS(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 등을 개발하여 지구 환경변화 연구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유럽연합기구 (ESA), Canada, 중국 등도 최근 환경위성 개발에 노력하고 있어, 2000년대에는 많은 환경 위성 탐사 자료들이 우리에게도 거의 무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각국은 이들 자료를 적시에 수집, 분석함으로써 자국의 환경문제 해법과 월경하는 대기오염 재해문제 해결 등을 세계 각국과 공동으로 추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연구기관이나 전문가들의 기술 수준은 일반 위성 자료 분석에서는 선진국기술의 답습 정도이고, 환경변화 분석과 대기오염 분포 정보의 추출에서는 초보적 수준에 있다. 단지 위성자료의 영상분석 software 개발에서는 부분적으로 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