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

 1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
 2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2
 3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3
 4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4
 5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5
 6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6
 7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7
 8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8
 9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9
 10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0
 11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1
 12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2
 13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3
 14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4
 15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5
 16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6
 17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7
 18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8
 19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19
 20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사 최근 기출문제
2006년01.15 전북지방직9급 한국사
2006년02.07 해양경찰 한국사
2006년03.19 인천지방직9급 한국사
2006년04.08 중앙인사위9급 한국사
2006년04.22 경기지방직9급 한국사
2006년05.07 경북지방직9급 한국사
2006년08.11 중앙인사위7급 한국사]
2006년09.24 소방직9급 한국사
2006년09.24 선관위․세무직9급 한국사
2006년10.01 서울지방직9급 한국사


국가직7급 기출문제
1990년07.29 국가직7급 한국사
1991년07.28 국가직7급 한국사]
1992년07.26 국가직7급 한국사]
1993년07.25 국가직7급 한국사]
1994년07.24 국가직7급 한국사]
1995년06.25 국가직7급 한국사]
1996년09.01 국가직7급 한국사]
1997년08.20 국가직7급 한국사]
1998년09.02 국가직7급 한국사]
1999년06.20 국가직7급 한국사]
2000년09.03 국가직7급 한국사]
2001년09.02 국가직7급 한국사]
2002년09.08 국가직7급 한국사]
2003년09.07 국가직7급 한국사]
2004년08.07 국가직7급 한국사]
2005년08.09 국가직7급 한국사]


국가직9급 기출문제
1991년3.17 국가직9급 한국사
1992년3.15 국가직9급 한국사
1993년4.25 국가직9급 한국사
1994년4.24 국가직9급 한국사
1995년4.09 국가직9급 한국사
1996년5.26 국가직9급 한국사
1997년5.25 국가직9급 한국사
1998년5.31 국가직9급 한국사
1999년5.16 국가직9급 한국사
2000년5.21 국가직9급 한국사
2001년5.20 국가직9급 한국사
2002년5.21 국가직9급 한국사
2003년5.11 국가직9급 한국사
2004년5.16 국가직9급 한국사
2005년4.24 국가직9급 한국사


지방직9급 기출문제
1990년09.16[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1년03.10[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1년06.15[인천소방직9급][한국사]
1992년08.30[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3년03.21[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3년05.05[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4년04.03[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4년04.17[서울소방직9급][한국사]
1994년04.03[전북지방직9급][한국사]
1994년05.01[대전지방직9급][한국사]
1994년09.04[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5년05.10[경남지방직9급][한국사]
1995년05.14[서울소방직9급][한국사]
1996년12.08[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6년03.24[인천지방직9급][한국사]
1996년06.09[대전지방직9급][한국사]
1996년12.08[서울지방직9급][한국사]
1997년03.30[인천지방직9급][한국사]
1997년04.27[경남지방직9급][한국사]
1997년10.12[서울지방직9급][한국사]
2000년07.23[서울지방직9급][한국사]
2000년01.16[국가세무직9급][한국사]
2001년04.29[서울지방직9급][한국사]
2001년06.17[경남지방직9급][한국사]
2001년06.24[인천지방직9급][한국사]
2001년07.29[서울지방직9급][한국사]
2001년10.14[경남교행직9급][한국사]
2001년12.24[전남지방직9급][한국사]
2002년01.27[선관위][한국사]
2002년04.28[서울지방직9급][한국사]
2003년03.16[선관위][한국사]
2003년04.12[강원지방직9급][한국사]
2004년02.15[인천지방직9급][한국사]
2004년05.02[경북지방직9급][한국사]
2004년06.13[경남지방직9급][한국사]
2004년06.13[서울지방직9급][한국사]
2004년07.11[전북지방직9급][한국사]
2004년09.19[선관위][한국사]
2004년10.31[서울지방직9급][한국사]
2004년10.31[충북지방직9급][한국사]
2004년03.28[서울교행직9급][한국사]
2005년03.06[인천지방직9급][한국사]
2005년03.20[대구지방직9급][한국사]
2005년03.27[대전지방직9급][한국사]
2005년04.03[경기지방직9급][한국사]
2005년05.08[경북지방직9급][한국사]
2005년07.17[서울세무직9급][한국사]
2005년10.16[서울지방직9급][한국사]
2005년11.27[선관위/노동부][한국사]


고시 기출문제
1993년1.30[외무고시][한국사]
1993년8.22[기술고시][한국사]
1994년3.06[사법고시][한국사]
1994년5.08[행정고시][한국사]
1995년1.24[외무고시][한국사]
1995년3.12[사법고시][한국사]
1995년4.30[행정고시][한국사]
1995년7.28[기술고시][한국사]
1996년3.17[사법고시][한국사]
1996년4.28[행정고시][한국사]
1996년7.30[기술고시][한국사]
1997년3.09[외무고시][한국사]
1997년3.09[행정고시][한국사]
1998년3.14[행정고시][한국사]
1999년3.14[행정고시][한국사]
2000년3.19[행정고시][한국사]
2001년[법원행정고시][한국사]
2001년2.25[입법고시][한국사]
2001년3.04[행정고시][한국사]
2002년2.27[행정고시][한국사]
2003년2.16[행정고시][한국사]
2004년2.08[입법고시][한국사]
2004년2.26[행정고시][한국사]
2005년1.30[입법고시][한국사]
2005년2.26[행정고시][한국사]


경찰공무원 기출문제
1995년07.09[경찰공무원][한국사]
1995년12.17[경찰공무원][한국사]
1996년04.28[경찰공무원][한국사]
1996년06.09[경찰공무원][한국사]
1996년07.28[경찰공무원][한국사]
1997년03.09[경찰공무원][한국사]
1997년06.22[경찰공무원][한국사]
1997년08.24[경찰공무원][한국사]
1997년09.28[경찰공무원][한국사]
1998년05.31[경찰공무원][한국사]
1998년06.21[경찰공무원][한국사]
1998년07.26[경찰공무원][한국사]
1998년10.18[경찰공무원][한국사]
1998년12.06[경찰공무원][한국사]
1999년03.28[경찰공무원][한국사]
1999년04.25[경찰공무원][한국사]
1999년05.30[경찰공무원][한국사]
1999년07.25[경찰공무원][한국사]
2000년02.20[경찰공무원][한국사]
2000년10.22[경찰공무원][한국사]


법원서기보 기출문제
1994년1.30[법원서기보9급][한국사]
1995년3.5[법원서기보9급][한국사]
1996년2.4[법원서기보9급][한국사]
1997년2.16[법원서기보9급][한국사]
1998년2.22[법원서기보9급][한국사]
본문내용



9. 영조의 개혁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국대전」의 속전으로서 김재로로 하여금 「속대전」을 편찬하였다.
②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여 당하관 이하의 관리들을 선발하였다.
③ 탕평책을 실시하면서 기존의 사림세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④ 균역법을 실시하여 2필의 군포를 1필로 감해서 군포의 폐단을 시정하려 하였다.
⑤ 이조낭관이 행사하던 낭천권과 천거권을 박탈하였다.

10. 다음 중 16세기 사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학을 무시하고 사장을 중시하여 현실정치에 적극 참여하였다.
② 향약 실시를 주장하여 향촌 사림들의 농민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③ 예학과 보학을 발전시켜 신분상의 우위를 유지하려 하였다.
④ 향촌의 중소지주층으로서 중국 중심의 화이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⑤ 향촌의 자치를 주장하면서 서원을 통하여 성리학적 유교질서를 유지하려 하였다.

6. ① [해설] 「삼국사기」는 그야말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 역사만 서술하였다.
7. ④ [해설] 정치도감은 충목왕 때 설치된 개혁기구로서 권문세족의 농장과 노비혁파를 주장하였다.
8. ⑤ [해설] ①법전 ②지리서 ③조선 후기 자주적 역사서 ④농서 ⑤「금양잡록」은 농서이나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는 의서이다.
9. ② [해설] 초계문신제는 정조의 개혁정책이었으며 영조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과거를 통해 등용하는 기로과를 실시하였다.
10. ① [해설] 사림은 경학을 중시하고 사장을 무시하여 문학이 침체되었다. ①은 15C 집권자인 훈구파에 대한 설명이다.

11. 다음 중 고려시대의 정치기구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 집사부 ㉡ 어사대 ㉢ 중서문하성 ㉣ 정당성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12. 고구려왕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4세기 초 미천왕에 의해서 낙랑, 대방 등을 축출하고 고조선의 고토를 회복하였다.
② 장수왕은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③ 고국천왕은 부자상속제를 확립하였으며 진대법을 실시하여 빈민을 구제하였다.
④ 소수림왕은 율령을 반포하였으며, 태학을 설립하여 교육에 힘을 기울였다.
⑤ 동천왕 때 위와 국경을 접하게 되어 서안평을 공격하다가 오히려 위장 관구검의 침입으로 국내성이 한 때 함락되었다.

13. 남측의 연합 제안과 북측의 낮은 연방제안이 공통점이 있다고 서로 인정하여 합의하게 된 회담은?
① 7․4남북공동성명 ② 6․23선언 ③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
④ 민족화합 민주통일방안 ⑤ 2000년 6․15남북정상회담

14. 고려의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지급된 토지는 소유권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 수조권만을 인정한 것이다.
② 태조 때의 역분전은 관품에 따라 토지를 차등 지급하였다.
③ 전시과의 완성은 문종 때 경정전시과에 와서 이루어졌으며, 문․무관의 차별이 완화되었다.
④ 공음전, 외역전, 내장전은 세습이 가능한 영업전이다.
⑤ 목종 때의 개정전시과는 문․무, 전․현직에게 지급되었으나 현직과 문신을 우대하였다.

15. 신라하대 지방호족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기 세력 안에 있는 촌락에 대해 경제적 지배력을 갖고 있었다.
② 호족 중에는 지방의 촌주 출신이 다수 있었다.
③ 사병의 지도자였으므로 장군이라고 칭하였다.
④ 성주라 불리었으며 중앙정부의 통치기반이 되었다.
⑤ 해상무역으로 재력을 쌓은 상인 또는 군진세력도 호족에 포함된다.


11. ④ [해설] ㉠집사부-신라의 진덕여왕 때 설치된 왕명출납기구였다. ㉣정당성-발해의 3성 중 하나로서 최고의 회의기구이기도 하다.
12. ② [해설] 영락이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연호사용은 광개토대왕이다.
13. ⑤ [해설]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문제를 그 주인인 우리 민족끼리 서로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하였다.
14. ② [해설] 태조 때의 역분전은 관품이 아니라 충성도나 인품(논공행상)에 따라 지급한 것이고 전시과가 토지를 관품에 따라 차등 지급한 것이다.
15. ④ [해설] 신라 하대 지방호족은 스스로 성주 또는 장군이라고 칭하였다. 중앙정부의 지배를 받지 않았다.

16. 다음 밑줄 친 우리에 해당하는 내용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우리는 등짐을 지고 전국의 장시를 돌아다니면서 물건을 파는 사람인데, 짚신에 감발을 치고 패랭이 쓰고 꽁무니에 짚신 차고 이고 저자를 다니며 나무그릇, 토기 등과 같은 비교적 값싼 물건과 금․은․동제품과 같은 비싼 물건들까지 파는 사람이다.


하고 싶은 말
1990년~2006년 한국사 공무원 기출문제집 모음(답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