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

 1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
 2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2
 3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3
 4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4
 5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5
 6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6
 7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7
 8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8
 9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9
 10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0
 11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1
 12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2
 13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3
 14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4
 15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5
 16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6
 17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7
 18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8
 19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19
 20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갑골문자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시간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하루 시간대의 표현
2. 날과 달의 표현
3. 계절의 표현
4. 해[년]의 표현
5. 추상적 시간의 표현
본문내용
“시간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딱 무엇이라 지칭하지 않더라도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지 나름대로 이해한다. 그러므로 시간이 제기하는 문제를 명쾌하고 분명하게, 단번에 완전히 해결하는 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항상 사용하는 개념들이 흔히 가장 큰 수수께끼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시간에 있어서는 특히 그러하다. 시간은 겉보기에 친근하고 순진무구해 보이지만 다른 사물들과는 전혀 다르며, 시간에 대한 질문에는 끝이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은유를 사용하지 않고 시간을 달리 정의할 방법이 있을까?”
시간이라는 것은 다른 대상들처럼 뒤로 물러서서 관찰할 수도 없고, 붙잡을 수도 없으며,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물질’도 아니며, 우리들에게는 언제나 모호하며, 당황스러우며, 때로는 모순적인 것으로 보이는 것이기 때문에 신간에 대한 분석은 언제나 어려운 문제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이러한 시간에 대해 어떤 관념을 품고 있었으며, 그들은 어떤 방법으로 시간이라는 개념을 파악하고 표현했던 것일까?
초보적인 관찰에 의하면, 갑골문자에 나타난 시간표현은 지금처럼 세밀하고 분석적이지는 못하지만, 상당히 다양한 표현법을 갖고 있어 그들의 시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표현법을 관찰해 보면, 그들은 시간이라는 것을 추상적으로,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대체로 계절이나 우주의 주기에 관계없이 인간들이 감지할 수 있는 변화에 기초하여 시간을 표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시간이라는 매우 추상적인 개념의 표현에 있어서도 인간을 중심으로 삼아 인간의 행위나 인간과 태양이나 달과의 관계를 그린, 인간 자체를 행위주체로 삼는 동시에 표현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그들은 눈에 보이는 태양과 달의 기본 주기(사이클)를 파악하는 것으로부터 날[일]과 달[월]의 시간 개념을 확정했다. 즉 태양이 떠올라 가장 높은 점을 지나고 져서 다시 떠오르기까지의 시간, 그것이 1일이었으며, 그래서 이를 태양의 모습을 형상한 일로 표현했다.
참고문헌
J. Needhamㆍ범정육(역), 󰡔대적정 The Grand Titration󰡕(태북: 파미이서점), 1987(재판).
Joseph T. Shipley, The Origine of English Words: A Discursive Dictionary of Indo-European Roots, The Johns Hopkins Press Ltd., London, 1984.
Louis Gardet, 󰡔문화여시간󰡕(태북: 숙형출판사), 1992.
Robert K. Barnhart, The Barnhart Concise Dictionary of Etymology, New York: HarperCollins, 1995.
Sapir, Edward. Language. Orlando, Florida: Harcourt Brace & Co., 1921.
William Little(ed.), The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n Historical Principles, 3rd Ed., Oxford UP., 1973.
곽말약(주편), 󰡔갑골문합집󰡕(북경: 중화서국), 1982.
그레이엄 클라크(Grahame Clark), 정기문(옮김), 󰡔공간과 시간의 역사 Space, Time and Man󰡕(서울: 푸른길), 1999.
김근, 󰡔한자는 중국을 어떻게 지배했는가󰡕(서울: 민음사), 1999.
김민수(편), 󰡔우리말 어원사전󰡕(서울: 태학사), 1997.
김용옥,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서울: 민음사), 1985.
나상배, 󰡔어언여문화󰡕(북경: 북경대학출판사), 1950.
데리다, 자크(Jacques Derrida). 김성도(옮김). 󰡔그라마톨로지 Grammatology󰡕(서울: 민음사), 1996.
방국유(편찬)ㆍ화지무(참정), 󰡔납서상형문자보󰡕(곤명: 운남인민출판사), 1995(제2판).
방술흠(등)(1993), 󰡔갑골금문자전󰡕, 성도: 파촉서사.
백천정ㆍ가지신행(저)ㆍ범월교(역), 󰡔중국고대문화󰡕(태북: 문율출판사), 1983.
상옥지, 󰡔은상력법연구󰡕(장춘: 길림문사출판사), 1998
서중서(주편), 󰡔갑골문자전󰡕(성도: 사천사서출판사), 1989.
소신춘, 󰡔한자문화인론󰡕(남녕: 광서교육출판사), 1996.
송영배ㆍ단목려명(편), 󰡔중국문화어언학사전󰡕(성도: 사천인민출판사), 1993.
송진호, 󰡔백년갑골학론저목󰡕(북경: 어문출판사), 1999.
송환도웅ㆍ고도겸일(편), 󰡔갑골문자자석종람󰡕(동경: 동경대학출판회), 1994.
시사영어사/랜덤하우스, The Landom House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서울: 시사영어사), 1991.
양 적, 󰡔중서인론적충돌: 문화비교적일종신탐구󰡕(북경: 중국인민대학출판사), 1991.
에티앤느 글렝(Étienne Klein), 박혜영(옮김), 󰡔시간 Le temps󰡕(서울: 영림카디널), 1997.
엽서헌, 󰡔중국신화철학󰡕(북경: 사회과학출판사), 1992.
오국성, 󰡔시간적관념󰡕(북경: 사회과학출판사), 1996.
온소봉ㆍ원정동, 󰡔은허복사연구-과학기술편󰡕(성도: 사천성사회과학원출판사), 1983.
왕수인ㆍ유백림, 󰡔전통지혜재발현: 정신적현실여초월󰡕(북경: 작가출판사), 1996.
왕연림(편), 󰡔상용고문자자전󰡕(상해: 상해서화출판사), 1987.
왕우신ㆍ양승남, 󰡔갑골학일백년󰡕(북경: 사회과학문헌출판사), 1999.
우성오, 󰡔갑골문자고림󰡕(북경: 중화서국), 1996.
유문영, 󰡔만장적력사원두: 원시사유여원시문화신탐󰡕(북경: 중국사회과학출판사), 1996.
유 상, 󰡔중국전통가치관념전석학󰡕(태북: 계관도서공사), 1992.
유장림, 󰡔중국계통사유󰡕(북경: 중국사회과학출판사), 1997.
육사현, 󰡔신화고고󰡕(북경: 문물출판사), 1995.
이령박ㆍ장극화ㆍ유지기, 󰡔고한자여중국문화원󰡕(귀양: 귀주인민출판사), 1997.
이 실, 󰡔갑골문자총고󰡕(난주: 감숙인민출판사), 1997.
이학근, 󰡔주출의고시대󰡕(심양: 요녕대학), 1997.
이효정, 󰡔갑골문자집석󰡕(태북: 중앙연구원력사어언연구소), 1982(제4판).
장광직ㆍ이철(역), 연속과 파렬--문명기원에 관한 새로운 고찰, 󰡔신화ㆍ미술ㆍ제사 Art, Myth, and Ritual 󰡕(서울: 동문선), 1990.
장극화, 고한자결구취상유형원시이정고략, 󰡔어언문자학간󰡕(상해: 화동사대중문계) 제1집, 1998.
장극화, 󰡔설문해자적문화설해󰡕(무한: 호북인민출판사), 1995.
장극화, 󰡔중국문자학여유학사상󰡕(남녕: 광서교육출판사), 1997.
장극화, 󰡔한자단위관념사고술󰡕(상해: 학림출판사), 1998.
장위중, 󰡔모어적장애: 종중서어언적차이간중서문학차이󰡕(합비: 안휘대학출판사), 1998.
전조원, 󰡔신화여중국사회󰡕(상해: 상해인민출판사), 1998.
조 성, 󰡔갑골문간명사전󰡕(북경: 중화서국), 1988.
중촌원ㆍ김지견(역), 󰡔중국인의 사유방법 동양인の사유방법 󰡕(서울: 까치), 1990.
진몽가, 󰡔은허복사종술󰡕(북경: 과학출판사), 1956.
첨근흠, 석갑골문“구”자, 󰡔중국어문󰡕 1985년 제5기.
최창렬, 󰡔우리말 어원연구󰡕(서울: 일지사) 1986.
토를라이프 보만(Thorleif Boman)ㆍ허혁(역), 󰡔히브리적 사유와 그리스적 사유의 비교 Das hebräische Denken im Vergleich mit dem griechischen󰡕(서울: 분도출판사), 1982(재판).
하구영(주편), 󰡔중국한자문화대관󰡕(북경: 북경대학출판사), 1995.
하영삼, 갑골문에 나타난 인간중심주의, 󰡔중국학연구󰡕 제10집(서울: 숙명여대), 1996.
하영삼, 󰡔문화로 읽는 한자󰡕(서울: 동방미디어), 1997.
허신ㆍ단옥재(주), 󰡔설문해자주󰡕(태북: 한경문화사업공사), 1983.
허진웅ㆍ홍희(역), 󰡔중국고대사회󰡕(서울: 동문선), 1991.
황덕관ㆍ하영삼(옮김), 󰡔한어문자학사󰡕(서울: 동문선), 2000.
휘트로(G. J. Whitrow), 이종인(역), 󰡔시간의 문화사 Time in History󰡕(서울: 영림 카디널),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