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고려대장경답사

 1  [답사] 고려대장경답사-1
 2  [답사] 고려대장경답사-2
 3  [답사] 고려대장경답사-3
 4  [답사] 고려대장경답사-4
 5  [답사] 고려대장경답사-5
 6  [답사] 고려대장경답사-6
 7  [답사] 고려대장경답사-7
 8  [답사] 고려대장경답사-8
 9  [답사] 고려대장경답사-9
 10  [답사] 고려대장경답사-10
 11  [답사] 고려대장경답사-11
 12  [답사] 고려대장경답사-12
 13  [답사] 고려대장경답사-13
 14  [답사] 고려대장경답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답사] 고려대장경답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팔만대장경이란 무엇인가
1. 고려초조대장경의 성립
2. 고려속장경의 성립
3.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1. 고려대장경의 제작과정
2. 고려대장경의 이운과정
3. 고려대장경의 보관
고려대장경의 현대적 의의
본문내용
고려대장경

처음 고려대장경이라는 파트를 맡았을 때에는 팔만대장경이라는 익숙한 이름이 아니라서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초조대장경과 속장경을 모두 포함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팔만대장경의 정식 명칭이 고려대장경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려팔만대장경은 고려 고종 때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대장경을 말한다.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경판은 국보 제32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 현종대부터 문종대에 걸쳐 완성한 초조대장경이 고종 19년(1232)에 몽고군의 침입으로 불타자, 당시 집권자였던 최우(崔瑀) 등이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6년 동안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완성한 것이 바로 팔만대장경이다. 완성한 경판의 총 판수가 81,240매에 달하며, 84,000가지 중생의 번뇌에 대치하는 84,000 법문을 수록했다 하여 팔만대장경이라고 부른다. 초조대장경이 전란 속에서 타버리고 그것을 다시 판각했다고 해서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이라고도 부른다.
고려대장경의 경판 한 장 두께는 4cm, 8만 장을 전부 쌓으면 그 높이는 3200m 로 백두산(2744m)보다 높다. 경판 앞뒷면에 글자가 빼곡히 새겨 있는데 한 면의 글자는 대략 300자 정도, 전부 합하면 5천만 자가 된다. 뜻을 헤아리며 읽을 때 하루에 많아야 4∼5천 자 정도 읽을 수 있어 통독하려면 30년이 걸리는 셈이다.
해인사 팔만대장경은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함, 그리고 고도로 정교한 인쇄술의 극치를 엿볼 수 있는 세계 불교경전 중 가장 중요하고 완벽한 경전이며, 이를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은 대장경의 부식을 방지하고 온전한 보관을 위해 15세기경에 건축된 건축물로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한 보존과학 소산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1. 고려팔만대장경이란 무엇인가
고려팔만대장경은 고려 고종 때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대장경을 말한다.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경판은 국보 제32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 현종대부터 문종대에 걸쳐 완성한 초조대장경이 고종 19년(1232)에 몽고군의 침입으로 불타자, 당시 집권자였던 최우(崔瑀) 등이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6년 동안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완성한 것이 바로 팔만대장경이다. 완성한 경판의 총 판수가 81,240매에 달하며, 84,000가지 중생의 번뇌에 대치하는 84,000 법문을 수록했다 하여 팔만대장경이라고 부른다. 초조대장경이 전란 속에서 타버리고 그것을 다시 판각했다고 해서 재
참고문헌
1. 역사스페셜2 - 숨겨지고 잃어버린 역사 찾기, 정종목, 효형출판, 2001
2. 한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진현종, 들녘, 1999
3. 다시보는 팔만대장경 이야기, 박상진, 운송신문사, 1999
4. "일요스페셜 세계문화유산시리즈6/팔만대장경", 연출 유동종, 한국방송공사, 1997
5. 역사스페셜(29회) 5천만자의 하이테크 팔만대장경, 한국방송공사, 1999.05.22
6. 뷰티풀 코리아 애국심과 불심의 결정판-고려대장경, 한국방송공사, 2002
7. 上. 해인사판고 온습도 조절에 이상적, 중앙일보, 1995.12.07
8. 中. 일제조사보다 4천여장 많아, 중앙일보, 1995.12.10
9..팔만대장경의 수종 분석과 보존 현황(수다라장, 1997.02), 박상진
10. 해인사 홈페이지(http://www.haeinsa.or.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