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

 1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
 2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2
 3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3
 4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4
 5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5
 6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6
 7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7
 8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8
 9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9
 10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0
 11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1
 12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2
 13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3
 14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4
 15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5
 16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6
 17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7
 18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8
 19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19
 20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정치사] 데탕트 시대의 도래와 붕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데탕트의 의미 ※
Ⅰ. 1963, 초기 데탕트와 그 이후의 정세
Ⅱ. 베트남 전쟁과 미 ․ 소 긴장완화(1964-1968)
ⅰ. 베트남전쟁의 악화
ⅱ. 존슨 행정부의 베트남 전쟁 개입 이유
ⅲ. 미국의 개입 심화와 반전주의 대두
ⅳ. 존슨 시대 미 ․ 소 긴장완화
Ⅲ. 파멸하는 양극화 : The Impact of Structure Change o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 The Rise of Détente, 1968-1979 》
Ⅰ. 데탕트 체제의 대두와 한계
Ⅱ. 미 ․ 소의 데탕트 추구 이유
Ⅲ. 닉슨 - 키신저 외교의 성격
Ⅳ. 군사적 균형에 의한 데탕트
ⅰ. The Arms Race & Strategic Parity (무기경쟁과 전략적 균형)
ⅱ. Arms control : the Non-Proliferation Treaty the 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 1968-1972
1. NPT : the Non-Proliferation Treaty
2. SALT : the 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

《 the rise of economic powers and economic interdependence 》
《 The proliferation of actors in the international systems 》
《 The Pentagonal International System and Regionalism 》

Ⅰ. 미국, 소련, 서유럽, 일본, 중국 : 5각체제의 도입
《 THE EUROATLANTIC 》
Ⅰ. 유럽통합의 새바람
Ⅱ. 마셜플랜(Marshall Plan)
Ⅲ. NATO의 개혁
Ⅳ. 브란트의 동방정책
Ⅴ. 브란트의 동방정책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던 국제적인 흐름
Ⅵ. 1975년의 헬싱키 회담여기에 참여한 국가들은 다른 가맹국들의 영토보전을 각기 존중한다. 또한 각 가맹국들은 다른 어떤 가맹국의 영토를 군사적인 점령의 대상으로 삼거나, 혹은 국제법에 위배되는 무력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포함한 조치의 대상으로 삼거나 혹은 그와 같은 조치에 의해 위협함으로써 취득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이러한 성격의 어떠한 점령이나 취득도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되지 않을 것이다. 가맹국들은 모든 사람에 대하여 인종, 성별, 언어 또는 종교의 차별 없이 사상, 양심, 종교 내지는 신념의 자유를 포함한 기본적인 자유들과 인권을 존중한다.

《 The rise of the European New Left and the Resurgence of political terrorism 》
Ⅰ. 신좌파의 출현
Ⅱ. 붉은 여단과 적군파

《 The Western Economic Crisis of the Early 1970s 》
Ⅰ. OPEC의 형성과 석유파동
《 Asia 》
Ⅰ. 중소분쟁과 삼각외교의 성공
Ⅱ. 베트남전쟁 이후의 인도차이나와 지역적 헤게모니를 위한 중,소의 노력
Ⅲ.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Ⅳ. 일본의 경제적 부상
《 Middle East 》
Ⅰ.캠프 데이비드 협정
Ⅱ. 이란혁명과 이슬람 원리주의의 탄생
Ⅲ. 이란-이라크 전쟁
《 Latin America 》
Ⅰ. 엘살바도르 내전
Ⅱ. 아르헨티나 군정
Ⅲ. 포클랜드 전쟁
《 신냉전 국제 체제 》
1970년대 국제정치에서의 구조적 변화의 영향
《 참 고 문 헌 》
>

본문내용
※ 데탕트의 의미 ※

신문에도 자주 등장하는 ‘데탕트(détente)’라는 용어는, 프랑스말로 ‘휴식, 여유, 완화’라는 의미를 갖는다. 특히 외교적용어로 쓰일 때 긴장완화를 의미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 중심의 사회주의 진영을 양극으로 하는 냉전체제가 수립되었으나, 1960년대 말부터 변모의 조짐이 생겨났고 따라서 역사적으로 데탕트 시기는 ‘1970년대 미국과 구소련을 중심으로 한 동 ·서 진영(陣營) 간의 긴장완화 시기’를 일컫는다.

Ⅰ. 1963, 초기 데탕트와 그 이후의 정세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군비는 급속도로 증강되었다. 대륙간 미사일의 경우 소련은 1980년대 중반까지도 여전히 미국을 확연히 앞서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초에 동서독 관계와 국제관계는 확실히 긴장 완화로 다가섰다. 제네바 군비축소회의는 1962년에 우선 18개국이 참가하는 위원회로자리 잡았다. 이어 1963년에는 획기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1963년의 the little detent(초기 데탕트)로 귀결되었다. 그 일환으로서, 그 해 12월 이제는 방벽을 통해 둘로 갈라진 베를린에서 제1차 통행협정이 체결되었고, 1963년 6월 10일 케네디의 아메리칸 대학에서의 연설 1963년 6월에 행한 케네디의 연설은 미소 데탕트에 대한 그의 낙관을 보여 주는 것으로, 그는 연설을 통하여 "미국과 동맹국들, 그리고 소련과 그의 동맹국들 두 편은 진정한 평화와 군비 경쟁의 중단에 서로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선언하고, "우리의 가장 기본적인 공통의 관심사는 우리 모두가 이 위성위에 살고 있다는 현실이다"리고 강조하였다.
과 6월 20일 미국과 소련이 백악관과 크렘린 간에 ‘핫라인’을 설치하기로 합의한 것, 7월 15일부터 8월 5일 사이 모스크바에서 열린 ‘핵실험 금지협상’으로 미, 소, 영의 3개국간에 부분적 핵 실험 금지조약(PTBT) 부분적 핵 실험금지조약 (Treaty of Banning Nuclear Weapons Tests in the Atmosphere in Outer Space and Under Water) : 모스크바조약 또는 부분적 핵정지조약이라고도 하며 정식명칭은 ‘대기권 내, 우주공간 및 수중에서의 핵무기 실험을 금지하는 조약’이다. 미국 ·영국 ·구소련 등 원체약국(原締約國) 3개국의 비준에 의하여 1963년 10월 발효하였다. 이 조약은 지하실험이 금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분적 금지에 지나지 않지만, 핵무기를 둘러싼 협정으로서는 최초의 국제조약이다. 지하를 제외한 모든 핵폭발을 금지함으로써 핵무기경쟁을 억제함과 더불어 핵폭발에 의한 방사능 강하물의 환경오염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체결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핵무기 실험을 실제로 금지하는 조약이 처음으로 비준된 것으로 이에 따라 우주 공간과 대기권 및 수중 핵 실험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긴장완화 공세들은 냉전기 무장 경쟁에는 놀라울 정도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1963년 이후 다시 소련과 미국과의 관계는 긴장되었는데, 쿠바 미사일위기 이후 핵전쟁의 위험성을 체험한 후, 소비에트 지도부는 야심찬 계획에 착수한다. 이 계획은 미국과 함께 가능한 빠른 기간에 양적인 핵무기를 획득하려는 것이었으며, 전형적으로 핵무기경쟁은 냉전의 본질적 산물로서, 이러한 소련의 핵무기를 확대하려는 계획은 서구의 국가들을 대단히 경악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것은 특히 미국을 놀라게 하였다. 소련의 보다 더 많은 파괴적 핵무기 생산은 끊임없는 군사장비에 대한 비용증강으로 이어졌다.
게다가 미소 양극의 양적 질적 핵무기 경쟁은 1960년대 중, 후반동안 계속되었고 냉전은 그것이 제 3세계까지 확장될 때까지 지속되었다.(무기 감축 회담들이 열렸음에도 핵무기 생산 능력은 확대되었고, 금지조약에 포함되지 않은 무기 생산에 계속 박차가 가해졌다.) 유럽을 넘어선 강력한 핵무기 대치 위험 때문에 시스템 경쟁은 제 3세계 냉전의 주변부로 제한되었다. 다시 말해, 미국과 소련 두 나라가 직접 충돌하지 않는 대신 제3세계에서는 끊임없는 국지전이 발생하였다. 이는 사실상 미․소 양국의 ‘대리전’이었다. 초기 데탕트(1963)이후에 두 강대국들의 긴장상태는 베트남전쟁이 진행되어 갈수록 다시 고조되었다.

Ⅱ. 베트남 전쟁과 미 ․ 소 긴장완화(1964-1968)

ⅰ. 베트남전쟁의 악화
베트남 전쟁은 존슨으로부터 모든 힘과 야망과 명성을 앗아가 버린 숙명적인 사건이었다. 그 당시 대부분의 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냉전적 사고에 집착해 있던 존슨은 ‘나는 중국이 넘어갔던 식으로 동남아시아가 공산주의로 넘어가는 것을 보는 대통령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트남 전쟁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존슨은 미국의 목표는 제한된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오히려 그의 주요 의도는 미국이 거국적으로 확고부동한 자세를 견지할 결의에 차 있다는 것을 북베트남에게 보여주려는 것이었다. 하지만 베트남의 전황은 존슨의 기대와 달리 계속 악화되어 미국은 확전의 길로 나아가게 되었다.

ⅱ. 존슨 행정부의 베트남 전쟁 개입 이유
1965년 초, 존슨과 그의 주요한 외교정책 보좌관들은 북베트남을 폭격하고 남베트남에 상당한 미군 전투부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런 대규모 전쟁 개입 결정의 근본적인 이유는 명백했다. 존슨 행정부의 정책결정자들은 이전의 아이젠하워 및 케네디 정부의 지도자들처럼, 남베트남 정부가 공산 반도들을 패배시키는 것을 미국이 도움으로써, 자신의 공약을 지켜야한다고 생각했다. 나아가서 그들은 공산주의의 팽창을 봉쇄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적절한 세력균형을 유지하려는
참고문헌
Andreas Wenger and Doron Zimmermann 저, 『International Relations : From the Cold War to the Globalized World』, Lynne Rinner Pub, 2003.
류광철 저, 『외교 현장에서 만나는 군축과 비확산의 세계』, 평민사, 2005.
베르튼 슈퇴버 저, 최승환 역, 『냉전이란 무엇인가 극단의 시대 1945~1991』, (주)역사비평서, 2008
하마바야시 외 저, 김인덕, 정혜영 역, 『전후세계사』, 역사교양사, 1999
김진웅 저, 『냉전의 역사 1945~1991』, 1999.
볼프강 슈말레 저, 박용희 역,『유럽의 재발견(신화와 정체성으로 보는 유럽의 역사)』, 을유문화사, 2006.
프레데리크 들루슈 저, 윤승준 역, 『새 유럽의 역사』, 까치글방, 2000.
이수형 저, 『북대서양조약기구와 유럽안보』, 한울아카데미, 2004.
제프리 T. 버너 저, 홍성복 역,『새로운 초강대국』, 동아출판사, 1992.
손선홍 저, 『(분단과 통일의)독일 현대사』, 소나무, 2005.
토니 주트 저, 조항복 역, 『포스트 워 1945~2005』,플래닛, 2008.
육군사관학교 전사학과, 『세계전쟁사』, 황금알, 2004
오도넬, 슈미터, 화이트헤드, 『라틴 아메리카와 민주화』, 한울, 1988
두산 백과사전 엔싸이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