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

 1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
 2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2
 3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3
 4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4
 5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5
 6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6
 7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7
 8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8
 9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9
 10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0
 11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1
 12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2
 13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3
 14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4
 15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5
 16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6
 17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7
 18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8
 19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19
 20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문화주의]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에 입각한 한국의 미디어 현황과 이주노동자
Ⅱ-1. 미디어의 위력
Ⅱ-1-1. framing 이론
Ⅱ-1-2. 사회배양이론
Ⅱ-2. 한국에서의 이주노동자, 국제이주여성 현황
Ⅱ-2-1. 이주노동자실태
Ⅱ-2-2. 국제이주여성실태

Ⅲ. 이주노동자에 대한, 이주노동자를 위한 방송
Ⅲ-1. 지상파 미디어의 이주노동자, 이주여성(에 대한, 혹은 그들을 다룬) 프로그램 현황
Ⅲ-2. 케이블의 이주노동자, 이주여성에 대한 프로그램 현황
Ⅲ-3. MWTV
Ⅲ-3-1. 이주노동자의방송 MWTV Ⅲ-3-2. 이주노동자의방송 MWTV에서 하고 있는 일은?
Ⅲ-3-3. 이주노동자의방송 MWTV 주요 연혁
Ⅲ-3-4. 이주노동자 미디어 분석: MWTV를 중심으로
Ⅲ-3-4-1. 이주노동자 미디어 현황
Ⅲ-3-4-2. 대안 미디어로서의 MWTV
Ⅲ-3-4-3. 공적 소통의 장으로서의 MWTV:
Ⅲ-3-4-4. 사회적/정치적 장으로서의 MWTV:
Ⅲ-3-4-4-1. 지배적 담론에 대한 저항: 노동자로서의 주체화
Ⅲ-3-4-4-1. 지배적 담론과의 협상: 다문화주의 전략의 수용
Ⅲ-3-4-4-2. MWTV와의 인터뷰

Ⅳ. 지상파 프로그램 및 케이블 프로그램의 한계점&문제점
Ⅳ-1. 지상파 프로그램의 한계점 & 문제점
Ⅳ-2. 케이블 프로그램의 한계점 & 문제점

Ⅴ. 이주노동자 방송(및 미디어)이 나아가야 할 방향

Ⅵ.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 사회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이민을 떠났던 국민들 대신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한국으로 이민 및 노동, 혹은 결혼을 위해 타국에서 건너오는 사람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그중에서도 이주노동자의 비율은 매년 급상승했지만, 그들은 우리 주위에 늘 존재하면서도 타자화 되고 관심 밖의 대상이 될 뿐이었다. 또한 그들은 미디어에서마저 ‘지지리도 못사는 어느 아시아 국가에서 와서 고생하는 불쌍한 외국인 노동자’를 바라보는 동정 어린 시선으로 그들을 조명하며,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미디어의 영역에서마저 그들이 배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이주노동자의 미디어 소비는 대부분 고국의 방송이나 영화를 소비하는데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TV를 제외한 다른 매체를 소유한 경우가 드물고 대부분의 이주노동자들은 한국 미디어의 내용을 이해하기에 힘든 언어구사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들은 미디어의 소유와 소비에서 모두 소외되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에서 이주노동자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매체들을 찾아보고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미디어의 현주소와 발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Ⅱ. 이론에 입각한 한국의 미디어 현황과 이주노동자

Ⅱ-1. 미디어의 위력

Ⅱ-1-1. framing 이론
framing Theory(미디어에서 보여 지는 것이 다인가)
미디어는 현실의 사건을 선택, 가공, 편집하여 수용자에게 현실을 바라보는 하나의 틀을 제공하고 있다. 즉 이슈를 사회적 규범과 가치, 방송조직의 압력과 강제, 이익집단의 영향력, 편집국의 일상, 그리고 정부의 이데올로기적, 정치적 오리엔테이션에 따라 틀짓기(framing)한다.
때문에 다문화를 보는 미디어의 관점도 일정한 오리엔테이션에 의해 틀짓기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사회를 주도하는 집단세력(정부 등)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특히 국영방송)는 이주노동자, 국제결혼여성들을 어떠한 모습으로 보여주어 여론을 형성할 것인가에 대한 일종의 frame을 가지고 다문화주의에 접근한다. 따라서 미디어로 사회를 접하는 많은 시청자들은 다문화와 관련한 실제와 가깝고 다양한 모습을 보기 어렵고 미디어가 형성하는 frame으로 다문화를 접하게 된다.

참고문헌
서강대 언론대학원, 신기섭, , 2007, 석사학위논문

이화여대대학원, 이경진, , 2008, 석사학위논문

서강대대학원, 송병찬, , 2006, 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김명혜, , 2008, 학술지논문

KBS방송문화연구소, 김명찬, , 2006, 학술발표논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