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

 1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
 2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2
 3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3
 4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4
 5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5
 6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6
 7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7
 8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8
 9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9
 10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0
 11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1
 12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2
 13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3
 14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4
 15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5
 16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6
 17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7
 18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8
 19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19
 20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지심리학논문요약] 인지심리학과 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고전적 인지주의와 인지심리학
20세기 후반에 대두된 하나의 새로운 과학적 패러다임을 인지주의, 또는 정보처리적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틀은 과학에서 하나의 혁명을 초래했다. 인지혁명을 통해 인지주의가 학문적 틀로서 구현된 것이 종합적 학제적 과학인 인지과학이며, 이 인지과학의 핵심학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인지심리학이다. 인지주의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의 고전적 인지주의와, 80년대 중반 이후의 신인지주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 둘을 가르는 획이 뇌가 마음의 연구에서 지니는 중요성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 기인한다. 고전적 인지주의는 본질적으로 컴퓨터 유추에 기초하여 마음과 인간에 대한 설명을 구성하려했고, 신인지주의는 뇌 유추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려 한다.
정보처리적 접근적 인지주의의 주요 기본 주장은 다섯가지로, 심리현상을 다른 자연 현상과 마찬가지로 자연화하여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는 핵심을 가지고 있다. ①심리적 사건은 정보적 사건으로 기능적으로 기술될 수 있다. ②정보처리 과정은 표상적이다. ③정보처리 과정은 정형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 ④하드웨어의 특성에 관계없이 정보처리적 원리를 분석․기술할 수 있다. ⑤기능 요소들의 재귀적 분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런 인지주의는 다시 계산주의(내장된 규칙에 따라 한 정보를 다른 유의미한 정보로 전환시키는 것)와 표상주의(자극 정보를 내적 상징으로 변화시켜 기억에 보유함)로 요약된다.
참고문헌
1) Sperry, R.W.(1995). The Future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0, 7, 505-506.(506 쪽)
2) Stillings, N. A., Weisler, S. E., Chase, C. H., Feinstein, M. H., Garfield, J. L., & Rissland, E. L. (1995). Cognitive Science: An Introduction (2nd Ed.). Cambridge, MA: MIT Press.
3) Cutland, N. (1980). Computability: An Introduction to Recursive Function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이정모 (1996). 연결주의: 이론적 특성과 문제점. 이정모(편).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I: 인지과학적 연관. 서울: 성원사. (pp. 115-129)
5) Gazzaniga, M. S. (1995). Cognitive Neuroscience. Cambridge, MA: MIT Press.
6) Posner, M. I. (1995). Chronometric Explorations of Mi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 4. Banich, M.T.(1997).Neuropsychology: The Neural Basis of Mental Function. Boston: Houghton Mifflin.
8) Marr, D. Vision. San Francisco, CA: Freeman.
9) 김정오 (1999). 주의. 이정모 외 (지음).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4장)
10) 이정모, 이재호 (1996). 기억체계 이론. 이정모(편).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I: 인지과
학적 연관. 서울: 성원사. (pp. 159-19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