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

 1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
 2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2
 3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3
 4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4
 5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5
 6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6
 7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7
 8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8
 9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9
 10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0
 11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1
 12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2
 13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3
 14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4
 15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5
 16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6
 17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7
 18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8
 19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19
 20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본문내용
2. 국어 명사구의 구조

2.1 문장과 명사구의 구조
무한한 수의 문법적인 문장을 생성시켜 주는 유한한 체계를 ‘문법’이라 할 때 권재일(1990), p.12. 참조.
명사구도 핵 명사을 중심으로 계층적 층위에 따라 계기적으로 생성된다고 할 수 있다.

(2) 문장의 핵 성분인 동사(V)의 속성
가. Vx : 어휘적 자질로 통사․의미․화용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는 잠재항
나. Vx' : = 범주 내적 구조확장과 관련된 통사․의미적 자질
다. VP : = 범주 외적 구조와 관련된 의미․화용적 자질

위의 (2가)는 문장의 핵성분인 동사가 지닌 통사․의미․화용적 정보뿐만 아니라 형태론적 정보까지도 함의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2나)와 (2다)는 (2가)의 어휘가 지닌 항가에 따라 국어의 문장 생성에 따른 확장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명사구의 생성과 의미를 논의하는 데 국어의 문장 구조가 본 논의의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즉 의미․화용적 특성에 따라 통사 구조가 생성되고 이들 통사 구조에 따라 형태 표지가 된다는 것이 필자의 기본 생각이다. 예문 (3)을 보자.

(3) 가. [[정은이]NPs가 [[소현이]NPo를 [때리]Vo']Vs']S'다.
나 a. [[정은이의 손]NPs이 [크]Vs']S'다.
b. [정은이는 [손이 [크]Vs']VPs]S'다.

위의 (3가)에서 문장의 핵 성분은 [V]의 항가를 지닌 동사 “때리-”이다. 이 동사의 항가 [V]에 의한 Vo'에 의해 목적어 명사구 “소현(이)”가 선택되고, 동사 “때리-”의 항가 [V]에 의한 Vs'에 의해 주어 명사구 “정은(이)”를 선택하여 하나의 문장구조를 생성한다. (3가)의 문장 생성은 핵 성분의 항가에 따라 계기적이고, 계층적 구조에 의해서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나a)에서, 핵 성분인 동사 “크-”의 항가는 [V]이며 이 동사의 항가에 따라 주어 명사구 “정은이의 손”이 선택되어 하나의 문장을 생성한다. 그러나 (3나b)는 (3나a)의 속격 명사구 “정은이의”가 명사구의 핵 성분인 N'의 지배 영역에서 VPs의 좌분지점인 주어 명사구 NPs의 명시어 위치로 이동한 결과로 생성된 문장이다. (3나a)와 (3나b)의 정보량에는 차이가 없으나 미묘한 의미․화용적 차이가 드러난다. 즉, 화자는 (3나a)의 “정은”이 보다 (3나b)의 “정은”이가 청자에게 드러내어 밝히는 [+명시]적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