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

 1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1
 2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2
 3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3
 4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4
 5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5
 6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6
 7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7
 8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8
 9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9
 10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10
 11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11
 12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12
 13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교재 분석(말하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2.1 의사소통 능력의 특징
2.2 말하기의 특성
2.3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3. 말하기 영역 분석 항목


4. 교재 분석
4.1 분석 대상 교재
4.2 교재 분석 및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말하기이며 실제로 교실 내 수업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말하기 활동이다. 말하기는 '구어의 표현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음성 언어를 통해 자신의 생각, 느낌, 정보 등을 표현하고 상호 교섭하는 언어 기능이다.
언어교육의 흐름에 따라 교육의 목표와 구체적인 교육 방법이 변천해 왔으나 말하기는 모국어 교육과 외국어 교육 모두에서 가장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온 부분이다. 한국어도 수업의 가장 많은 시간을 말하기에 할애해 왔으나 문법에 중점을 둔 문장 생성과 발음 연습에 치우친 말하기 교육은 상호작용을 통한 말하기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으며,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한국어 교육의 목표가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므로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주로 음성 언어를 매개로 해서 이루어진다고 할 때 말하기의 신장은 언어 학습 및 교수에서 핵심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말하기 교재를 분석하기에 앞서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의 전반적 특징을 살펴보고,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의 관계에 대해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또한 말하기가 교재에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 기관과 사설학원의 교재들을 실제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2.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2.1 의사소통 능력의 특징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제 2 언어 교육 분야가 발전해 오는 동안 수많은 언어 교수에 관한 방법과 접근법이 생성되고 소멸되었다. 그렇다면 현재는 어떠한가? 아마도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communication language teaching: CLT)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에 대한 4가지 특징들이다.
첫째, 교실 수업의 목표는 단순히 문법적 혹은 언어적 능력에만 국한하지 않고 의사소통 능력의 모든 구성 요소에 초점을 두고 있다.
둘째, 학습자가 유의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언어를 화용적으로, 참되게, 기능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한다. 언어의 구조적 형식은 주요 학습 목표라기보다는 학습자가 유의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주는 언어의 한 부분으로 여긴다.
셋째, 유창성과 정확성은 의사소통적
참고문헌
남기심 외(1999),「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방법과 실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박영순(2002),「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도자 과정(2003),「2003년도 한국어 교육」(1)
Brown, H.D.(2002),「원리에 의한 교수」(권오량 외 역), Pearson Education Korea
Brown, H.D.(2001),「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이흥수 외 역), Pearson Education Korea
Cunningsworth, A.(1995),「Choosing your Coursebook」, Heinemann
McDonough, J.&C. Shaw.(1993),「Materials and Methods in ELT」, Cambrige: Blackwell



이해영(2001).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 교육12(1)
이해영(2001), 한국어 교재 언어활동 영역 분석, 한국어 교육12(2)
현윤호(2001), 과제수행중심의 말하기 지도방안, 한국어 교육12(2)
민현식(2000),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제 2 회 국제학술대회, 서울대 국어연구소




경희대학교 한국어교육부(2002),「한국어 초급Ⅰ,Ⅱ」, 경희대학교 출판국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연수부(1996),「한국어 회화1-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2002),「한국어1-4」, 문진미디어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1994-1997),「한국어1-6」, 연세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1998),「말이 트이는 한국어Ⅰ-Ⅳ」,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한국어교육문화원(2000),「Easy korean1-3」, 시사일본어사
신명섭 외(2003),「Korean Conversation」, 삼지사
이봉국 외(2003),「Easy way to Korean conversation」, Holly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