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쟁의행위에 대한 민사책임 연구(노동법)

 1  불법쟁의행위에 대한 민사책임 연구(노동법)-1
 2  불법쟁의행위에 대한 민사책임 연구(노동법)-2
 3  불법쟁의행위에 대한 민사책임 연구(노동법)-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불법쟁의행위에 대한 민사책임 연구(노동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손해배상책임의 의의
2. 손해배상의 범위
3. 노조의 손해배상책임
4. 조합원의 손해배상책임
5. 조합간부의 특별책임
6.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문내용
6. 문제점과 개선방안

1) 문제점
①쟁의행위의 정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손해배상 책임을 면하도록 하고 있고, 더 나아가 폭력·파괴행위를 동원하지 않고 단순히 노무제공의 소극적 집단적 거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거액의 배상책임을 부담토록 하고 있다.
②사용자는 노동조합의 재정적 취약성을 악용하여 단체교섭에 유리한 고지에 서기 위한 방편이나 노조를 무력화하려는 의도로 이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헌법상 규정된 단체행동권 뿐 아니라 단체교섭권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③최근 가압류의 범위가 조합비를 넘어 조합원의 급여 및 전세금, 연대보증인에게까지 미쳐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에 이르고 있다.

2) 개선방안
①쟁의행위과정에서 파괴행위나 폭력 등의 방법이 동원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②법원의 가압류 요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가압류신청요건을 엄격하게 심사한다든지 공탁금액을 높여서 사용자의 가압류신청의 남용을 억제하는 방안도 고려하여야 한다.
③노동조합의 존속보호를 위하여 조합비수입의 일정부분을 가압류 대상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다. 조합비 전체에 대한 가압류로 노동조합의 기본적인 활동·존립을 위협하는 것은 비례성의 원칙에도 반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④조합원
참고문헌
임종률, 노동법 8판, 박영사
하고 싶은 말
불법쟁의행위에 대한 민사책임 연구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