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

 1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1
 2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2
 3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3
 4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4
 5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5
 6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6
 7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7
 8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8
 9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이청준의 초기(60년대)소설을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론
1.인물 내면 탐구
2. 형식적인 면에서의 모더니즘적 요소
3.언어의 표현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모더니즘’(Modernism)이란 큰 범주로 말하면 제 1차 세계대전 이후의 예술 전반에 나타난 감각이나 형식, 양식의 특징들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모더니즘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실성의 원리의 결과로 일어난 예술이며, 마르크스, 프로이트, 다윈에 의하여 변화되고 ,재해석된 세계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제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문명과 이성의 파괴, 자본주의의 산업화의 가속화에 따른 산물이다. 모더니즘은 무의미와 부조리와 실존적 상황의 예술이며, 기술의 문학이다. 그것은 공동의 실재와 인과성에 대한 인습적인 개념의 파괴에서 오는 예술이다. 인물 성격의 전체성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파괴하는 예술이고, 현실을 주관화하고 언어에 대한 공공의 개념을 거부함으로써 일어나는 언어적 혼란에 따른 예술이다“
(M.Bradbury and J.Mcfarlane eds,『Modernism』, Penguin Books,1976)
모더니즘은 처음부터 단일한 방법론이나 확실한 방향성을 가지고 시작된 예술 운동이 아니기 때문에 때때로 애매하게 사용될 소지가 있는 용어라 할 수 있다. 제 1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세계 각 지역에서 나타난 표현주의,미래주의,다다이즘,초현실주의,입체주의,주지주의등을 평자에 따라 한데 묶어 모더니즘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때로는 이들 예술운동 중의 하나를 지칭하거나 둘 이상이 복합된 것을 모더니즘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한국 문학사에서 모더니즘의 도입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우리 문학이 모더니즘을 통하여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현대문학’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60년대를 지나면서 모더니즘은 근대화과정에서 발생한 소외의 문제를 다루는 쪽으로 회귀한다. 이 시대에 이르러 한국사회는 이른바 산업사회 초기에 이르는데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시작됨에 따라 근대화의 물결이 국토를 뒤덮게 된 것이다. 그러나 6.25의 상처는 아직 완전히 극복되지 못한 채 상처로 남아 있었고 건설의 이면에는 소외된 삶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채였다. 또한 5.16군사 쿠데타에 의한 4.19시민 혁명의 좌절은 민주사회 건설의 좌절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그것은 정신적 억압으로 사람들에게 다가왔다. 사람들은 사회가 잘못 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고 새로운 방향을 여러 면에서 모색하게 되었다. 이 때 문학 안에서 새로운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는데 바로 새로운 형식으로서의 방법론인 모더니즘이 그것이다. 모더니즘이 새로운 형식을 꾀하고 있는 면을 살펴보면 먼저 미학적 자의식을 바탕으로 한 내면세계의 탐구를 그 큰 축으로 들 수 있다. 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이어진 리얼리즘의 가장 큰 특징이 당대 현실의 객관적인 사실묘사였다면 모더니즘 작가들은 모든 대상과 삶의 실재는 고정되어 영원히 변화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모더니즘 문학은 인간의 변화하는 의식에 초점을 맞추고 인간 내부에 대한 탐구로 그 대상을 전환하게 되었고 이는 소설에서 인물의 심리묘사나 주관적인 내면세계의 탐구를 가장 중시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모더니즘이 지향하는 문학형식을 “무형식의 형식”이라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는 모더니즘 작가들이 삶을 정돈되고 균형 있는 것이 아닌, 왜곡되고 단편적인 것으로 파악함으로써 전통적인 문학과는 달리 그 형식을 외적인 질서나 통일성보다는 내적인 통일성에서 찾기 때문이다. 즉, 전통적인 형식으로는 현대의 복잡하고 변화된 경험을 담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파괴하여 소설의 형식상의 혁명을 일으킨다
참고문헌
『이청준 문학상 수상 작품집』 《청어와 삐삐》 1999 .8
『소문의 벽』《열림원》 1998 . 4
《이청준 소설의 알레고리 기법 연구》- 이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9.
《이청준 소설의 인물유형 연구-「병신과 머저리」,「소문의 벽」,「황홀한 실종」을 중심으로》-박은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이청준소설 연구 -작가 의식을 중심으로》- 최규성,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02
《이청준 초기 소설 연구 - 「퇴원」,「병신과 머저리」의 성격 분석》 한순모, 동국대 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3.
《196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연구 - 최인훈과 이청준의 소설을 중심으로》,김영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