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 실학 레포트

 1  [동양사] 실학 레포트-1
 2  [동양사] 실학 레포트-2
 3  [동양사] 실학 레포트-3
 4  [동양사] 실학 레포트-4
 5  [동양사] 실학 레포트-5
 6  [동양사] 실학 레포트-6
 7  [동양사] 실학 레포트-7
 8  [동양사] 실학 레포트-8
 9  [동양사] 실학 레포트-9
 10  [동양사] 실학 레포트-10
 11  [동양사] 실학 레포트-11
 12  [동양사] 실학 레포트-12
 13  [동양사] 실학 레포트-13
 14  [동양사] 실학 레포트-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사] 실학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實學이란?

Ⅱ. 실학의 발달과 남인실학
1. 남인실학의 형성, 17세기
2. 북인계 남인의 학문성향
3. 남인실학의 발전

Ⅲ.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 1622~1673)
1. 학문적, 사상적 배경
2. 《반계수록(磻溪隧錄)》을 통하여 본 그의 개혁론
3. 유형원의 사상적 의의

Ⅳ.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
1. 이익의 학문적 성향
2. 이익의 사회개혁사상
3. 이익 사상의 의의

Ⅴ.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 1712∼1791)
1. 안정복의 학문성향
2. 안정복의 주체적 역사인식 《동사강목(東史綱目)》

Ⅵ.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
1. 정약용의 학문성향
2. 정약용의 사회사상
3. 다산학의 사상사적 의의

Ⅶ. 결 론

본문내용
Ⅰ. 實學이란?

실학이란 용어 자체가 조선후기의 실리를 강조하는 학문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실학이란 용어는 통시대성(通時代性)을 지니고 있고 어느 시대이든지 간에 그 시대에 있어서 현실성 또는 현실적 의의를 지니는 학문을 지칭하는 것이었다. 지나온 역사를 보았을 때, 앞선 시대에 대응하는 사상이나 문화는 그 등장시기에는 참신한 것이오, 시대의 문제에 부응하는 것이었다. 대표적으로 여말선초에 망국의 원인이라 파악하였던 불교에 대하여 조선성립의 배경학문인 성리학(性理學)을 실학이라고 하였다. 오늘날에 와서 이 용어는 조선 후기에 성리학에 대립하여 나타난 학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각은 나라를 빼앗긴 채 그것을 정당화시키기 위한 식민지사관이 주류를 이루었던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일제의 식민사학계는 조선은 스스로 발전하지 못한 전근대적인 사회였으며, 그 발전과정이 일본의 11세기 수준에 머무른다는 이른바 정체(停滯)성론을 주장하였다. 망국(亡國)의 원인을 본래의 역할을 잊고, 공리공론에 빠져 당쟁싸움으로 이어진 성리학에서 찾은 것이다. 우리 사학계는 이에 반박하고자 시대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조선후기에 등장한 실리를 추구하는 학풍을 가르켜 실학이라 지칭하여 강조하였다. 역사상 조선후기 학풍 중에서 󰡐실학󰡑이라는 한 유파를 찾아내어 학술용어로 쓰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의 민족주의 국학자들이다. 1934년은 마침 다산 정약용이 서거한 지 99주년이 되는 해로서 이를 기념하여 정인보(鄭寅普), 문일평(文一平), 안재홍(安在鴻) 등이 다산의 학문을 정리한 것이 그 계기였다. 이들의 조선학운동의 일환으로 실학을 강조.
스스로의 힘으로 근대화를 이루지 못하였다는 식민사학의 비판에 대항하여 실학을 근대적인 사회경제의 맹아(萌芽)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이 현재에도 이어져 조선의 실학이라 함은 조선 후기에 일어난 실리적인 새로운 학문을 일컫는 것이 되었다.


Ⅱ. 실학의 발달과 남인실학

1. 남인실학의 형성, 17세기

앞서 서술하였듯, 실학이란 학문은 본래 통시대성을 띄므로 그 범위를 설정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조선시대의 실학은 양란을 겪고 난 후, 당쟁이 격화되고 있던 지배자계급의 혼란과 더불어 일반 민(民)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어 있던 시기에, 시대상에 민감한 학자들이 이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고자하였던 일련의 학문을 여기서의 그 범주로 한다. 시대의 어려움에서 발생한 학문이므로 특정한 학파에서 발생한 움직임만은 아니었다. 서인, 남인, 북인 등이 고루 섞여있었고, 지역적으로도 그러하였다. 때문에 실학을 어느 한 학파의 전유물로 파악하는 것은 금물이다. 그러나 초기실학의 발전과정을 선도하였던 그룹은 당쟁에서 밀려 정치권력에 한걸음 물러나있었던 남인계열이었다. 성리학이 주류로 여겨지던 당시의 분위기에서 남인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참고문헌
【 참 고 문 헌 】
한우영 외, 〈실학연구의 어제와 오늘〉,〈17세기 실학의 형성과 그 정체사상〉,《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7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다운샘, 200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