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

 1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1
 2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2
 3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3
 4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4
 5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5
 6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6
 7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7
 8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8
 9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예송논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예송논쟁의 배경
3. 예송 논쟁의 전개과 영향
4. 기해‧ 갑인 예송
5. 결어
본문내용
1. 서언
禮訟論爭이란 조선 후기 유학자들의 禮論에 대한 학문적‧ 정치적 견해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논쟁을 말한다. 조선 시대는 유교, 특히 성리학을 중시하여 정치는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유교의 덕목을 준수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에 관혼상제례를 비롯한 각종 의례‧ 의식에 있어서 예학을 적극 수용하고자 하였는데, 그 규정을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입장의 차이, 즉 예학에 대한 학문적인 차이에서 발생한 논쟁이 바로 예송논쟁이다. 그런데 예송논쟁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까닭은 앞서 말한 것처럼 이것이 단순한 학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정치적인 상황과 맞물려 정권의 교체라는 결과를 낳았기 때문이며, 그 과정과 결과에서 조선 후기의 정치와 사회상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예송 논쟁인 기해‧ 갑인 예송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되, 그 전 시기에 있었던 예송들을 먼저 살펴 이러한 일들이 어떤 맥락속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영향은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2. 예송 논쟁의 배경
1) 학문적인 배경
고려 말 安珦에 의해 도입된 이후 성리학은 세종 조 集賢殿의 설치와 활동으로 인해 국가적인 학문으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6세기에 이르러서는 李滉, 李珥와 같은 大性理學者가 배출되었고,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는 士林이 중앙 정계에 진출하면서부터 이들의 영향으로 성리학은 국가 통치의 이념으로 굳게 자리잡았다. 그러나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지나치게 현학적인 이론 연구에만 몰두했던 성리학이 국난을 해결할 대안조차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시키면서, 이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전란으로 피폐해진 풍속을 바로잡고 국가를 견고히 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禮治를 중시하게 되었고, 곧 禮學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ꡔ한국사-31ꡕ, 탐구당문화사, 1998
․ 이덕일, ꡔ송시열과 그들의 나라ꡕ, 김영사, 2000
․ 許捲洙, 「17世紀 文廟從祀와 禮訟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92
․ 金智潤,「17세기 禮訟論爭과 西人의 執權科程」 祥明大교육대학원, 1997
․ 신경숙, 「17세기 성리학적 정치관과 붕당정치」, 연세대학교대학원,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