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

 1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
 2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2
 3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3
 4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4
 5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5
 6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6
 7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7
 8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8
 9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9
 10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0
 11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1
 12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2
 13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3
 14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4
 15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5
 16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6
 17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해물질처리공학] Mining Waste Treatment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주제선정이유 및 발표 방향

1.1. 주제선정이유

1.2. 발표 방향

II. 본론

1. 오염현황

1.1. 광산현황

1.2. 광산 관리의 문제점

1.3. 국내 휴․폐광산의 문제점

2. 광산 오염 종류

2.1. 광물찌꺼기(광미)

2.2. 산성 광산 배수(Acid Mine Drainage)

2.3. 폐석

3. 광산 오염물질로 인한 피해 사례

4. 광산 오염물질의 처리 및 주위 환경 복원

4.1.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

4.1.1. 토양 세척법(Soil Washing)

4.1.2. 고형화/안정화 공법(Solidification/Stabilization)

4.1.3. 동전기 공법(Electrokinetic: EK)

4.1.4. 열탈착법(Thermal Treatment)

4.2. 생물학적 처리 방법

4.2.1. 식물 정화 공법(Phytoremediation)

4.3. 정화 방법의 종류에 따른 처리비용 비교

III. 결론


본문내용
II. 본론

1. 오염현황

1.1. 광산현황

우리나라는 협소한 국토면적에 비하여 금, 은, 동, 철 등의 금속자원과 무연탄이 풍부하여 삼국시대이전부터 광산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일제강점기에 자원수탈의 목적으로 수없이 많은 광산이 개발되었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는 전 국토에 걸쳐 대단히 광범위하게 채광이 이루어져 왔으며, 전쟁에 필요한 물자의 공급을 위하여 금속광산의 개발이 두드러져 1941년에는 금속광구수가 12,503개에 달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패망과 자원의 채산성 문제로 일제강점기에 개발된 수많은 광산들은 휴·폐광이 되었고 최근에는 석탄수요의 감소와 광산물의 경쟁력 약화 및 산림훼손에 따른 허가취득의 어려움 등에 기인하여 전국적으로 휴․폐광산이 1,300여개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일제 강점기 또는 광복이후 산업개발의 초창기에 휴.폐광된 광구는 아직까지도 대부분이 그 위치나 규모, 광종 등이 알려지지 않고 있고, 따라서 그로 인한 환경적 피해 역시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현재 파악되고 있는 휴·폐광산으로는 1989년 이후에도 생산실적이 있었던 석탄광산 336개소와 1930년 이후 생산실적이 있다가 휴.폐광된 금속광산 814개소 등이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광해는 대부분 이 같은 휴·폐광된 석탄광산 및 금속광산들에 의한 것이다.


1.2. 광산 관리의 문제점

1) 휴·폐광산에 의한 광해관리 책임소재의 불명확성
2) 휴·폐광산 광해에 대한 무관심
3) 오염방지사업의 비용부담
4) 부적절한 광해방지대책
5) 예산부족과 기술의 한계
6) 광해광산의 관리부족
7) 광해실태의 명확한 규명부족


1.3. 국내 휴․폐광산의 문제점

우리나라는 산지 지형 아래 마을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농경지가 자연스레 형성된다. 따라서 광산에서의 오염물질은 주변 수계를 통해 농경지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자란 농작물을 인간이 섭취. 인간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유발한다.
Fig. 1. 광산 주변 농경지 지점(광산 주변 2km이내의 농경지 분포도-강원도 신림광산)

2. 광산 오염 종류

2.1. 광물찌꺼기(광미)

- 광미란? 법률 제 11조 제1호 나 항목
“광물을 선광 및 제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물찌꺼기”라 규정
- 입자의 크기는 보통 모래나 실트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주변 계곡 등에 버려지거나
광미댐에 적치된다.
- 폐광석보다 광물을 함유하지만 상대적인 양이 많고 입자크기가 작아 물, 산소와의
반응성이 커 안정선에 취약하다.
- 선광과 제련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은, 시안 등의 화학약품을 함유할 수도 있다.


Fig. 2. 광미(좌), 주변환경에의 광미적치(우) - 강원도 신림광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