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

 1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
 2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2
 3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3
 4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4
 5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5
 6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6
 7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7
 8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8
 9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9
 10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0
 11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1
 12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2
 13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3
 14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4
 15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5
 16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6
 17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7
 18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8
 19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19
 20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체육행정관리] 체육 시설관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공체육시설

2. 생활체육시설

3. 상업체육시설

4. 학교체육시설
본문내용
※ 공공체육시설 발전 배경

문화체육관광부가 발족하기 이전에 대부분의 생활체육시설은 학교체육시설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공공체육시설은 양적으로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었다. 특히 공공체육시설은 ‘전국체육대회’ 개최를 계기로 마련된 종합운동장과 체육관, 수영장 정도였으며, 이러한 시설물 또한 대부분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를 비롯한 대도시와 각 도청소재지에 집중되어 있어서 여타의 중소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체육시설은 크게 부족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1981년 문화체육관광부가 발족한 이후 ‘86아시안 게임과 88서울올림픽대회 등 각종 국제경기대회를 국내에서 개최하게 됨에 따라 체육시설의 중요성과 관심이 점차 고조되었으며 이로 인해 공공부문의 체육시설 투자가 촉진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에 2009년 현재까지 공공부문에서만도 전국적으로 12,342개소 이상의 각종 체육시설을 설치 운영해 오고 있으며 앞으로의 문제는 새로운 시설의 증설뿐만 아니라 기존 시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야 하며 공공체육시설의 활용도를 높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정책의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계획명
국민생활체육진흥 세부추진계획(호돌이계획)
제1차 국민체육진흥 5개년계획
제 2차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
참여정부 국민체육진흥 5개년계획
기간 연 도
1990-1992
1993-1997
1998-2002
2003-2007
세부 계획명
서울올림픽기념 국민생활관 건립계획
구민문화체육회관건설 및 농어민문화 체육센터건립
지방스포츠센터 확충지원 및 농어민문화체육센터 건립
지역단위 주민친화형 생활체육공간의 지속적확충
목 적
○올림픽잉여금을 국민에게 환원
○올림픅 성공을 후대에 전승하여 기념
○대도시 시민의 심신단련 및 생활문화 공간의 제공
○경마수익금의 사회환원 및 농어민의 건강증진과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
○생활체육서비스 공금의 지역적 균형도모
○경마수익금의 농어촌 발전 지원 및 농어촌 소외지역의 건강증진 공간 확대
○값싸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형 종합 체육공간 확보
○농어촌 주민을 위한 다목적 문화체육시설

추 진
방 향
○사업규모 - 각 시 도별 1개소씩 전국적으로 15개소이며, 체육활동을 중심으로 문화 예술 등 다목적 복합시설로 활용하는 계획

○관리 및 운영 - 지역주민을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사회체육 활성화를 위한 중심도장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
○특별시 및 광역시의 구단위에 건립하며, 재원부담은 전액 지방비로 추진

○주용도 - 실내체육관, 수영장, 청소년회관 등 다목적 용도로 건립

○기본방침 - 지방재정이 취약하여 문화 체육시설의 확보가 어려운 농어촌 산간지역 등의 읍 면에 운선 건립

○‘98년부터 15개 시 도별 각 1개소씩 연차적으로 착공하여 2001년까지 건립
○추진주체는 지방자치단체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며, 건설재원에서 건설비는 국민체육진흥기금으로 하고, 부지는 지방자치단체가 확보
○인구규모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적정규모의 다모적 복합시설을 마련
○생활체육시설
○선진형 스포츠클럽 육성
○생활체육 프로그램 운영
○국민체력관리 시스템 구축
○생활체육지도자 양성
○문화관광부는 2007년까지 경륜·경정 전입금 5,665억원, 복권 수입 1,002억원, 회원제 골프장 부가금 수입 1,695억원 등 모두 1조원 이상의 국민체육진흥기금을 조성 계획


(2) 공공스포츠센터

① 개념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 공공스포츠센터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매년 발행하는 공식 보고서인 전국공공체육시설현황의 공공체육시설의 분류기준에서 체육관 중 생활체육관을 의미한다.

② 생활체육관
구기종목과 수영, 볼링, 에어로빅, 헬스 등 생활체육종목의 체육시설이 복합 설치된 체육관을 의미한다.
예)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시민생활체육관, 구민체육센터, 농어민 문화체육센터
· 공공스포츠센터는 특정집단이 아닌 일반국민들을 위하여 국가 또는 지방정부의 예산으로 건설되고 운영되는 스포츠시설을 의미
· 공공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주로 정부에 의하여 사회에 공공재를 공급하는 종합적인 활동인 공공서비스의 유형
· 공공스포츠센터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스포츠센터와는 다르게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 목적
· 지역주민들을 위한 복지서비스에 속하며, 일상생활의 질을 높이는 문화서비스로 분류
⇒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정부가 제공하는 스포츠시설

③ 조성재원
공공스포츠센터의 조성재원으로는 지방자치단체 예산, 국민체육진흥기금 그리고 한국마사회 지원금 등이 있다.

· 지자체 예산
공공스포츠센터가 소재하고 있는 자치단체의 예산으로 건립
(재원부담은 전액 지방비로 추진) 예) 구민체육센터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신복, 강용호(1993). 체육행정학. 서울 보경문화사.
김사엽(1990). 학교체육시설론. 서울 : 보경문화사.
김사엽(1997). 체육시설관리학. 21세기 교육사.
김인숙(1988). 중학교 교육시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인수(1992). 민간사회체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병헌(1969). 체육지도의 요점. 서울 : 교육출판사.
유인호(1978). 체육심리학. 서울 : 문천사.
유향산(1986). 교육프로그램과 교육시설과의 관계 및 그 경영 방향. 새교육 특권 382호.
이상효(2008). 체육행정 · 경영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금광.
임번장(1998). 생활체육시설 정책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임번장(2000/2002). 사회체육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정상원(1994). 상업스포츠센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호.
엄진종(2005). 지역사회체육사업론. 대경북스
위성식(2005). 사회체육학개론. 대경북스
김우성(1996.12)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조직 관리방안연구
이범제(2004). 체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상효(2008). 체육행정 · 경영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금광.





【참고자료】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OD&office_id=214&article_id=0000034260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OD&office_id=057&article_id=0000059854
http://mbn.mk.co.kr/news/newsRead.php?vodCode=410233&category=mbn00007
http://www.mcst.go.kr/main.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