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

 1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1
 2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2
 3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3
 4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4
 5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5
 6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6
 7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7
 8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8
 9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9
 10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10
 11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11
 12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12
 13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13
 14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14
 15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사론, 통사구조, 문장론, 구문론, 의미기능, 이, 시, 와, 과]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1. 어미
2. 품사, 명사, 대명사, 수사

Ⅱ. 부사절의 통사구조

Ⅲ.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1. -이-의 계열관계
2. 아니다와의 상관성
3.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Ⅳ. -시-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Ⅴ. -와/-과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Ⅵ. 요약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1. 어미

어말 어미 논의로, (백낙천)은 통합형 접속어미 27개를 마지막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개별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특징과 통사론적 특징을 구성요소의 형태를 통해 살펴보고 나아가 각각의 구성요소가 지니는 기본 의미에 근거하여 접속어미의 다양한 용법을 설명하고 있는 연구이다. 단일어미 ꡐ-어ꡑ, ꡐ-이ꡑ, ꡐ-지ꡑ, ꡐ-고ꡑ, ꡐ-가ꡑ를 마지막 구성요소로 하는 통합형 접속어미와 조사 ꡐ-만ꡑ, ꡐ-도ꡑ, ꡐ-야ꡑ, ꡐ-은ꡑ, ꡐ-을ꡑ, ꡐ-에ꡑ, ꡐ-으로ꡑ를 마지막 구성요소로 하는 통합형 접속어미에 대해 형태론적 특징, 통합상의 제약, 통사론적 특징과 의미를 구성요소의 형태와 의미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다. ꡒ연결어미 ꡐ-길래ꡑ의 통사·의미적 특성ꡓ(안주호)는 ꡐ-길래ꡑ가 ꡐ-기에ꡑ와는 다른 독립적인 연결 어미로서의 통사·의미적 특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ꡐ-길래ꡑ는 선·후행절의 비동일주어 제약과, 인칭 제약에 있어 후행절은 1인칭이며 선행절은 1인칭이 아니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음에 비해, ꡐ-기에ꡑ에는 이러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모든 ꡐ-기에ꡑ 절이 ꡐ-길래ꡑ로 교체될 수 없다고 본다. 그리고 ꡐ-기에ꡑ는 격식체에서 ꡐ-길래ꡑ는 비격식체에서 사용된다고 말하고 있다. ꡒ국어의 부가 관계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ꡓ(윤평현)은 ꡐ-되ꡑ가 선행절에서 주된 내용을 확정하여 말하고 후행절에서 그와 관련이 있는 다른 내용을 부가하여 말하는 기능이 있음을 밝힌 논의인데, 더불어 ꡐ-되ꡑ는 여러 통사적 환경에서 대체로 제약없이 사용된다고 보고 있다. 또한 ꡐ-되ꡑ는 부가의 의미 기능 이외에 대립, 부연, 양보, 단서 등 여러 가지 의미

참고문헌
ⅰ. 강범모, 범주 문법: 한국어의 형태론, 통사론, 타입논리적 의미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ⅱ. 박호관, 국어 속격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 언어과학연구19, 언어과학회
ⅲ. 안주호, 연결어미 ꡐ-길래ꡑ의 통사의미적 특성, 국어 문법의 탐구 Ⅴ, 태학사
ⅳ. 이윤표, 고려대장경에 나타난 고전범어문법의 통사론, 고려대장경의 고전범어문법 연구, 월인
ⅴ. 양정석(1986), ꡐ이다ꡑ의 의미와 통사, 연세어문학 19, 연세대학교
ⅵ. 장경기, 국어 부정의문문의 통사적 연구, 언어26-1, 한국언어학회,
ⅶ. 정희정, 연어 구조와 어휘 학습, 국어 문법의 탐구 Ⅴ,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