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

 1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1
 2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2
 3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3
 4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4
 5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5
 6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6
 7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7
 8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작품론을 쓰려고 보니 어떤 작품으로 할지가 참 막막하였다. 일단 작품만 정해도 반은 한 셈인데 어떤 작품을 선택할지 고민하며 작품을 정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고심 끝에 서경별곡으로 작품론을 쓰기로 했으나, 서경별곡은 접근하기가 만만치 않은 작품이였다. 그야말로 다양한 시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작품에 대한 논의들도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작품을 정했으니 작품의 대한 이해와 더불어 작품을 바탕으로 이제까지 이루어진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작품에 대한 다양한 논의 중에 작품의 느낌을 음미하는데 있어 전제가 될 만한 것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동안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작품의 구조 및 화자 연구를 비롯하여 내용에 따른 정서에까지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아울러 새로운 시각을 통하여 작품 내용에 따른 재해석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작품론을 전개해 나가는 데 있어 작품 자체에만 주목하려 했고, 작품을 읽고 독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데 충실하려고 했다. 작품에 대한 연구는 일단 작품을 읽고 그것을 이해하는 것이 작품연구의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외적인 면의 연구나 작품과 관계된 여러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부차적인 것이라 생각한다. 작가가 어떤 의도로 썼는지 생각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하기보다 작품을 독자의 입장에서 수용하고 작품이 다가오는 느낌에 초점을 맞춰 전개해나갈 생각이다.
서경별곡은 대표적인 고려 가요 중의 한 작품으로써, 문학사적으로도 의의가 큰 작품 중의 하나이다. 서경별곡은 고려 때 만들어져 이후 구전되다가 조선 때 정음 창제 이후 문자로 정착된 이른바 고려 가요의 하나이다. 서경별곡을 고려 가요로 보는 것은 우선 그 형태면에서 전반적으로 3음보의 3․ 3․ 3․ 4 조 음수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면에서는 다른 고려가요와 유사한 정서를 보이고 있다. 서경별곡은 문학 작품으로서의 자체적 완성도가 돋보이는 고려 가요다. 유려하면서도 애상적인 가락이나 진솔하면서도 함축성 있는 시어 구사면이나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라는 후렴구의 반복 등으로 해서 조선 시대의 시가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려 가요 작품이라 평가받는다. 최승영, 서경별곡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1993, p 1~2.
-1-

서경별곡은 가시리와 함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으로 쌍벽을 이루는 고려가요이다. 남녀간의 이별상황에서 여성화자의 목소리를 통해 별리의 아픔을 노래하고 있지만, 가시리와는 전혀 분위기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정든 사람이나 사랑하는 사람과의 헤어짐은 비극적인 것이다. 헤어짐의 아픔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정서일 것이다. 서경별곡은 이러한 보편적인 헤어짐의 아픔을 소재로 작중화자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누구나 헤어짐을 겪다보니 그에 따른 대응방식도 다를 것이다. 식음을 전폐하고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사람도 있을 테고, 아무 일 없듯이 일상생활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별의 상황에서 작중화자의 대응방식과 이면
참고문헌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자료원, 1994
최승영, 서경별곡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1993
엄용선, 고려속요 연구, 교육대학원, 1993
조동일, 한국 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