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1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
 2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2
 3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3
 4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4
 5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5
 6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6
 7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7
 8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8
 9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9
 10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0
 11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1
 12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2
 13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3
 14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4
 15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5
 16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6
 17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7
 18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8
 19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19
 20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 양식의 역사적 전개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설화․전․소설의 구분

3. 전 양식의 분화와 전개
4. 전계 소설의 개관


본문내용
그러나 문인․학자들이 조선중기 이후 ‘신분간의 갈등․정치적 경쟁관계․참혹한 전쟁의 피해’로 말미암아 심화되는 사회적 문제에 대하여 대결적 행적을 보인 자신의 주변 인물을 私傳의 입전대상으로 삼게 되면서 행적은 구체적으로 기술되기 시작했고, 그런 과정에서 전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전의 경지를 넘어서 ‘자아와 세계의 대결․허구성이 가미된 구체적 기술․독자에게 쾌락적 기능 부여’라는 점에서 소설의 역할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李恒福(15561618)이 1607년에 지은 「柳淵傳」은 이 시기를 대표한 작품이다. 이는 유연이란 인물이 온갖 역경을 극복하고 잘못된 옥사를 바로잡은 실화에 대하여 왕명에 의하여 지어진 전이다. 그러나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관가의 재판을 통하여 양자간에 첨예한 대립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고, 어떻게 해서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는가란 점에서 독자에게 소설적 흥미를 폭발시키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사실적 소재를 다루고 있다고 하여 소설이 아니라는 논리는 성립하지 않으며, 전이면서 실화소설일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 첫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임병양란을 거치면서 확대될 수밖에 없었는데, 예기치 못한 전란의 와중에서 특이한 체험은 누군가 나서서 작품화하기만 하면 그것은 전이면서 소설일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소설은 인간관계가 복잡해지는 시기의 양식이었고, 그것이 한국에서는 조선초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趙緯韓의 「崔陟傳」과 權韠(15691612)의 「周生傳」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전자는 왜군에게 남원성이 함락될 때 각기 중국과 일본으로 떠나게 된 부부가 천신만고 끝에 재회하는 이야기인데, 임란 당시 이러한 사례가 비일비재하였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 진실성을 동반하는 감동성을 부여한다고 할 수 있다. 후자는 임란시 구원병으로 조선에 파병된 주생이란 인물의 사랑하는 여인과의 이별담을 다룬 이야기인데, 이 역시 비단 주인공을 명나라 사람으로 설정했지만 조선인 중에도 이와 같은 사례가 허다하였다고 볼 때 독자들에게 주생은 또다른 조선인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