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

 1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1
 2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2
 3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3
 4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4
 5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5
 6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6
 7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7
 8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8
 9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9
 10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10
 11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11
 12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12
 13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13
 14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14
 15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정치] 북한의 미사일 외교(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의 군사 외교 전략 - 이중전략
Ⅲ.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
1. 발사의도
1) 대내적 전시효과
2) 대내 문제 해결
3) 대미 협상 카드
2. 발사이후 상황
1) 북한의 대응
2) 미국의 대응
Ⅳ. 2009년 대포동 2호 발사
1. 발사의도
1) 대내적 전시효과
2) 대내 문제 해결
3) 대미 협상 카드
2. 발사이후 상황
1) 북한의 대응
2) 미국의 대응
Ⅴ. 결론


본문내용

북한의 미사일 외교
- 북미관계를 중심으로 본 대포동 1, 2호 발사에 대한 비교분석


Ⅰ. 서론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와 함께 동구권 사회주의 국가들이 몰락하였다. 그리고 세계질서는 미국중심으로 재편되어갔다. 하지만 사회주의노선을 고집하고 있는 북한은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에 순응하기를 거부하였고 1994년 핵 위기를 비롯해 수차례 대량살상무기(WMD) 같은 군사적 수단을 가지고 미국을 협상테이블로 이끌어 내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09년 4월 5일 국제사회의 우려 속에서 북한의 미사일이 발사되었다. 이 사건은 WMD가 아닌 그 운반 수단인 미사일을 통한 군사적 수단이라는 점에서 1998년 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 사건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1998년 북한 내부의 정치경제적 상황은 지금 2009년의 상황과 비슷한 양면을 띄고 있다. 따라서 ‘1998년 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 사건’과 ‘2009년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사건’을 비교 분석 하면 현재 진행되는 상황을 더욱 면밀히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북한은 그들의 체제 유지의 열쇠를 쥐고 있는 미국에 군사적인 수단을 통해 협상을 시도하려고 한다. 이는 "대미정책 목표는 핵·미사일 등 WMD 협상을 통해 정권 및 체제 생존을 위한 정치·경제적 수단을 확보하려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오일환, 「김정일 시대 북한의 외교전략」, 『국제정치연구』제6집2호. 2003, 4p.
라는 대미정책 목표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과 미국간의 관계는 이번 미사일 위기를 이해하기 데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와, 2009년 대포동2호 발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Ⅱ.북한의 외교전략 - 이중전략’을 통해 북한의 군사적 수단을 통한 외교전략 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1998년과 2009년 미사일 발사의 배경 및 의도와 그에 따른 북한과 미국의 관계변화에 대해서 연구 분석해 나갈 것이다.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두 사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그 것을 통해서 2009년 현재의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곽태환, 「북․미관계의 변화와 한반도 정세」,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2007.
김국신, 「북한의 핵실험과 국제 사회의 대응」, 통일 연구원, 2006.
김동석, 「탈 냉전기 동북아 안보 정세와 북한의 대남, 대미 정책」, 2003.
김두희, 「북한 로켓 미스터리 - 대포동 쇼크가 남긴 교훈」,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1998년 10월호(통권 제154호)』, 1998.
김득봉, 「김정일정권의협상전략:제네바 핵합의와 미사일협상을 중심으로」, 2004.김명철· 김용호, 「향후 북한의 6자회담 전략 및 대미전략」, 2007.
김태우, 「미, 북핵, 미사일 협상 및 한반도 위기설에 관한 분석과 한국의 대응」, 국회 국방위원회, 2002.
박종철, 「페리프로세스와 한미일 협력 방안」, 통일연구원, 2000.
박종철, 「북미 미사일 협상과 한국의 대책」, 통일연구원, 2000.
박휘락, 「집중분석: 북한, 대포동 2호 미사일 개발 가속화」,
『통일한국 2008년 10월호』(통권 제298호), 평화문제연구소, 2008.
배정호, 「미, 북핵, 미사일 협상 및 한반도 위기설에 관한 분석과 한국의 대응」, 국회 국방위원회, 2002.
배정호,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준과 장거리 로켓 발사의 전략적 의도」,
통일연구원, 2009.
오일환, 「김정일 시대 북한의 외교 전략」, 2003.
유석렬, 「미․북관계 개선전망과 우리의 대응」, 외교안보연구원, 2001.
이삼성, 「통일시론통권4호」, 청명문화재단, 1999.
이상춘,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과 주변국 인식」, 『군사논단, 46권』,
한국 군사 학회, 2006.
이정연, 「북한군에는 건빵이 없다?」, 플래닛 미디어, 2009.
이정철, 「북· 미 대립과 한미동맹 : 변화와 딜레마」, 2009.
이정환, 「북한로켓 경제에 영향 없다지만」, 미디어오늘,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