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

 1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
 2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2
 3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3
 4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4
 5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5
 6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6
 7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7
 8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8
 9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9
 10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0
 11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1
 12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2
 13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3
 14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4
 15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5
 16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6
 17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7
 18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8
 19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19
 20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등문법교육론]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학생탐구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탐구활동 10. 펜팔#1
탐구활동 11. 펜팔#2
탐구활동 12. 펜팔#3
탐구활동 13. 다른 발음
탐구활동 14. 옛 단어에 대한 새로운 방법
탐구활동 15. "......그들이 거짓말을 하다......"
탐구활동 16. 초대된 변이 Invited Variation
탐구활동 17. 언어지문 (Fingerprints)
탐구활동 18. 여러분은“Goodbye"라고 말하고, 나는 "Hello"라고 말한다.
탐구활동 19. 단어 Right와 write
탐구활동 20. 일부 방언의 현장 조사
탐구활동 21. 비버와 바트는 떠나라
탐구활동 22. 좋은가 나쁜가, 아니면 불쾌한가?
탐구활동 23. 이름 속에 무엇이 있는가?
탐구활동 24. 사회적 상승, 상승, 사라짐(Social Climbing Up, Up, and Away)

본문내용
학습 방법
교실에서 읽었던 3~4개의 시를 고르라. 그리고 그 시와 오디오 테이프를 펜팔 친구에게 보내라. 펜팔 친구에게 여러분이 보낸 시를 직접 읽으면서 녹음해달라고 요청하라. (또한 여러분은 교실에서 읽은 시를 녹음해서 그 사람들에게 보내야 한다.)
문법과의
연관성
지역적 요인에 의해 생긴 강세나 높낮이, 억양, 리듬 등 비언어적 요소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같은 단어라도 다르게 발음하고, 강조하는 음운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중학교 국어 3-1 표준어와 방언


그 펜팔 친구들이 읽은 시를 들었을 때, 그들이 시를 읽는 방법에서 어떤 차이점이 들리는가? 그들이 다른 단어를 강조하는가?
그들이 한 행이나 문장의 끝부분에서 다른 억양을 사용하는가?
그들이 개별적인 단어를 다르게 발음하는가?

경상도의 경우 [ㅡ]를 [ㅓ]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예- 쓸쓸히 [쓸쓰리]:표준어 발음, [썰써리]:경상도 발음) 또한 연음으로 발음할 것을 된소리(경음)으로 발음하는 경우도 많다. [음성모음+양성모음]을 [양성모음+양성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역시 ‘오늘날’을 [오날날]로 발음 하는 예 등에서 찾아 볼 수 있겠다. 또, 복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하게 된거야’를 [하게 댄거야]로 발음 하는 예가 있다. 전라도 사투리에서의 발음도 살펴보자면, 경음화 현상이 일어나는 발음을 연음으로 발음하는 경우(예- 한마디 못하고 [한마디 모타고]: 표준어 발음, [한마디 모다고]: 전라도 발음)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각 지방마다 같은 말을 심한 혹은 약간의 변이를 가지고 사용되는 것이 방언이다. 사물을 지칭하는 고유명사, 어떤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같은 것들은 상당히 보편적인 것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산과 강으로 분리 되어 있거나 도를 사이에 끼고 있거나 바다를 끼고 있는 경우, 다른 용어로 물건이나 감정 행동 등을 지칭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교류가 어느 정도 이루어짐에 따라 보편적이고 자주 볼 수 있는 사물들은 그 명칭이 통합이 된다 하더라도, 생활 속의 모든 사물의 명칭들이 다 통합되어질 수 는 없다. 또한, 오랜 세월동안 각 지역이 교류 없이 고립되어진다면, 나중에는 서로가 무슨 말을 하는지 전혀 알아듣지 못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발생한 지역적 변이, 즉 지역적 방언은 옳고 그름의 잣대를 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지역’이 다르다는 ‘다름’의 원인에서 발생한 말의 ‘다름’일 뿐인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문법 교사용 지도』, 2002.
김동언, 『국어표현론』, 월인, 2005.
이관규, 『학교 문법론(개정판)』, 월인, 2004.
이관규 외 옮김,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박이정, 2008.


강명구, 백미숙, 「‘순결한 가정’과 건전한 성윤리: 텔레비전 드라마 성표현 규제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1-1, 2007.
고혜선, 「중남미문화: 인물의 이름과 상징 -『마스카라』를 중심으로」, 한국스페인어문학회, 서어서문연구 29권, 2002.
김봉국, 「강원 지역어 조사 보고서」, 2006, 국립국어원.
민현식, 한국사회언어학회,「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사회언어학 5, 1997.
정경자, 「피임광고를 통해서 본 성문화 일고찰: 푸꼬의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 대학원, 1990.
한영목, 「충남 지역어 조사 보고서」, 2005, 국립국어원.


강인규, 「[미국문화읽기15] 미국영어의 지역적 다양성과 문화적 의미」, 『오마이뉴스』, 2008.10.23.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89502
고경석, 「강지환 “김하늘과 스캔들 너무 금방 식어 아쉬웠다”」, 『아시아경제』, 2009.4.21.
http://www.asiae.co.kr/uhtml/read.jsp?idxno=2009042101083024369
구재숙, 「인터넷신조어」, 『대전일보』, 2008.10.08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781171#01
김윤신, 「“표준어가 우월한 말이란 생각은 잘못 방언 사라지면 역사·문화도 사라져”」, 『조선일보』, 2008.09.29.
반도헌, 「'지못미'같은 신조어 잘 써서 '킹왕짱'되려나」, 『시사저널』, 2008.10.22.
h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