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

 1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1
 2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2
 3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3
 4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4
 5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5
 6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6
 7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7
 8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8
 9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9
 10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10
 11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11
 12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12
 13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13
 14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14
 15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15
 16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매뉴얼 월러스틴 The Modern World-System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저자 소개-이매뉴얼 월러스틴

2. 약력

3.이론적 배경/전사

4. 이론과 주장

5. 핵심 개념

6. 주요 내용의 번역과 해설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자유주의 및 사회주의 이데올로기가 처음으로 졍면 도전을 받은 해이기 때문입니다. 당시 주요 국가에서 벌어진 반전-반핵-인권운동이 그것을 대변해주고 있습니다. 자본주의든 사회주의든 기존체제를 반대하는 첫 대규모 운동으로 저는 이것을 '반체제운동'으로 명명했습니다.
...(생략)...
이 운동은 일견 실패한 듯 보이지만 세계사의 흐름을 바꿔놓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후의 정치 경제 사회과학 모두가 변했다고 보는 것입니다." (인터뷰 일부)
"이제껏 세계혁명은 단 둘뿐이었다. 하나는 1848년에 그리고 또 하나는 1968년에 일어났다." -(창비, [반체제운동])
1970년 스탠포드대학의 행동과학연구소를 거쳐
1971년 캐나다 몬트리올의 맥길대학 사회학과 교수,
1975년에 미국 사회학계의 가장 큰 상인 소로킨상을 수상했다.
1976년에는 미국으로 돌아와 뉴욕주립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여기서 그는 '페르낭 브로델 센터' 소장직을 맡게 되었다. 같은 해에 파리 7대학에서 일종의 명예학위인 ‘오르콩쿠르(무심사)’(hors concours) 학위를 받은 바 있다.
1993년 세계 사회학대회에서 세계사회학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3. 이론적 전사(前史)와 배경

그는 석사 시절까지만 해도 미국 정치를 연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한다. 그러나 미국 연구를 진행해나가면서 인종 문제의 중요성을 깨달았고, 그 문제의식이 그를 아프리카로 향하게 하였다. 또 아프리카를 연구하다 보니 아프리카 연구는 아프리카만을 보아선 의미가 없고 그것이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산물이라는 데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이다.
사하라 이남 여러 나라가 독립 후에도 비참한 현실을 벗어나지 못하는 원인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세계체제'라는 분석단위를 발견하였다. 아프리카가 잘못된 요인은 내부에 있지만, 그 뿌리는 식민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노예무역 시기를 거치고, 더 나아가서는 유럽의 팽창에 그 외부적 요인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60년대의 '종속이론'과도 유사하게 들리지만, 남미가 미국과의 관계를 단절함으로써 종속 고리를 끊어냈지만 내적 발전에 별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점에서 종속이론의 한계가 드러났다.
세계체제론은, 국민국가를 분석단위의 기준으로 하는 것이 현실 설명에는 그리 유효하지 못하며, 만약 안과 밖을 굳이 구분한다면 오로지 자본주의 세계질서에 편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따져야 한다 했다. 농노제, 노예제 국가라도 자본주의 교류명에 포섭되는 순간 그 사회는 이미 자본축적의 동력에 휘말린다는 것이다. 요컨대 사회구성의 성격이 아니라 세계체제에서의 위치가 핵심적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그는 아담 스미스 - 마르크스 - 막스 베버 등에서부터 이어져 내려온 질문인 '지중해 세계의 한 변방에 불과하던 유럽이 어떻게 19세기에 세계 패권을 차지하게 되었는지'하는 물음과 '자본주의'라는 해답을 공유한다. 이들의 인식을 공유하면서 그간 축적된 역사연구
참고문헌
『근대세계체제 (1)』, 이매뉴얼 월러스틴, 김명환 역, 1999, 까치.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분석』, 이매뉴얼 월러스틴, 이광근 역, 2005, 당대.
『자본주의 역사강의』, 백승욱, 2006, 그린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