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

 1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1
 2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2
 3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3
 4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4
 5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5
 6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6
 7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7
 8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불교] 중국의 선종과 선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

2. 초기 선종의 성립

3. 융성기 선종의 사회적 배경

4. 혜능의 선사상

5. 선 사상의 의미

6. 공안

7. 선 사상에 대한 소고

8. 참고자료
본문내용
부처님이 돌아가신 후 불교는 근본 가르침의 정신으로부터 점차 이탈되어져 가는 경향이 강했다. 철저한 대중성을 잃고 논리적 사변으로 빠져 들어가 관념적 지배 이데올로기로 전락하기도 한다. 특히 불교가 중국을 거치면서부터는 부처님의 근본 사상은 급격하게 그 성격을 전환시키게 된다. 불교 유입 당시의 중국은 고대국가가 통합되던 시기였으므로 지배자들에 의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요구와 기층민중들에 의한 요구의 결과로 보다 체계적이고 고차원적인 사상체계를 요구하게 된다. 이것이 인도에서 중국으로 불교가 유입된 요인이 된다. 중국은 한반도에 불교를 전파하는 데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정치. 문화면에 미친 불교의 영향도 컸지만 불교 또한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인도에서의 이슬람 군대의 침입으로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소중한 대승경전이 소실된 지금, 그나마 한문으로 번역된 중국경전이 있었기에 불타의 가르침이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중국의 전래사상과 불교가 융합하면서 새로 일어난 종파불교와 선불교의 양대 세력이 우리나라 불교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지배하여 왔음을 볼 때도 중국불교가 불교사 전체 흐름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큼을 알 수 있다.
한편, 불교의 전파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는 대승불교가, 동남아시아에서는 상좌불교가 뿌리를 내리게 된다. 남방불교 쪽에서 원시교단의 모습을 고수하는 것은 계율과 형식을 중시하는 상좌부의 불교가 전래된 까닭도 있지만, 당시의 동남아문화가 인도문화보다 열악한 것이었기에 인도의 문화적 특성까지도 수용, 전수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반면 당시의 중국은 인도와 문화적 수준이 거의 대등하였다. 제자백가의 사상을 통하여 나름대로 정립되어 사상체계와 문화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불교는 중국의 문자와 문화에 의해 역경, 재해석되었고 유교, 도교 등과 대립, 투쟁, 상호침투를 하면서 많은 변용을 낳는 한편, 중국 특유의 불교체계로 전환케 하였다. 불교가 중국에 등장하기 전에는 유교와 도교가 민중들을 효과적으로 지배하는 사상적 기둥이었다. 유교는 봉건적 지배질서를 합리화시켜 주었으며, 도교는 지배체제에 장애가 되는 정적이나 반봉건적인 지식인들을 탈 현실화시키는데 일조하고 있었다. 봉건왕조는 자신들이 지배구조를 위협하지 않는 선에서 도교를 활용하였으며 민중에게 유교적 지배질서를 강요하였다. 그러므로 봉건왕조는 불교를 유교나 도교의 성격으로 변용 시켜야 했다. 봉건왕조는 탁월한 철학적 깊이를 지닌 불교를 수용하는 한편, 봉건질서에 위배되는 불교의 핵심사상을 유교와 도교를 통하여 파괴, 희석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불교가 이를 극복하고 민중적 기반을 확보해 나갈 때 봉건왕조는 가차없는 탄압으로 민중적 기반을 파괴하게 된다. 이로부터 중국에서의 새로운 불교운동은 봉건세력과 그에 유착하여 지배 이데올로기화하는 종단에 대하여, 불교사상을 올바로 계승하고 민중의 고통에 동참하여 봉건체제에 대항하는 역사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하고 싶은 말
학업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