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

 1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
 2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2
 3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3
 4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4
 5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5
 6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6
 7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7
 8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8
 9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9
 10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0
 11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1
 12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2
 13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3
 14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4
 15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5
 16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6
 17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7
 18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8
 19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19
 20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현황

Ⅰ. 개황
1. 러시아 전반 동향
2. 극동 시베리아의 개념과 현황 개념
3. 경제
4. 인구

Ⅱ. 자원
1. 원유와 천연가스의 매장량
2. 석유, 가스 등 막대한 지하자원의 개발 잠재력

Ⅲ. 극동시베리아 개발 계획
1. 목표
2. 과제
3. 기대효과

제 2 장 주요국의 극동개발

Ⅰ. 중국
1. 양자관계의 발전
2. 경제 ․통상․에너지 협력 확대
3. 국제 문제의 해결

Ⅱ. 일본
1. 영토 분쟁
2. 경제 협력
3. 에너지 협력

Ⅲ. 한국
1. 극동 시베리아 진출 현황
2. 유라시아 에너지 통로 및 러시아-한반도간의 에너지 공동체형성
가. 송유관
나. 가스관
3. 남․북러․ 3각 협력 추진
가. 남․북․러 3각 경제협력의 필요성과 여건

제 3 장 TSR-TKR

Ⅰ. TSR

Ⅱ. TKR

Ⅲ. TKR/TSR이 가져다 주는 이점

Ⅳ. TKR/TSR 연결에 극복해야 할 과제

제 4 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 문헌 및 인터넷 자료

본문내용
2. 극동 시베리아의 개념과 현황 정여찬 편,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개발 전망과 한국의 선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pp. 61.

러시아 지도

자료 : http://imagesearch.naver.com/detail/frame_top_080722.html# > 세계, 유럽, 러시아지도
극동지방이란 원래 광역 경제구역을 지칭했으나, 2000년에 신설된 7개 연방관구의 - 중앙, 북서, 남부, 볼가, 우랄, 시베리아, 극동 - 하나로서 공식적인 행정구역으로 되었다. 극동연방관구, 즉 극동지방은 그 안에 9개의 러시아 연방(Rossiiskaya Federatsiya)을 구성하는 주체가 포함되고 있다. 러시아는 연방국가로서 원래 89개의 구성주체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일부가 통폐합되어 2008년 3월 현재 84개로 정비되고 있다.
극동지방은 한반도의 28배가 넘는 620만 평방킬로미터의 크기로서 러시아 영토의 36.4%이고 시베리아 대륙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이 지역의 생화환경은 전반적으로 열악한 편이다. 러시아 극동지방의 경제를 논할 때 이 광대한 지역이 풍부한 천연자원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누구나 한 번은 언급하고 있다. 예컨대 이 지역은 철광석 120억톤, 망간 광석 1,500만 톤 이상, 주석 200만 톤 이상, 주석 200만 톤 이상, 아연광 250만 톤, 그리고 금과 다이아몬드 등 비철금속을 보유하고 있으며, 화석연료 자원도 상당량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원 잠재력은 아직까지 충분히 개발되고 있지 못하다. 무엇이 문제인가?
역설적이지만 바로 그 크기와 위치로 인해 풍부한 자원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자연조건과 지리적 원격성, 인구의 과소화, 사회간접자본의 부족, 가공산업의 취약 등이 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극동경제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구조적 불균형인 것이다.
참고문헌


◦ 박정민, A.스타리치코프, 「러시아 극동을 주목하라」, 한울, 2005
◦ 정여찬 편,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개발 전망과 한국의 선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 한국수출입은행, 「사례 중심의 동북아 진출 전략」, 한국수출입은행, 2006
◦ 일본유라시아연구소 편저, 「부활하는 러시아의 자원외교」, 전략과 문학, 2008
◦ 성원용(인천대학교 교수), 「푸틴 정부의 신극동지역 개발정책과 전망」,2007
◦ 세일러, 「흐름을 꿰뚫어 보는 경제독해」, 위즈덤 하우스, 2009
◦ 우평균, 「러시아 극동지역의 일본-중국간의 경쟁과 한국에의 시사점」, 시베리아극동연구, 2005
◦ 안병민,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현황 및 한반도 연결에 따른 파급효과」, 교통개발연구원, 2002




◦ 러시아 연방통계 서비스(www.gkw.ru) > 세계정보, 여행 > 국가정보 > 러시아
(최종검색일시: 2009년 4월 2일)
◦ 유로모니터 인터네셔널 http://www.euromonitor.com/ > Rusia > Countries &
Consumers (최종검색일시: 2009년 4월 2일)
◦ Goskomstat RF(러시아연방 국가통계위원회)
◦ 러시아 연방통계국 www.gks.ru (최종검색일시: 2009년 4월 2일)
◦ 러시아-CIA
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rs.html> people (최종검색일시 : 2009년 4월 4일)
◦ BP통계 http://www.bp.com/home.do?categoryId=1&contentId=2006973 >
investors > Annual Report & Annual Review (최종검색일시 : 2009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