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

 1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1
 2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2
 3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3
 4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4
 5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5
 6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6
 7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7
 8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8
 9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9
 10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진경산수화의 개념
2. 진경산수화의 시대적 배경
3. 진경산수화 발생과 회하사적 의의
4. 겸재정선의 주요화풍과 특징
5. 정선의 주요작품 감상
본문내용
흔히 진경은 보통 실경이라는 말과 혼동하지만, 그 뜻은 전혀 다르다. 실경은 말 그대로 실제로 눈앞에 존재하는 경치를 가리키지만, 진경은 좀더 복잡한 의미를 갖는다.
이태호의 견해에 따르면, 진경산수화의 眞景이란 말 그대로 실제 경치를 의미한다. 즉 실경산수화를 의미한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는 實景보다는 眞境이라는 용어 즐겨 썼다고 한다. 眞境은 신선이 사는 곳, 깨끗한 땅이라는 의미를 가졌고, 眞은 에 의하면 “선인이 변형해 놓고, 하늘에 오른 땅의 뜻”이라는 의미를 지녔다. 이로 보아 진경은 실경에서의 단순한 경치 뿐만 아니라 仙境의 의미까지를 내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조선후기에 그려진 진경산수의 대종이 평범한 주변, 세속의 풍경을 담은 것이 아니고, 금강산을 비롯한 명승고적에 초점을 맞춘 것도 이 때문이며, 깨끗한 땅으로서의 仙境의 의미까지 내포한다고 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진경산수화는 일찍부터 동양권에서 발달한 산수화의 개념과 무관하지 않다. 본래 산수화와 그에 대한 화론이 발달한 연유는 풍류적 탐승과 속세적 떠나 심산유곡에 은일하려는 儒, 道가적 이상주의를 추종한데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동양의 산수화는 비록 관념적인 형식을 취한 듯 하지만, 실제로는 출발부터 실경적 요소를 바탕으로 하였다. 중국에서의 예를 봐도 화북지방의 그림이나, 강남지방의 그림은 그곳의 경치를 배경으로 하였고, 양식적인 특징도 각 지역의 지세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다. 이렇듯 조선 후기 이전에는 진경이 대개 속세와 동떨어진 신선들이 사는 곳, 즉 이상향으로서의 仙境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제시된 진경이란 용어의 시작은 18세기 표암 강세황이 진경이란 용어를 자주 사용하면서 하나의 뚜렷한 회화사적 용어로 정착되었다. 강세황에 있어서 진경이란 화가가 대하는 외재적인 산수의 객관적인 모습이며, 그러한 모습을 그대로 똑같이 그리는 것을 중시하였다. 이것은 결국 이익이 “정신이 형체안에 있으니, 형체가 이미 같지 않으면, 어떻게 그 속의 정신을 전할 수 있겠는가?”라고 한 것과 같은 인식을 토대로 형상화된 회화관이다. 그러나 강세황은 한걸음 더 나아가 진경을 그리는 것을 초상화를 그리는 것에 비유하였다. 이지현 겸재의 진경산수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 대학원

참고문헌
백준선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통한 현대 산수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고선영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연구 군산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지현 겸재의 진경산수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립 중앙 박물관 겸재 정선 붓으로 펼친 천지조화 2009년


하고 싶은 말
진경산수화에 대한 전반적 개념정리, 정선의 화풍에 대한 연구입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