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

 1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
 2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2
 3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3
 4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4
 5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5
 6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6
 7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7
 8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8
 9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9
 10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0
 11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1
 12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2
 13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3
 14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4
 15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5
 16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6
 17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국어 문법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끄는 말
2. ‘유’의 다양한 용법
2.1. 시태를 나타내는 ‘유’
2.2. 형용사 앞에서 사용되는 ‘유’
2.3. 가능보어로서의 형태
2.4. 의문문 문말에 사용되는 ‘몰’과 ‘불’
3. 정반의문문에서 ‘불’ 앞에 위치한 두번째 음절 생략
4. 구조 사용
5. 문형의 다용
6. 보편화되지 않은 문형
7. 잠시상에 ‘일하’의 다용
8. 맺는 말
참고문헌
중문적요
본문내용
대만은 현재 ‘국어’를 공식어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국어는 주지하다시피 중국 대륙의 표준어인 ‘보통화’와 비슷한 개념으로 민남어 계통인 대만어를 모어로 삼는 대만인들에게 장개석 정부가 강요한 언어이다. 그러므로 대만어가 모어인 대만인들에겐 국어는 제2언어로서 실제 국어 사용시 모어인 대만어의 발음, 문법, 어휘 등의 간섭을 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대만에서 표준으로 삼고 있는 ‘국어’ 역시 실생활에서는 대만화되어 표준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고는 대만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국어 가운데 문법 분야에만 한정하여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본고에서 말하는 ‘대만국어’란 학교에서 배우는 표준중국어가 아니라 실제 생활 가운데 대만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기로 하겠다. 표준중국어와 대만어의 문법적 특징을 대만국어와 상호 비교하여 대만국어의 특징이 과연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규명하려 한다.
대만어는 민남어 계통으로 민남의 창주와 천주에서 16․7 세기부터 이민온 사람들이 대다수를 이루어 현재는 이들 두 언어가 섞여 혼합되어 대만내에서 나름대로 대만화된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현재 대만 인구의 80% 정도가 대만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 객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연구는 주로 대만어에서 기인됐다고 보는 대만국어의 문법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자료에 대해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늘 사용되는 비교적 평이한 문장을 채택하기로 하겠다.

2. ‘유’의 다양한 용법


대만국어의 ‘유’자 용법은 그 어느 용법보다도 표준중국어와 가장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어떻게 대만국어에서 ‘유’가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표준중국어와 대만어에서의 ‘유’ 용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먼저 표준중국어에서 ‘유’는 주로 ① 뒤에 목적어를 대동하여 ‘소유’를 나타내어 “타유여붕우(그는 여자 친구가 있다)”와 같은 예가 있다. ‘소유’에 대한 부정형은 ‘몰유’ 혹은 ‘몰’이다. ② ‘존재’를 나타내어 의 형태를 지니는 것으로 예를 들면, “탁자상유일본서(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 혹은 “금천만상유전영(오늘 저녁에 영화가 있다)”와 같은 예로 이에 대한 부정도 “몰유” 혹은 “몰”이다. ③ 성질이나 수량이 어느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