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

 1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1
 2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2
 3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3
 4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4
 5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5
 6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6
 7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7
 8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8
 9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9
 10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10
 11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11
 12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12
 13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13
 14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화제시 방법에 따른 교재분류
3. 문화어휘의 종류
4. 한국어 교재에 대한 분석
-문화제시 방법과 그에 따른 활동 비교
4.1. 교재별 문화분석
[말이 트이는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
[서강한국어]-서강대학교
[한국어]-경희대학교
[한국어]-연세대학교
4.2. 수준별 문화비교
5. 외국어교재와의 비교
6. 문제점
7.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 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언어를 배우는 것은 곧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다. 언어에는 그 언어를 오랫동안 사용하고 발전 시켜온 민족의 관습과 사상, 심성이 녹아 있고, 역사가 들어 있다. 한 나라의 언어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으려면 그 민족의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또한 목표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과의 사회적 접촉을 통해서 그들의 가치관을 이해하고 생활양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한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것은 단지 기계적인 암기나 반복적인 학습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그 나라의 정신, 관습, 역사, 일상적인 생활 습관을 포괄한 문화를 이해할 때만이 전인적인 학습이 될 수 있다. 한 민족의 사상과 역사, 감정이 융합되어 나타나는 것을 문화라 할 때 결국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그 민족의 언어를 가장 빨리,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길이다.
언어를 사용시, 정확성을 추구하던 것에서 유창성을 강조하게 됨에 따라 의사 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1970년대 이후에는 언어 능력은 문법적 능력 외에 그 언어가 쓰이는 사회와 문화에 관한 지식과 그것에 적합한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언어 교육에 있어서도 문법, 구조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사회,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그로 인해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실제 그 사회의 상황에 맞는 언어를 구사하려면 문화를 모르고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 상황에 맞는 언어를 구사할 수 있으려면, 교실에서부터 실제 한국 생활의 문화적 상황을 가르치고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어 교수 학습 현장에서는 교사와 학습자 양측에서 불가피하게 다양한 양상의 문화 충격을 경험하게 된다. 언어 내적 교육에만 치중하여 문화적인 부분을 소홀히 하다 보면 학습자가 부딪히는 크고 작은 문화 충격들은 하나의 큰 골을 이루어 학습자를 좌절하게 하고 목표어 학습에 장애를 줄 수 있다. 따라서 교실에서부터 다양한 한국의 문화를 접하게 된다면 실제로 학생들이 한국어를 구사할 때는 어려움 없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게 될 것이며, 한국과
참고문헌
박영순. 2002.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론. 한국문화사.
박영준. 2000.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문화적 어휘ㆍ표현의 교육. 한국어 교육. 11(2).
이성희. 1999.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10(2).
이해영. 2000. 프로젝트 활동을 활용한 한국 문화 학습. Foreign Languages Education. 7(2).
조항록. 1998.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9(2).
조항록. 2000. 초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한국어 교육. 11(1).
한상미. 1999.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인 교육 방안. 의사소통 민족지학 연구 방법론의 적용. 한국어교육. 10(2).
김중섭, 조현용, 방성원, 홍윤기, 호정은. 2000.『 한국어 초급 Ⅰ』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김중섭, 조현용, 방성원, 홍윤기, 호정은. 2001.『 한국어 초급 Ⅱ』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김중섭, 강현화, 이정희, 김동은, 이명귀. 2002.『 한국어 중급 Ⅰ』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김중섭, 강현화, 이정희, 김동은, 이명귀. 2002.『 한국어 중급 Ⅱ』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서강대학교 한국학센터, 편. [2000] 2002.『 서강 한국어 1』. 서울: 서강대학교 한국학센터.
서강대학교 한국학센터, 편. [2000] 2002.『 서강 한국어 2』. 서울: 서강대학교 한국학센터.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1993] 1997.『 한국어 1 』. 서울: 연세 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1993] 1997.『 한국어 2 』. 서울: 연세 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1993] 1997.『 한국어 3 』. 서울: 연세 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1994] 2001.『 한국어 4 』. 서울: 연세 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199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