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

 1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
 2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2
 3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3
 4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4
 5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5
 6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6
 7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7
 8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8
 9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9
 10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0
 11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1
 12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2
 13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3
 14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4
 15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5
 16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6
 17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7
 18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식문화역사] 김치 역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김치의 정의 와 역사

1. 김치의 정의

2. 김치의 유래

3. 김치의 어원

4.시대별 김치

Ⅱ김치의 종류와 영양

1.김치의 종류

(1)계절별 김치의 종류

(2)지역별 김치의 종류와 특징

(3) 김치의 맛과 영양
본문내용
3. 김치의 어원

상고시대 김치류를 총칭하는 우리 고유의 옛말은 '지'였으며 한자어로 '침채(沈菜)'라 표기하기도 했는데 '지'와 '침채'는 모두 김치를 지칭하는 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김치․젓갈무리인󰡐저해'가 기록되어 있으며 또"고려사(高麗史)","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서도 󰡐저'를 찾아볼 수 있다
이후󰡐지(漬)', `염지(鹽漬)', `지염(漬鹽)', `침채(沈菜)', `침저(沈菹)', '침지(沈漬)', `엄채(掩菜)', `함채(鹹菜)' 등이 김치무리로 표기되었다.
'지'는 오늘날 장아찌나 오이지처럼 국물을 함께 먹지 않고 짠 맛이 강한 건더기만을 건져서 먹는 채소발효식품을 지칭하는 말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채소를 소금물에 담근다'는 의미의 '침채(沈菜)'는 '팀채', 혹은 '딤채'로 발음되었는데 구개음화로 인해 '짐치'가 되었다가 오늘날의 '김치'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김치류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중국의 『삼국지』「위지동이전」고구려조로 "고구려인은 술빚기,장담그기, 젓갈등의 발효음식을 매우 잘한다"고 씌어 있어 이 시기에 이미 저장발효식품을 생활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는 신문왕이 683년에 왕비를 맞이하면서 내린 폐백품목 가운데 간장,된장,젓갈류가 들어있어 발효식품이 널리 퍼졌음을 알려준다. 즉 김치류는 3000년 전부터 중국에서 '저(菹)'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기 시작해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 전래되어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를 거치는 제조방법이 변천 되어 왔다. 이때 까지만 해도 김치류는 무를 주원료로 한 동치미, 짠지,장아찌가 주를 이루었을 것이다. 오늘날과 같은 통배추와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한 김치류는 조선시대 중반이후에 결국 배추와 고추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보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4.시대별 김치

우리나라의 김치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정착된 농경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뚜렷한 사계절이라는 기후의 특성으로 인해 동절기 식생활에 대비한 산채류나 야생채류의 저장법이 발전되면서 오늘날의 김치에 이른 것이다.

(1)삼국시대

당시의 문헌기록이 없는 관계로 고대의 김치 발달과정은 확실히 규명하기 힘들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정착생활이 보편화되어 채소류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한 단순한 소금절임이 성행하였을 것이다.

(2)고려시대

고려시대도 전 시대와 마찬가지로 김치에 관한 기록은 거의 보이지 않지만 '한약구급방'에 처음으로 배추에 관한 기록이 나온다. 이 시대의 김치에는 순무장아찌와 순무소금절이(김치류)가 있었으며, 김치는 단순히 겨울용 저장식품뿐만 아니라 계절에 따라 즐겨 먹는 조리가공식품으로 변신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대는 조미료가 발달되어 각종 채소에 향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