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

 1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
 2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2
 3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3
 4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4
 5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5
 6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6
 7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7
 8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8
 9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9
 10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0
 11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1
 12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2
 13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3
 14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4
 15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5
 16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6
 17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7
 18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8
 19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19
 20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한중 파열음, 파찰음의 비교
2.1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열음 비교
2.2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찰음 비교
3. 외국인에게 나타나는 현상
3.1 한국인이 중국어를 발음한 경우
3.1.1 파열음
3.1.2 파찰음
3.2 중국인이 한국어를 발음한 경우
3.2.1 파열음
3.2.2 파찰음
4. 두 언어의 분절음소와 초분절 음소와의 관계
5. 결론

본문내용
3.1 한국인이 중국어를 발음한 경우
3.1.1 파열음

한국 학생이 중국어 불송기음을 발음하였을 때 VOT 값이 중국 학생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모국어인 한국어 순한소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녹음에 참가한 한국인 화자들이 모두 중문과를 졸업하고 중국에서 생활한 지 적어도 2년 이상 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화자들이 발음한 중국어 파열음은 비교적 자연스럽지만, 중국어의 학습 기간이 짧을수록 화자가 불송기음을 순한소리로 대체하는 상황은 더욱 보편적일 것이다. 한국 학생이 발음한 중국어 송기음의 VOT 값은 중국 학생이 발음한 송기음과 별 차이가 없다.
한국인이 중국어 1성과 4성의 불송기음을 들을 때는 된소리로, 2성과 3성의 불송기음을 들을 때는 순한소리로 대체해서 인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래서 이를 근거로 한국인 화자가 중국어를 발음할 때 1, 4성의 불송기음은 된소리로, 2성과 3성의 경우에는 순한소리로 대체해서 발음한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유의도 수준 0.05에서 행한 t-검증을 통해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우리가 청각적으로도 판단해 볼 수 있었는데, 한국인 화자가 중국어 불송기음을 발음할 때, 그 성조에 따라 순한소리와 된소리로 대체해서 발음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음높이의 기본 주파수와 관계된 문제인데, 뒤에서 상세하게 논하도록 하겠다.
그림1, 그림2, 그림3 은 한국 학생의 중국어 파열음 발음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비교를 위해 그림에는 중국인의 평균치(C)를 함께 제시해 두기로 한다. (KF, KM은 각각 한국인 여성 화자와 남성 화자를 나타낸다)